*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교통과 도로

남한산성의 도로


<길 위의 이야기>는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남한산성 옛길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스토리북입니다. 서울과 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 중 한 곳이었던 남한산성 옛길은 조선시대 왕의 행차길이자 떠돌이 보부상의 생계를 위한 길이었고, 지방 선비들이 과거를 보러 올라오던 길이었습니다. <길 위의 이야기>는 남한산성 옛길에 새겨진 발자국을 따라 우리 선조들의 삶과 정신을 전해드릴 예정입니다.


남한산성에서 마장동까지 서울 도보 1일 생활권





가장 교통이 빠르게 발달한 서울에서도 1960~70년대에는 ‘도보’가 주요 이동 수단이었습니다. 50년 전 만해도 남한산성에서 소를 팔러 마장동까지 걸어다녔다고 합니다. 총 거리로 환산해보면 무려 21km에 달하는 거리입니다. 21km 거리를 얼마동안 걸었는지 제보자의 이야기로 추측해 봅시다. 출발시간은 새벽 1시, 완전히 어두운 한밤중이군요. 그리고 도착시간은 가을의 동 틀 무렵이니 오전 7시 경입니다. 약 6시간의 노정이네요. 시간 당 3.5km를 걸은 셈이니 일반적인 걷기속도와 완전히 일치합니다. 남한산성 인근에 사는 주민들은 보통 새벽에 출발하여 오전 중에 서울에서 볼 일을 본 후 오후에 출발하면 해질녘 쯤에는 다시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서울을 하루 안에 다녀올 수 있는 일명 ‘서울 1일 생활권’이었습니다. 걸어서 하루 안에 다녀올 수 있는 편도 20km, 왕복 40km 내외의 거리에 있는 현재 광주 북부와 성남, 하남까지가 ‘서울 1일 생활권’의 경계였답니다.




세계관의 특징을 보여주는 조선의 길




완벽하게 포장되어 있는 로마 가도



로마의 길과 조선의 길은 해당 국가가 가지고 있는 세계관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로마인들에게 로마 주위의 세계는 정복과 문명화의 대상으로 사유되었습니다. 반면 조선인의 세계관에서 조선은 중세동아시아 세계의 중심이 아니었습니다. 조선의 대외관계를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단어는 바로 사대교린이었는데 명나라를 우러르고 다른 민족과는 교제를 한다는 의미로 정복과는 거리가 먼 태도였습니다. 조선은 초기를 제외하고는 해양이든 대륙이든 외부로의 진출을 모색하는데 매우 소극적이었습니다. 외부와의 투쟁에서 소극적이었던 조선, 주변 세계의 정복에 적극적이었던 로마. 두 민족의 세계관의 차이는 두 민족이 가지고 있는 좁은 길과 넓은 길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남한산성의 도로 관리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배다리



도로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한 조선후기에는 많은 학자들이 조선의 이러한 도로사정에 대해 쓴소리를 하기도 합니다. 지식인들의 비판에도 조선사회는 여전히 길을 관리할 생각이 없었습니다. 단, 조선이 길을 관리하는 예외적인 상황이 딱 하나있었는데 바로 임금의 이동이 있을 때였습니다. 임금이 평소에 이동하는 경우는 주로 온행(溫行)과 능행(陵行)을 하는 경우입니다. 온행은 보통 요양과 휴식을 위해 임금이 특정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인데 이동거리가 상당히 먼 편입니다. 온행보다 자주 있었던 능행은 대부분 왕릉이 사대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어 그 거리가 짧았습니다. 그런데 딱 두 곳의 장거리 능행이 있었습니다. 바로 세종대왕과 효종의 묘인 영녕릉(英寧陵)과 사도세자의 묘인 융릉(隆陵)의 경우입니다. 정조의 경우는 수시로 능행차를 했기 때문에 당시 능행차와 관련된 도로보수 관련 기사도 상당히 자주 등장합니다. 이렇게 임금의 장거리 행차 때를 제외하고는 평소에 국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도로를 유지보수했다는 기록은 많지 않습니다. 상업유통이 활발해진 조선후기에 들어서도 늘어난 상인과 여행객들은 여전히 불편한 길을 다녀야만 했습니다.




세부정보

  • 길 위의 이야기

    발행처/ 경기도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발행일/ 2017년 11월

    총괄/ 이지훈(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센터장)

    기획 및 진행/ 채치용(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박다슬(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연구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