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돈의문 경기감영 (1)

경기감영도


본 자료집은 조선시대부터 경기도를 관할했던 경기감영부터 광화문 앞 구 경기도청사와 현재 수원·의정부 경기도청사에 이르는 경기도의 무구한 역사를 기록한 기록집입니다. 이제는 흔적만 남아있는 경기감영 터와 광화문 앞 경기도청사의 흔적이 사라지지 않도록 영상과 사진, 3D스캔 등 많은 자료로 남겼습니다. 2018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찰라의 순간에 우리 눈앞에 나타났다 다시 사라진 경기감영과 광화문 경기도청, 그리고 현재의 경기도청사의 모습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조선의 개국과 새로운 도성의 건립은 경기의 범위를 재설정하고 이를 관할하는 관서를 새로이 짓게 하였다. 1395년 태조 4년에는 개성이 아닌 한양 중심의 경기 영역을 구축하였고 태종 역시 태조와 마찬가지로 왕도를 중심으로 경기의 영역을 조정하였다. 경기를 좌·우로 나누지 않고 전체를 주관하는 도관찰사의 근무처를 수원에 두었다는 기록이 태종실록에서 확인된다. 이후 세종실록에서는 경기관찰사의 광주 목사 겸임이 확인되며 이후 문종실록에서도 경기관찰사가 광주목사를 겸임하였음이 확인된다. 이후 1450년까지 광주에 있던 경기감영은 이후 한성부의 반송방으로 옮겨진다. 1460년(세조 6)의 실록 기사에서는 당시에 이미 관찰사의 감영이 광주에서 혁파되었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세조가 육조직계제를 시행하고 왕권 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들을 만드는 과정에서 도성 방위의 중심인 경기감영을 도성과 가까운 곳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이후, 1896년까지 유지되던 돈의문 밖 경기감영이 수원으로 이전되고 난 후, 이 부지에는 군영과 광흥학교, 한성부가 위치하게 된다. 감영의 전각은 계속 사용되었으나, 경술국치 이후 기존 경기감영 주변 전각들이 해체되고 다양한 근대식 건물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경기감영이 가지고 있던 지적 경계는 크게 훼손되지 않고 국유지로 관리되었다.  


1914년부터는 고양군청 청사 및 경성감옥 분감으로 이용되었으며, 1921년 서대문 경찰서가 신축되었고 1923년에 적십자병원 간호부양성소가 개원하였다. 이후 적십자진료소는 1926년 일본적십자 조선본부병원으로 개칭되어 다시 개원하였다. 이 시기까지도 경기감영 선화당은 지속적으로 보수되며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나, 대부분의 다른 전각은 철거되고 근대건축물들이 신축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의주로와 새문안로가 있는 대로변 쪽은 개인에게 매각되어 지적경계가 분할되고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해방과 한국전쟁이 지난 후 산업화 과정에서 근대식건물의 모습마저 사라졌다. 또한 서울 중심가라는 지리적 상황과 성장을 위해 난개발이 이루어진 시기적 상황을 고려해 봤을 때 해방 이후 ‘경기감영’ 권역은 크게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선화당이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구간은 지하 2층까지 있던 유석당빌딩과 지하 3층까지 있던 박영빌딩이 1980년대부터 위치하여 원지형이 모두 파괴되었다.



경기감영도京畿監營圖 | 19세기, 지본담채, 135.8 × 442.2,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보물 제1394호


백악산·인왕산·북악산·삼각산 아래로 넓게 펼쳐진 돈의문(서대문) 밖 경기감영 일대 풍경을 그린 그림이다. 오른편에 돈의문이 있고, 5~7폭에 걸쳐서 경기감영이 보인다. 제6폭은 중앙에 감영의 본관 건물이 보이는데, 건물 정면에는 임금이 덕을 베풀고 백성을 교화함을 뜻하는 ‘선화당宣化堂’이란 편액을 달았다. 또한 경기감영 주위로 영은문, 모화관, 활터 등 주변 주요 지역이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주요 건물에는 이름이 쓰여 있어 건물의 용도를 알 수 있게 하였다. 벽에 흰색 칠을 하고 상호명을 써 넣은 약방과 미투리 파는 신발가게, 쌀가게, 행상 등이 큰 길가에 배치되어 있어 조선후기 시장의 생생함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관찰사 행렬과 구경꾼들의 자유로운 모습도 묘사되어 있다. 조선후기의 도시계획, 건축, 생활, 복식사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경기감영도>의 제작시기는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경기감영도>에 그려진 건물 가운데 가장 늦게 지은 건물은 천연정으로 1741년(영조 17)이며, 비교적 일찍 헐린 영은문은 1895년 2월에 철거된 정황에 근거하여 1741년 이후에서 1895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어 시기 폭이 넓다.



1 포정문 2 선화당 3 경기빈관 4 관풍각 5 내아 6 도사청 7신당

 8 사우 9 영이청 10 영은문 11 모화관 12 서지 13 경기중군영



경기감영 영상 자료 감상하기


영상으로 기록하는 경기감영, 경기도청 - 5분   ← 클릭

영상으로 기록하는 경기감영, 경기도청 - Full   ← 클릭


세부정보

  •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인쇄/ 2017년 12월 31일

    발행/ 2017년 12월 31일

    기획 및 편집/ 경기도·경기문화재연구원

    발행/ 경기도·경기문화재연구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