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

지지씨가 들려주는 '경기학' 이야기


지지씨에서는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가 발간한 도서를 한 걸음 더 가까이 살펴보는' 경기학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

 

경기학 시리즈는 [역사문화편], [현대인물편], [역사인물편], [근대유산편] 총 4부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본 시리즈에서 소개되는 다양한 발간도서는 경기도사이버도서관 및 경기도메모리 홈페이지에서 원문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


경기도문화연구원 개원 10년을 기념한 책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

유물 사진, 시대상, 다른 유물과의 관계 등을 정리한 경기고고학 개설서




지난 2009년 경기도문화재연구원이 개원 10주년을 맞아 경기도박물관과 10년간의 연구 성과를 담아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 특별전을 열고 같은 이름의 전시 도록을 발간했다. 책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는 도록이지만 개별 유물에 대한 사진과 당시 시대상, 다른 유물과의 관계, 유물의 역사적 가치 등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으로 경기고고학 개설서로 역할로도 충분하다.


▲ 경기도문화연구원 개원 10년을 기념해 펴낸 『경기발굴 10년의 발자취』


『경기발굴 10년의 발자취』는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 기원전 1세기 무렵부터 백제가 초기 국가로 출현하는 기원후 3세기까지의 원삼국시대, 백제·신라·고구려의 삼국시대, 고려·조선 시대로 구분해 경기도에서 발굴된 유물을 정리하고 있다.


책에서 소개한 유물은 1999년 문을 연 경기문화재연구원이 10년 간 발굴한 10만 여점의 유물 가운데 선별한 1,300여 점이다. 1,300여 점의 방대한 유물을 사진과 함께 발굴 유적지 지도를 첨부해 이해를 돕고 있다. 책은 각 시대별로 ▲유물의 분포와 편년 ▲마을과 생활 ▲생산 활동 ▲매장과 제의 ▲교류 ▲불교와 사찰 ▲관청과 가옥 등으로 나눠 설명하고 있다.


책은 백제시대 편의 경우 ‘유적의 분포와 편년’ 장에서 유적분포를 지도에서 표기하고, 원삼국시기부터 이어져 내려온 한성백제시대의 유물의 편년과 시기 구분에 대한 설명하고 ‘국가와 권력 - 중앙 지방 관계’ 장에서 서울 풍납토성과 함께 경기도 한성백제시대 토성인 파주 육계토성, 화성 길성리토성 등을 설명했다. 이어 파주 월릉산성, 화성 소근산성 등 도성방어를 위해 축조된 산성 유적지를 소개했다. 또 오산 수청동 유적에서 출토된 갑주, 마구 등을 소개하고 중국에서 가져와 지역의 세력가에 나눠줬던 위세품 등을 통해 한성백제시대 국가 권력,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화성 길성리 토성 전경 (사진 =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


‘마을과 일상’ 장에서 한성백제시대 마을유적인 화성 발안리, 광주 장지동, 용인 고림동, 화성 석우리, 용인 마북동 등 마을 유적지와 유적지에서 발견된 토기, 기와, 저장 공간인 원형수혈, 탄화된 쌀 등과 농기구 유물 등을 통해 당시 일상을 유추해 보여주고 있다.


‘매장과 제의’ 편에서는 안성 도기동, 용인 두창리, 용인 신갈동, 화성 마하리, 하남 광암동 등에서 발굴된 토광묘나 석실분 등 당시의 무덤 형태를 소개하고, 용인 마북리 고분군, 오산 수청동 고분군, 죽전 대덕골 고분군, 화성 송산리 유적 등에서 발굴된 토기, 철기, 장신구 등의 유물을 소개하며 당시 매장 문화를 설명했다.


책에서 가장 흥미로운 편은 고구려 편이다. 서기 475년 장수왕의 한성 공략 이후 551년 백제가 한강유역을 회복한 76년 동안 한강 유역 상황에 대해서는 문헌 기록이 불분명해 논란이 되어왔다. 경기 지역 고구려 유적은 논란이 되고 있는 기록을 보완하며, 당시 실상을 문헌 보다 다채롭게 전하고 있다. 책은 “5~6세기 고구려의 남진 경영을 입증하는 직접적인 증거로 간소하게 적혀 내용을 잘 알지 못한 기록이나 모순된 문헌 기록을 보완해 주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고구려 유적 편은 생활유적으로 파주 주월리 유적, 용인 마북동 생활 유적 등을 소개하고, 관방유적으로 연천 호로고루 유적, 연천 은대리성 유적, 연천 당포성 유적 등을 기록하고 있다. 또 고구려군 편제를 알 수 있는 군사 유적과 연천 신답리 고분, 성남 판교동 고분, 용인 보정리 고분, 화성 청계리 고분 등 고분 유적도 소개하고 있다.


▲ 연천 당포성 유적 성벽 (사진 =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


가장 가까운 고려·조선시대 편이 책의 마지막을 구성하고 있다. 고려·조선시대는 중세고고학 분야에 속한다. 경기도의 중세고고학은 1947년 개성 법당방 유적 발굴 이후 인식부족으로 침체됐지만 최근 이 시대 고고학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면서 중세고고학 유적지가 집중된 경기 지역이 주목을 받고 있다.


책은 고려·조선시대 유적을 궁궐, 관아지, 사지, 수혈 주거지 등 건물지, 관방 유적, 생산 유적, 무덤 유적 및 기타 유적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관청과 가옥 ▲죽음과 분묘문화 ▲지방 도자의 생산 ▲불교문화 등으로 나눠 분석했다.


▲ 하남 교산동 유적지에서 출토된 귀면와 (사진 =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는 경기도메모리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세부정보

  • 『경기 발굴 10년의 발자취』

    원문 서비스/ 경기도메모리(https://memory.library.kr/)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s://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