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걷고쓰는사람

들꽃 만발한 산사 찾아 ‘수리수리 마하수리’

군포 수리사로 떠난 봄소풍


산수유, 매화, 벚꽃이 화사한 봄의 개막을 알리고 사라진 자리는 이제 연둣빛 신록으로 싱그럽다. 이양하 선생은 수필 <신록예찬>에서 ‘만산에 녹엽이 싹트는 이때’를 ‘자연이 우리에게 풍성하고 아낌없는 혜택을 내리는 시절’이라 했다. 그러나 ‘우리 사람이란 세속에 얽매여, 머리 위에 푸른 하늘이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주머니의 돈을 세고, 지위를 생각하고, 명예를 생각하는 데 여념이 없거나, 또는 오욕 칠정에 사로잡혀’ 그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한다. 일상에 치여서라고 변명해보지만, 기저의 욕망 때문에 자연과 멀어짐을 부정하진 못하겠다.




‘수리수리 마수리!’ 어린 시절에 툭 하면 외우던 주문을 수리산을 오르며 말장난하듯 내뱉었다. 주문의 수리와 산 이름 수리가 동음이의어인 것을 알지만 수리산을 찾은 이유가 수리사로 가기 위함이니 아주 연관이 없다고는 할 수 없겠다. ‘수리수리 마수리’는 본래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라는 불교 진언이 마술사 주문처럼 잘못 퍼진 것이다.

<천수경>의 첫 구절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뒤에 따르는 진언으로, 정구업진언은 ‘입으로 지은 업을 깨끗이 씻어내는 말’을 뜻한다.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따로 해석되지 않고 이를 받쳐주는 주문이다. 한편 수리산과 수리사의 ‘수리(修理)’는 한자 뜻을 그대로 풀이하면 ‘고장이 난 데나 허름한 데를 손보아 고친다’라는 뜻이지만 산봉우리 바위가 독수리 같아서, 혹은 신라 진흥왕 때 창건한 절이 신심을 닦는 성지라 해서 닦을 수(修)에 다스릴 이(理)를 써 수리산이라 했다는 설이 있다.

수리산을 오르는 길, 진언도 외고, 지명도 곱씹어본다. 그간 살아오며 말로 뱉은 업이 얼마나 많을까. 주문으로 다 씻어낼 수 있을지 모르겠다. 걸으며 그간의 찌든 마음을 조금이나마 닦아본다.




군포시 서북쪽, 안양시와 경계에 걸쳐 있는 수리산은 군포의 진산이자 시민들의 안식처다. 전국에서 세 번째로 작은 면적의 군포시에 해발 475m의 수리산은 그 존재 자체로 도시의 든든한 존재다. 200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시가지 밀집 구역에 자리한 녹지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등산로도 여러 갈래다. 슬기봉, 태을봉, 관모봉 등 한남정맥 능선길을 따라 1시간 30분에서 4시간 30분에 이르는 다양한 코스가 있어 주말이면 등산가들이 많이 몰린다. 수리사는 슬기봉과 가깝지만 등산이 부담스럽다면 수리사만 오가도 충분히 일상의 환기가 된다. 출발점은 수리산 탐방센터로 수리사까지는 걸어서 15분이면 닿는다. 경사진 길이라 살짝 힘들어도 수리산 신록 안에서 마시고 내쉬는 숨은 달다.




계곡 따라 데크길을 오르면 어느덧 석축 위로 일주문이 보인다. 초면의 산사인데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까닭은 산사 특유의 포용력 같기도, 신록에 풀어진 마음 같기도 하다. 살짝 아쉬움은 있다. 수리사는 이달 초부터 석축, 담장 공사를 시작했다. 그래서 석재와 흙더미가 여기저기 쌓여 있고 굴삭기가 분주하게 움직이느라 경내가 다소 어수선하다. 공사는 7월 초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지난여름 폭우로 석축이 무너졌는데 첫 붕괴가 아니라서 이번에 제대로 기초를 다져 공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사찰은 아담하다. 중심에 대웅전이 있고 좌우로 나한전과 범종각, 요사채, 공양전 그리고 가장 높은 곳에 삼성각이 있다. 고색창연한 건물은 없지만 신라 진흥왕 때 운산거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는 천년고찰이다. 고려 때는 관오스님에 의해 크게 부흥했고 조선 초까지도 36동에 이르는 전각과 12개의 암자를 거느린 큰 절이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으나 ‘홍의장군’ 곽재우 장군이 수리사를 중창하고 말년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이후 명맥을 이어가던 수리사는 6·25전쟁으로 또다시 화마를 입었다. 현재의 전각들은 1990년대 후반에 지어진 것이다. 수리산은 6·25전쟁 때 서부전선의 손꼽히는 격전지였다. 1951년 1월 수리산에서 벌어진 전투는 1·4후퇴 이후 국군과 유엔군이 본격적으로 반격에 나선 전투였다. 우리 군은 중공군에게 대항해 수리산을 모두 장악, 북진의 경로를 확보했고 서울과 인천을 재탈환하는 기반을 만들었다. 성과가 있었지만 치열한 전투에서 산화한 장병들의 유해는 여전히 발굴 중이다. 호국영령들이 잠든 수리산에선 모든 계절, ‘평화의 꽃’이 핀다.




수리산에서, 또 수리사에서는 하늘을 올려다보기보다 발치를 유심히 살펴야 한다. 경내로 들어서면 300년 된 고욤나무를 비롯한 고목들과 복사꽃, 조팝나무, 수수꽃다리, 모과꽃 등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단정하게 쌓아 올린 돌탑들과 크고 작은 꽃나무들이 어우러진 사찰은 정성들여 가꾼 정원과 다름없다. 그런데 정원의 진가는 눈에 얼른 보이는 꽃나무가 아니라 고개를 숙여 내려다보는 땅에 있다. 들꽃을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수리사를 오르는 길에 이미 길섶의 수많은 4월의 야생화를 보았을 것이다. 큰괭이밥, 큰개별꽃, 현호색, 산괴불주머니, 제비꽃, 긴병꽃풀, 살갈퀴꽃, 벌깨덩굴, 현호색…. 앙증맞은 꽃잎, 저만의 고운 빛깔로 작고 영롱하게 피어난 야생화들은 자세히 들여다볼수록 예쁘다.




탐화객(探花客)들에게 수리산은 다양한 종의 들꽃이 많기로 익히 이름나 있다. 그래서 봄이면 산 곳곳에서 조심스러운 발걸음으로 꽃을 관찰하고 촬영하는 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수리사도 예외는 아니어서 전각 사이와 앞뜰, 뒤뜰에는 야생화 잔치가 열린다. 꽃 이름을 알려주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름 모를 들꽃’의 이름을 일일이 묻고 혹여 다칠까 눈길로만 꽃 얼굴을 더듬는다.




돌계단을 올라 삼성각 앞에 서면 첩첩으로 겹친 수리산 기슭과 그 사이로 군포 시내가 내려다보인다. 정상은 아니지만 진산의 고찰 가람 꼭대기에서 바라보는 전망도 퍽 근사하다. 특히 4월은 자연이 보여줄 수 있는 모든 채도의 초록이 큰 산을 점점이 채색하고 있다.




삼성각 옆에는 소실되어 일부만 남은 미륵불을 모신 미륵전이 있다. 그런데 전각 밖에 쌓은 석축의 돌 하나가 마치 없어진 미륵불의 머리를 대체하듯 미소 짓는 얼굴 형상을 하고 있어 신기하다. 절은 그 돌의 둘레에 금색 원을 그리고 전각 뒷벽을 유리로 처리해 본래의 미륵불과 석축의 돌이 합쳐진 것처럼 보이도록 했다. 자연의 신비를 곳곳에서 발견한다. 꽃구경하랴, 부처님 얼굴 보랴 오래도록 머물렀던 수리사에서 약수 한 잔을 시원하게 얻어 마시고 하산한다.




수리산탐방센터에서 산길을 따라 내려가 3.6km 떨어진 곳에 반월호수가 있다. 반월호수는 수리산과 함께 군포 시민들에게는 소중한 휴식처이자 추억의 장소로 통한다. 군포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은 반드시 수리산과 반월호수를 방문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호숫가에는 몇 곳의 카페와 식당이 있고 호수 둘레를 잇는 산책로가 잘 갖춰져 있다. 총 3.4km의 둘레길은 한 시간 정도면 모두 돌아볼 수 있다. 판판한 데크길은 힘든 구간 없이 누구나 쉽게 걸을 수 있고 무엇보다 눈앞에 아파트나 높은 빌딩이 보이지 않아 완전히 자연 안에 묻힌 듯하다. 수리산에서는 ‘숲멍’을, 반월호수에서는 ‘물멍’을 때리다가 군포 나들이의 마지막 여정으로 ‘꽃멍’을 하러 간다.




군포의 시화는 철쭉이다. 국내에 10개도 넘는 지자체들이 고장을 대표하는 꽃으로 철쭉을 내세우기에 특별한 정보는 아니다. 그런데 국내 최대의 인공 철쭉 군락지가 군포에 있다는 사실은 특별하다. 한때 군포의 슬로건이 ‘철쭉도시 군포’였을 만큼 군포는 철쭉에 진심인 도시다. 시는 산본동 1152-14번지 일원에 1999년부터 2012년까지 꾸준하게 철쭉을 심어 ‘철쭉동산’을 조성했다.




2만㎡ 공원에 자산홍, 영산홍, 산철쭉, 백철쭉 등 철쭉의 수는 22만 본에 이른다. 이제 봄철 군포의 랜드마크가 된 철쭉동산은 현재 축제로 흥성인다. 코로나로 인해 4년 만에 재개한 철쭉축제는 본래 28일부터 30일까지 예정되어 있었으나 이른 개화로 지난 21일부터 30일까지로 변경해 진행 중이다.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공원이지만 걸어서 20분이면 수리산 삼림욕장에 닿을 만큼 수리산과 가깝다. 또 수리산역에서 철쭉동산을 거쳐 중앙도서관-임오오거리-수리사로 이어지는 5km의 임도는 ‘풍경소리길’이란 이름의 도보 코스로 정비되어 있다. 이 계절, 걷기 참 좋은 길이다.


글·사진=유승혜 여행작가


원문 중부일보 바로보기


세부정보

  • 수리사

    위치/ 군포시 속달로 347-181 수리사

    문의/ 031-438-1823

글쓴이
걷고쓰는사람
자기소개
경기도 구석구석을 걷고 기록하는 일을 합니다.
누리집
https://www.youtube.com/@yooseungh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