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상생공생_그리움 에코뮤지엄

경기만은 인간 삶의 터전이자 문물이 교차하며 풍요로운 미래의 희망이 는 곳입니다. 경기만 에코뮤지엄 컬렉션 100선

<<상생공생>>에서는 이러한 경기만의 정체성을 오롯이 담았습니다. 경기만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소중한 역사·문화·생활 자원들을 스토리텔링 함으로써 생생한 체험의 현장, 건강한 생태놀이터로서의 경기만 에코뮤지엄을 소개합니다.

그리움 에코뮤지엄수인선 협궤철길 / 사리포구 / 신길역사유적공원 /  별망성지



#027

경기만의 산업과 생산 / 수인선

수인선 협궤철길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호수동 고잔역-중앙역 사잇길




1937년에 건설된 수인선 협궤철길은 수원과 인천을 잇는 철도선이었다. 일본이 경기도 일대에서 생산되는 쌀, 소금 등을 인천항을 통해 자국으로 반출하고자 운행했던 수탈의 철로였다. 광복 후 국유화되어 1960년까지만 해도 하루에 15개 역을 평균 7차례나 운행할 만큼 성행했다. 송도역 주변에서는 소래의 아낙들이 싱싱한 수산물과 젓갈, 인근 농촌에서 가꾼 채소들을 수인선 협궤열차를 싣고 와서 반짝시장(번개시장)을 열었다. 하지만 1970년대에 버스 등 다른 교통수단이 등장하면서 사양길을 걷다가 1995년 12월 31일의 운행을 마지 막으로 60여 년 동안 서민의 발이었던 제 사명을 끝냈다. 지금은 수인선 협궤철길만이 과거의 흔적으로 남아 있다.



사진출처 안산시청



#028

경기만의 산업과 생산 / 포구

사리포구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호수공원



사리포구는 6·25전쟁 이후 난민들이 중심이 되어 둑을 막고 어업에 종사하면서 어촌으로 변한 곳이다. 한 때 사리포구는 인천의 소래포구, 화성의 마산포구와 함께 서해안의 3대 포구로 불리며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았다. 새우, 꽃게, 광어, 민어, 우럭, 낙지 등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고, 140여 척의 어선이 드나들 정도로 성황을 이루던 경기도 관내 최대 규모의 포구였다. 그러나 1994년 시화방조제의 건설로 뱃길이 막히고 어선의 출입이 끊어지자 점점 사람들의 발길이 뜸해졌고, 포구 자체가 매립되면서 지금은 사라진 명소가 되었다. 현재 포구가 있던 현 상록구 고잔동, 사동 일원은 현재 여러 체육시설과 공연무대를 갖춘 호수공원이 되었다.


사진출처 안산시청



#029

경기만의 역사와 문화/선사

신길역사유적공원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1536




신길동 선사유적은 2002년 시행된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 발견되었다. 발굴 조사 결과 서울 암사동 선사유적지와 같은 형태의 신석기시대 주거지 24기가 발견되었고, 갈판, 간돌, 간석기, 빗살무늬토기 등 약 590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신석기시대의 한반도 중서부 지방의 대규모 주거지군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취락 유적은 한시적 주거 행위가 아닌 오랜 점유 기간을 가지고 집단생활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생활사 연구의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는 만큼, 안산시는 2002년 신길동신석기 유물을 보존하고 알리기 위해 신길역사유적공원을 조성해 운영 중이다.





#030
경기만의 역사와 문화/고려·조선

별망성지別望城址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시화로 99




경기도 기념물 제73호로 지정된 별망성지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해안산성이다. 남양만을 거쳐 해안으로 침입하는 왜적을 막기 위해 바닷가에 있는 두 곳의 얕은 산봉우리를 서로 연결하고 돌을 쌓아 만들었다. 수군이 주둔하였지만 육상 전투까지 대비해 배후의 산 능선까지 연결하여 비교적 큰 규모로 축조되 었고, 성벽을 해안까지 연접시켜 선박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했다. 6·25전쟁을 거치면서 성벽 대부분이 파괴되고 그 일부만 남은 것을 1980년대 안산시에서 복원했다. 인근의 목내리산성, 군자산성 등이 남양만을 함께 끼고 있어 이곳이 육지와 연결되는 전략상 중요한 서해안의 요새였음을 알 수 있다.



세부정보

  • 상생공생 - 경기만 에코뮤지엄 스토리텔링북

    총괄/ 이정문, 마케팅인프라

    기획글/ 경기창작센터, 경기학연구센터 이지훈,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사진협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故)최춘일, 민들레연극마을, 복음자리, 산안마을, 생금집 코디네이터, 시화호생명지킴이 박선미, 인천일보,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안산시청, 화성시청, 시흥시청

  • 컬렉션 100선 선정위원/ 경기학연구센터 이지훈, 시흥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강석환, 시흥바라지에코뮤지엄연구회, 시흥시향토사료실 김치성, 안산에코뮤지엄연구회 선유락, 연안문화보존네트워크 김갑곤,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화성연안환경문화연대 윤영배, 경기도청, 안산시청, 화성시청, 시흥시청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