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그리다

2018-07-04 ~ 2018-09-09 / 판화하다 - 한국현대판화60년

평면 위에 직접 드로잉하여 찍은 판화작품들을 소개한다. 유성도구를 이용하여 형태를 그리고,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원리로 이미지 부분만을 프레스로 찍는 ‘리소그래피(lithography)’ 작품들을 소개한다. ‘가장 회화적인 판화,’ ‘판화와 회화의 중간 장르’로 불리는 리소그래피는 판 위에 자유롭게 그린 모습 그대로를 찍기 때문에 풍부한 조형표현이 가능하며 기름 성분이 물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우연적 효과가 더해져 한 폭의 회화를 연상시킨다.






공중정원1,석판화,150×70cm,2007  

고자영 Koh Jayoung, 1971

서울대학교 미술학과 박사 졸업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대학원 판화전공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주요개인전

2007 공중정원, 세오갤러리, 서울

2004 식물원 경험, 갤러리아트링크, 서울


주요단체전

2008 한국현대판화 1958-2008,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2007 서울미술대전―판화,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영원과 한계,석판화-OHP 필름에 드로잉,동판 엠보싱,100×70cm,2013

김용식 Kim Yongsik, 1954

School Visual Arts New York, 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주요개인전

2016 Kuandu 미술관, 타이베이

2016 B.B art, 타이난


주요단체전

2016 아시아 판화 명가전, Howard Salon, 타이베이

2015 마카오 판화 트리에날레, 마카오미술관, 마카오



주얼리 드레스 V,석판화,80×60cm,2016 Jewel dress V,Lithography,80×60cm

김이진 Kim Yijin, 1974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판화전공 박사 졸업

위스컨신 매디슨대학교 대학원 졸업(ART, MFA)

위스컨신 매디슨대학교 대학원 졸업(ART, MA)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판화전공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졸업


주요개인전

2014 드레스의 집,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2009 사라지다, 7th Floor Gallery(위스컨신매디슨대학교), 위스콘신


주요단체전

2018 18th Annual University Print Society Postcard Print Exchange, Gallery 181, 아이오와(미국) 2017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리듬9401,석판화,70×70cm,1994

김정임 Kim Jeongim, 1955

이탈리아 로마 국립미술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 박사


주요개인전

2009 김정임―판화로 쓰는 다이어리전, Shbayama 갤러리, 도쿄

2002 Ball 주립대학초청개인전, Atrium 갤러리, 인디애나


주요단체전

2011 L.A 아트쇼, L.A 컨벤션센터, 로스앤젤레스

2008 경남도립미술관 기획 한국판화 40년 초대전, 경남도립미술관, 마산







거인의 초상,석판화,100×70cm,2017

김종환 Kim Jonghwan, 1978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판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졸업


주요개인전

2006 변신 에피소드전(기획초대), 대안공간 루프, 서울

2004 왕의 추억(첫 판화 개인전, 기획초대), 맥갤러리, 서울


주요단체전

2017 현대판화가협회전, 홍익대학교현대미술관, 서울

2007 서울 미술대전―판화,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형상 90-C,석판화,60×89cm,1990

김태호 Kim Taeho, 1948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주요개인전

1986 김태호 개인전, 현대화랑, 현대백화점, 서울

1981 김태호 개인전, 駒井畵廊, 도쿄


주요단체전

1977 한중 현대판화전, 국립역사박물관, 타이베이

1973 제1회 세계판화미술전, SAN FRANCISCO 근대미술관, 샌프란시스코






새로운 차 1016,디지털프린트에 석판화,50×83cm,2010

김현주 Kim Hyunju, 1969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판화전공 박사 졸업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판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졸업

상명여자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주요개인전

2018 김현주 초대전, 아트리에갤러리, 경기도 안양

2009 새로운 꽃들 Ⅳ, 인사아트센터, 서울


주요단체전

2017 서울 영혼을 에센으로, 에센갤러리, 에센(독일)

2014 달라스 아트페어, 패션산업갤러리, 달라스





바람꽃,석판화,90×60cm,2015

백승관 Paek Seungkwan, 1962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 수료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동 대학원 졸업


주요개인전

2014 사유―은밀한자아, 일호갤러리, 서울

2013 호접몽, 일호갤러리, 서울


주요단체전

2015 타이완국제예술제, 유린시립미술관, 유린(대만)

2013 대만국제판화전, 핑동미술관, 핑동(대만)






동시성87-813,석판화,57×76cm,1987

서승원 Suh Seungwon, 1941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주요개인전

1985 서승원 개인전, 대동 갤러리, 삿포로

1972 서승원 개인전, 무라마스 화랑, 도쿄


주요단체전

1971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68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창립전 중앙공보관, 서울







A Secret of Mercy,석판화,76×56cm,2002

서희선 Suh Heesun, 1969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박사

뉴욕주립대학교 대학원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동 대학원 졸업


주요개인전

2013 서희선 개인전, 델라-페이스 갤러리, 고베

2004 서희선 개인전, 인사아트센타, 서울


주요단체전

2017 판화―다시 피다, 뮤지엄 산, 원주

2003 작은 미술관―꿈꾸는 섬 제주, 국립현대미술관(기획) 국제켄벤션센터, 제주






겨울에서 봄으로 C,석판화,64.5×90cm,1991  

윤명로 Youn Myeungro, 1936

프랫 그래픽센터 판화전공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주요개인전

2017 그때와 지금, 인사아트센터, 서울

1977 윤명로 개인전, 견지갤러리, 서울


주요단체전

1967 제9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상파울로

1963 제3회 파리비엔날레, 그랑팔레, 파리






무제,석판화,120×80cm,1968

이항성 Lee Hangsung, 1919~1997

권중록 화백 지도로 유화 수학(1935~40)


주요개인전

1996 프랑스 초대전, 리옹

1957 제1회 개인전


주요단체전

1958 제5회 국제현대색채석판화비엔날레, 신시내티미술관, 신시내티







순환계,석판화,하드그라운드 에칭,애쿼틴트,릴리프 롤업,100×70cm,2007

(Singapore Tyler Print Institute와 협업)

임자혁 Yim Jahyuk, 1976

크랜브룩 아카데미 오브 아트 페인팅과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대학원 판화전공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주요개인전

2015 조금 이상한 날, 누크갤러리, 서울

2012 원더 월드, 이화익갤러리, 서울


주요단체전

2014 The Third Print, 토탈미술관, 서울

2007 판화의 다양성, 싱가포르 타일러 프린트 인스티튜트, 싱가포르







마음의 흐름 13,석판화,100×70cm,2013 

한규성 Han Kyusung, 195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판화전공 박사 수료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판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공예도안과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염색전공 졸업


주요개인전

2009 Gallery-Space DA 초대전, 갤러리-Space DA, 북경

2007 엔토코갤러리 개관기념 초대전, 엔토코갤러리, 경기도 파주


주요단체전

2017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현대미술관, 서울

2017 복제경―복제된 진천의 풍경, 진천군립생거판화미술관, 진천






작품-595,석판화,77×204cm,1994 WORK-595,Lithography,77×204cm

홍재연 Hong Jeayeon, 1947

경희대학교 미술교육전공 석사

경희대학교 미술교육전공 학사


주요개인전

2016 39th 홍재연 카탈로그 레조네 발간전, 이영미술관, 경기도 용인

1983 제5회 홍재연 석판화전, 윤갤러리, 서울


주요단체전

1980‐현재 한국현대판화가협회전, 덕수궁미술관 등, 서울, 기타

1971 국제판화전, 경복궁미술관, 서울




굳 모닝,석판화,70×100cm,2005

황용진 Hwang Yongjin, 195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서양화전공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주요개인전

2008 황용진 개인전, 갤러리S.P, 서울

1990 황용진 개인전, 예술의전당, 서울


주요단체전

2015 판화 다시 피다, 뮤지엄 산, 원주

2008 한국현대판화,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목차


인사말

DO PRINT! 한국현대판화 60년

최은주, 경기도미술관 관장


경기도미술관에서 ‘판화하다’

신장식, 한국현대판화가협회 회장

기획의 글

판화하다 ― 이미지와 개념의 변주동사

강민지,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도판

각인하다


부식하다

그리다

투과하다

실험하다

한국현대판화사의 개괄적 이해, 그 흐름과 좌표들

고충환, 미술비평가

한국현대판화의 담론과 비평의 흐름(1950 - 2010)

이은주, 아트스페이스 와트 대표

다시 판화란 무엇인가? 어디까지 판화인가?

윤동천, 전시 참여작가 / 서울대 서양화과 교수

한국현대판화 60년 연대표






세부정보

  • 판화하다-한국현대판화 60년

    발행인/ 설원기 |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편집인/ 최은주 | 경기도미술관장

    발행/ 2018.8

    편집기획/ 강민지,장효진

    교열·교정/ 강민지,장효진,장남호

    도록디자인/ 11층

    번역/ 팬트랜스넷

    Ⓒ 2018 경기도미술관/ 15385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268

    이 도록에 실린 글과 사진 및 도판은 경기도미술관의 동의 없이 무단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참여작가/ 강국진, 고자영, 곽남선, 곽태영, 권복희, 권순왕, 권혜정, 김란희, 김미로, 김민호, 김병주, 김봉태, 김상구, 김서영, 김선미, 김승연, 김영진, 김영훈, 김응식, 김이진, 김익모, 김정임, 김정자, 김제민, 김종환, 김창수, 김태혁, 김태호, 김현주, 김형대, 김혜나, 김홍식, 김효, 나광호, 남천우, 노재환, 박광열, 박성미, 박영근, 박주은, 방인희, 배남경, 백금남, 백승관, 서승원, 서희선, 석유선, 성기안, 송대섭, 송인영, 신경희, 신상우, 신수진, 신장식, 신진섭, 안유선, 안정민, 안혜자, 오수진, 원정희, 육경란, 윤동천, 윤명로, 윤병미, 윤신희, 이경희, 이상은, 이서미, 이선원, 이성구, 이순희, 이승일, 이은진, 정우리, 정원철, 정장직, 정주은, 정현조, 정희경, 조정성, 주성태, 주진아, 최미아, 최성원, 최혜민, 하동철, 하원, 한경화, 한규성, 하운성, 한지민, 허문정, 허은영, 홍대의, 홍승혜, 홍윤, 홍인숙, 홍재연, 황연주, 황용진, 황인선, 황현화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