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제7강 유라시아 여신들의 신화

2018-05-23 ~ 2018-05-23 /

2018년 신화와 예술맥놀이 다섯 번째 이야기 중 제7강 <유라시아 여신들의 신화>입니다.


오늘은 5강 <초원 민족의 서사시와 중국 신화 대공정>의 강의를 맡아주신 동아시아 신화연구자 문현선 선생님을 다시 한번 모시고 진행되었습니다. 



7강 <유라시아 여신들의 신화>로 문헌신화와 구비신화 남성영웅과 여성영웅-건국의 영웅, 민중(생활)의 영웅, 농경신 자청비, 심산할미와 삼제석, 창조신화 속의 여신들-인류를 창조한 시조모신, 세계를 완성하는 보천여신, 진흙으로 사람을 빚은 여신 여와-오색석으로 무너진 하늘을 메운 여신 여와, 나무도령과 선녀의 이야기, 바리공주 등의 야야기를 들려 주셨습니다.



신화는 크게 문헌과 구비 두가지 방식으로 전승 되는데요. 우나라의 경우 문헌신화는 역사 기록과 연결되고,  구비신화는 무당의 넋두리와 연관 지어집니다. 신(神)과 인간(人間)의 구분이 절대적이지 않은 세계관에서 신화는 역사의 연장이며, 무당의 넋두리인 본풀이는 신의 계보를 전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보여지는 문헌을 살린 신화들은 건국신화의 형태며 남성 영웅들이 많이 보여집니다. 반면 구비신화에서는 여성 영웅들이 많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바리데기, 당금애기, 자청비, 가믄장아기를 볼 수 있습니다.


< 구비신화 - 바리데기, 당금애기, 자청비 >



  • 바리데기 신화(오구대왕과 저승신 바리)는 바리 공주의 부모는 연이어 딸을 6명 낳게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낳은 자식마져 딸인걸 알게 된 왕은 바리공주를 버리게됩니다. 이후 세월이 흘러 왕은 병에 걸리게 되고 6명의 딸들에게 병을 치유할 수 있는 약수를 구하기를 부탁합니다. 하지만 6명의 딸들은 각자의 핑계를 대며 거절하고 마지막 바리공주가 약수물을 구하러 떠나며, 약수를 지키는 이를 만나고 일정한 댓가를 치루고 왕을 살려내고 공을 받습니다. 




  • 자청비 신화(농경신 자청비)는 자청비는 연하못에 빨래를 하러 가는데 그곳에서 글공부를 하러 내려온 문곡성의 아들인 문도령을 만나게 됩니다. 문도령에게 반한 자청비는 남장을하고 문도령에게 함께 글공부를 하자는 말로 접근하여 동문 생활을 시작 되었습니다. 동문수학한 지 3년, 문도령은 "이제 슬슬 결혼을 할 때가 되었으니 천상으로 올라오라"는 아버지 문곡성의 말을 따라 하늘로 올라갈 시간이 되었다.
  • 이후  자청비는 자신의 정체를 밝히고 문도령과 삼 년 동안 속여 오던 사랑의 회포를 풉게 되고, 문도령은 결혼을 약속하고 천상으로 떠나게 되었는데, 하늘로 올라간 문도령에게는 아무런 소식도 들을 수 없었습니다. 그때 자청비의 집에는 '정수남'이라는 남자 노비가 있었는데, 정수남은 남 몰래 자청비를 좋아했는데, 문제는 자청비가 문도령을 기다리며 독수공방을 하고, 자신에게 마음을 열어 줄 것 같지 않았다는 점이다.
  • 결국 정수남은 자청비를 강간할 계획을 세운 뒤 정수남은 자청비에게 "뒷산에 며칠 있으면 문도령이 내려온단다"라며 거짓말을 했고, 자청비는 뒷산 굴미굴산 꼭대기에 움막을 짓고 문도령을 기다리기로 했다. 그리고 혼자 있는 자청비를 정수남이 덮치려고 하자, 자청비는 기지를 발휘하여 "수남아, 네가 하자는대로 해 줄 테니까 이러지 말고 우리 천천히 하자. 우선 내가 네 머릿니를 잡아줄게"하고 정수남에게 무릎베개를 했다. 일이 잘 풀린다고 생각한 정수남은 자청비의 무릎을 베고 눕고, 자청비는 정수남이 무릎베개를 하고 잠든 사이 귀 밑을 찔러 살해하였습니다.
  • 자정비의 부모는 사람을 죽인 딸을 내치고, 그로 인해 정수남이를 죽인 자청비는 남장을 하고 문도령을 직접 찾아가기 위해 집을 떠나게 됩니다. 자청비가 세상을 떠돌아다닐 때, 서천꽃밭의 꽃감관 사라수대왕에게는 고민이 하나 있었다. 어느 날부터인지 꽃밭에 올빼미가 날아와 꽃을 상하게 하는 것이었다. 꽃감관과 서천동자들의 힘으로는 이 올빼미를 잡을 수가 없었던 터라 널리 방을 붙여 올빼미를 쫓아주는 자에게 자신의 딸을 주어 사위로 삼겠노라고 공표했다. 자청비는 미리 준비했던 나무침으로 올빼미는 정수남의 화신임을 눈치 챈 자청비는 올빼미를 유혹하여 살해하였습니다.
  • 이렇게 해서 서천꽃밭의 사위가 된 자청비는 정수남을 환생꽃으로 부활시켜서 집에 데려갔으나, 자청비는 부모에게 사람 죽였다 살렸다 하는 괴물 소리를 듣고 다시 쫓겨났다.
  • 꽃감관의 사위로서 일하던 자청비는 할 일이 있다며 슬쩍 빠져나왔고, 천신만고 끝에 하늘나라에 옷감을 짜서 보내는 할머니를 만났다. 옷감 짜는 할머니를 만난 그녀는 할머니의 옷감 짜는 일을 도우며 옷감마다 자신의 이름을 수놓아 보냈고, 하늘나라에서 빈둥거리며 자청비를 잊었던 문도령은 그제야 생각이 났던지 자청비를 찾아갔다.
  • 자청비는 드디어 자신을 찾아온 문도령에게 "내가 꽃감관의 사위가 되어버려서 꽃감관의 딸이 안타깝게 되었으니 가서 보름만 있다가 오세요" 라고 대범하게 문도령을 꽃감관의 딸에게 보낸다. 그런데 문도령이 세 달이 지나도록 꽃감관의 딸이랑 차리고 안 돌아와서 쳐들어와서 끌고 왔다.
    • 자청비는 문도령을 만나고 부모(문곡성)의 시험을 거쳐 서수왕 아기를 물리친 뒤 며느리가 됩니다. 그 후 천상의 악들에 의해 독주를 마셔 살해된 문도령을 서천꽃밭 환생꽃을 따다 구하고, 자청비가 난리를 평정하고 오곡의 씨를 얻어 지상에 내려와 여신이 된 자청비와 문도령은 농경신이 되고 두번이나 죽여서 미안한 정수남이는 목축신이 됩니다.





  • 당금애기신화(삼신 할미와 삼제석)는 부모가 당금애기를 가두고 외인과의 접촉을 금하던 중 스님이 시주를 요청하고 당금애기는 시주를 주게 되는데요. 여기서 당금애기의 잉태를 암시하는 행동이 보여 집니다. (스님이 재워주기를 요청하고 당금애기와 동침한다.) 이후 스님은 아들 낳을 것을 예언하고 찾아오는 법을 알려고 떠납니다. 얼마 후 당금애기는 아이를 잉태하게 되었고, 가족들에게 알려지게 되어 벌을 받았으나 면하게 됩니다. 대신 추방당하게되어 스님을 찾아갑니다. (당금애기는 감금당해 아들을 낳는다.) 아들과 당금애기에게 신직을 부여하는 이야기 입니다. 




<시조모신(始祖母神)과 보천여신(補天女神)>


  • 유라시아 신화에서 여신은 대체로 시조모 또는 천지재창조의 주역으로서 역할을 수행합니다.

    ex.) 시조모: 웅녀, 희화와 상희, 타포란, 포고리옹순, 여와, ......

    ex.) 보천여신: 여와, 마이다르 아가씨, 하이룬 아가씨, ......


  • 시조모는 출산의 방식을 통해 생명을 탄생시키지만, 빚는 방식을 통해 생명을 창조하는 여신도 있습니다. 하늘을 창조하는 신이 여신이 아닐 수 있지만, 하늘을 기우고 메우는 것은 지상의 돌이지만, 여신은 이 지상의 자원을 천상의 것으로 만들며, 무너진 하늘을 기우고 메우는 것 또한 여신입니다.



<여와 여신>


     


  • 위에서 이야기하였듯이 빚는 방식을 통해 생명을 창조하고 하늘을 메우는 여신을 여와라고 합니다.


  • 중국의 신화에서 자주 소개되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여와신화는 하늘과 땅이 열리고 나서 아직 사람이 없을 때, 여와(女媧)가 누런 흙을 뭉쳐서 인간을 만들었는데, 너무 피곤하고 힘이 모자랐습니다. 이에 굵은 노끈을 진흙에 끌었다 드니 (진흙이 떨어져) 사람이 되었다고 합니다.그러므로 부유하고 고귀한 사람은 (손으로 빚어 만든) 누런 흙사람이고, 가난하고 평범한 사람은 노끈으로 만든 사람이라고 합니다.

원가(袁珂), 《중국신화대사전(中國神話大詞典)》


  • 여와가 하늘을 메우다(女媧補天)는 옛날, (하늘의) 네 귀퉁이가 무너지고 (땅의) 아홉 지역(九州)가 모두 갈라져, 하늘은 땅을 다 뒤덮지 못하고 땅은 제대로 평평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사방에서 불꽃이 피어 사그러지지 않았으며 물이 넘쳐 흘러 멎지 않았고, 사나운 짐승들이 애꿎은 백성들을 먹어치우고 사나운 새들이 나이 든 이와 연약한 이를 채갔습니다. 그래서 여와(女媧)는 오색석(五色石)을 달구어 푸른 하늘을 메우고, 커다란 자라의 발을 잘라서 하늘의 네 귀퉁이를 세우고, 검은 용을 죽여서 기주(冀州)를 구하고, 갈대를 태운 재를 쌓아서 넘쳐 흐르는 물을 멎게 했다고 합니다.

《회남자(淮南子)․천문훈(天文訓)》



<나무도령 신화>



  • 나무도령 신화 옛날 어떤 곳에 한 그루 교목(喬木)이 있었는데, 그 나무 아래에 천상의 선녀(仙女) 한 사람이 내려와 그 목신(木神)의 정기로 잉태하여 한 미남자를 낳았습니다.
  • 미남자는 목신의 아들이므로 그를 목(木) 도령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목도령이 칠팔 세 되었을 때, 선녀가 천상으로 돌아가 버리자, 큰 비가 몇 달 동안 계속 내려 온 세상이 물바다가 되었고, 교목 또한 넘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때 교목은 목 도령에게 "어서 내 등에 올라 타거라"라고 이야기 하였습니다.                          목 도령은 그 나무를 타고 정처 없이 표류(漂流)하게 되던 중 목 도령은 목신에게 부탁하여 홍수에 떠내려가는 개미 떼와 모기의 떼를 구출해 주었습니다. 개미 떼와 모기 떼를 싣고 지향 없이 가는 교목을 향하여 구원을 요청하는 사람의 목소리가 들렸습니다. 목 도령과 같은 연배의 남자였는데, 목 도령이 이 사람을 구해 주려고 하였지만 교목은 반대하였습니다. "사람은 구하지 말아라."라고 하였지만 목 도령은 아버지인 교목에게 애원하여 그 남자를 구해 주었습니다. 그때에 교목은 "너의 애원을 못 이겨 구해 주었지만, 다음에 반드시 후회할 날이 있으리라."라고 외쳤습니다.
  • 교목은 마침내 어느 조그만 섬에 표착(漂着)하게 되었고, 홍수로 인하여 모든 세상이 물에 잠겼으나 오직 이 높은 봉우리만 머리를 내밀고 있었습다. 두 아이는 그 섬에 내려 개미와 모기들은 목 도령에게 치사(致謝)하고 각각 제 갈 곳으로 가 버렸습니다.
  • 두 아이는 그 섬에 단 하나 있는 일간 두옥(一間斗屋)을 발견하였데, 거기에는 한 노파와 두 처녀가 살고 있었다. 두 처녀는 또한 두 아이와 동년배였는데, 한 처녀는 노파의 친딸이었고 다른 처녀는 그 집의 수양딸이었습니다. 비가 그치고 홍수는 물러갔으나, 산 아래 세상에는 사람의 흔적을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노파의 집에서 사는 동안 두 쌍의 소년 소녀는 성년기에 이르렀습니다. 노파는 이들을 부부로 하여 세상에 인종(人種)을 퍼뜨리고자 하였지만, 두 청년이 서로 수양딸을 취함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파는 고심하였다. 
  • 하루는 구조된 청년이 친딸을 차지하기 위한 모략으로 노파에게 가만히 말하였습니다.   


"목 도령은 한 섬의 좁쌀을 모래밭에 흘리더라도, 순식간에 그 좁쌀을 모래 하나 섞이지 않게 도로 주워 내는 재주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 재주는 좀처럼 친한 사람이 아니면 보이지 아니합니다."


  • 노파는 그 신기한 재주를 보고 싶어 목 도령에게 청하였는데, 목 도령은 그런 재주가 없다고 사실대로 말하였습니다. 그러나 노파는 다른 청년의 말을 믿고 목 도령이 자신을 무시한다고 하며 크게 노(怒)하여 그 재주를 보여 주지 않으면 딸을 주지 않겠다고 하였습니다. 목 도령은 할 수 없이 한 섬의 좁쌀을 모래밭에 흩어 놓고 그것을 들여다보며 탄식만 하고 있었는데, 그 때 난데없이 개미 떼가 와서 좁쌀을 하나씩 입에 물어다가 원래의 섬에 넣었고 순식간에 좁쌀은 모래 한 알 섞이지 않고 원래의 한 섬이 되었습니다. 그런 뒤 개미 떼는 저희 갈 곳으로 가고 저녁때가 되어 노파는 다른 청년을 데리고 모래밭에 나타났습니다. 노파는 감탄하면서 친딸을 목 도령에게 시집 보내려 하였습니다.
  • 그러나 다른 청년이 매우 못마땅하게 여기므로 노파는 한 계책을 세웠는데, 어느 어두운 밤에 노파는 두 청년을 밖으로 내보내고 두 처녀를 동쪽과 서쪽의 두 방에 들어가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두 청년에게 서로 들어가고 싶은 방에 들어가서 배필을 취하라고 하였습니다. 그때 한 마리의 모기가 목 도령의 귀 옆으로 지나가면서, '동쪽 방으로 들어가라'라고 하였습니다. 목 도령은 그 말대로 하여 노파의 친딸을 얻게 되었고 지금 세상 사람들은 모두 이 두 쌍의 부부의 자손이라고 합니다.

손진태(孙晋泰), 『조선민담집(朝鮮民譚集)』, 東京: 鄕土硏究社, 1930.




<유라시아 여신과 수목신앙>


여신들은 수목으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수목으로 잉태하기도 합니다.


  • 물푸레나무, 계수나무, 버드나무, 떡갈 나무등 나무들이 신화와 연결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버드나무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이 아래로 늘어진 형태의 버드나무는 가지를 꺽어 흙 속에 심어도 잘자란다고 합니다. 이런 모습을 볼 때 여신의 잉태 모습으로 많이 비유되어 표현합니다. 떡갈나무의 경우 신화의 제우스의 상징으로 강한 남성신, 강력함의 상징으로도 표현됩니다.



오늘의 강의는 위의 글을 보았듯이 다양한 신화이야기로 구성되었습니다.

어느덧 신화와 예술맥놀이 다섯번째 이야기 <유라시아 신화여행>이 마지막 한 강만을 앞두게 되었습니다.  



다음주 8강에서는 <곰과 인간의 만남: 아이누 신화를 중심으로>가 진행됩니다. 마지막 강의는 더욱 유익한 내용들로 준비하였으니, 마지막까지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 )♡






<영상 출처>

-바리공주 애니메이션(princess Bari )

https://www.youtube.com/watch?v=Y8KfXeJVFvA


-자청비(2017제주특별자치도립무용단 상설공연 자청비 공연하이라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hEr_esP6gJE


-도당굿 삼제천(Exorcism on the third day of the third lunar month in Korea)

https://www.youtube.com/watch?v=JO2X56hR3Fw





세부정보

  • 일시/ 4.11~5.30 매주 수요일 19:00~21:00

    장소/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홀

    강사/ 문현선(동아시아 신화연구자)

    문의/ 031-231-7237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