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2025 경기예술지원 2차 공모’ 시행

청년예술인 자립준비금 지원 외 4개 부문 지원

▶ 청년예술인 자립준비금 지원 외 4개 부문 지원 ▶ 공고일자 : 2025.4.11.(금) ▶ 서류접수 : 2025.4.14.(월) ~ 2025.4.25.(금) 16시 / 결과발표: 2025.5.26.(월) 예정오는 4월 11일,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유정주)은 ‘2025년 경기예술지원’ 1차 공모에 이어 2차 공모를 시행한다. 이번 공모는 진입장벽이 높은 1차 공모의 문턱을 낮추고 청년, 신진, 원로, 창작공간 등 다양한 대상에 따른 맞춤형 지원 체계를 통해 경기도 예술인과 예술단체의 안정적인 창작활동 기반을 지원하고자 계획했다.'2025년 경기예술지원 2차 공모'는 ▲청년예술인 자립준비금 지원 ▲경기예술 생애 첫 지원 ▲원로 예술활동 지원 ▲창작공간 임차료 지원 총 4개 부문으로 이루어진다. 〈청년예술인 자립준비금 지원〉은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1985.01.01.~2005.12.31. 출생자) 청년 예술인 200명에게 개인별 300만원의 창작 및 자립 활동을 위한 준비금을 지원한다.〈경기예술 생애 첫 지원〉은 공모지원 사업에 처음 발을 내딛는 문학, 시각예술, 공연예술 분야의 예술인(단체)의 창작 및 발표 활동을 지원한다. 공고일 기준 경기문화재단을 포함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그 산하기관에서 주관하는 기초예술 분야의 창작 및 발표활동 공모지원 사업에 선정 이력이 없는 경우 지원 신청이 가능하다.〈원로 예술활동 지원〉은 문학, 시각예술, 공연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만 65세 이상(1959.12.31.이전 출생자) 원로 예술인의 창작 및 발표 활동을 지원한다. 문학과 시각예술 분야의 신청 자격은 개인에 한하며, 공연예술 분야는 개인뿐 아니라 출연자의 최소 50% 이상이 원로 예술인(만 65세 이상)으로 구성된 단체 또한 지원신청 할 수 있다.〈창작공간 임차료 지원〉은 예술 활동의 기반이 되는 창작공간의 임차료를 지원한다. 예술인 및 예술단체의 자립을 위한 창작공간의 월 임차료를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한다.‘2025 경기예술지원 2차 공모’는 4월 11일 공고되며,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www.ncas.or.kr)을 통해 4월 14일 월요일부터 4월 25일 금요일 16시까지 접수 가능하다. 접수 마감 이후에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단의 심의를 거쳐 5월 26일 월요일에 선정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이번 공모의 공통 신청 자격은 경기도에 주소를 둔 예술인 및 예술단체며, 지원 분야에 따라 신청 자격이 상이하므로 접수 전 반드시 공고문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청년예술인 자립준비금 지원〉외 분야에는 여러 사업을 중복해 지원신청 할 수 없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문의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바로가기, 경기예술인지원센터 누리집 바로가기

2025. 4. 14 - 2025. 4. 25

더보기

백남준아트센터

백남준아트센터《전지적 백남준 시점》개최

백남준의 인터뷰 영상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전시

▶ 백남준의 눈으로 백남준의 작품을 보고, 음악을 듣고, 글을 읽으며 백남준의 비디오 실험에 다가가는 전시 ▶〈자석 TV〉, 〈참여 TV〉,〈천왕성〉, 〈TV 피아노〉등의 작품 통해 ‘시간’에 대한 백남준의 사유를 따라가는 구성 ▶ 개막식에서 지춘성 배우가 백남준의「임의접속정보」를 낭독, 거문고 연주자 박다울의 즉흥 연주 선보여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관장 박남희)는 2025년 4월 10일부터 2026년 2월 22일까지《전지적 백남준 시점》을 개최한다. 《전지적 백남준 시점》은 백남준의 지난 인터뷰 영상을 중심으로 그가 전달하고자 했던 시간의 개념을 다층적으로 다루는 전시다. 《전지적 백남준 시점》이라는 제목은 백남준의 눈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음악을 듣고 글을 읽으면서, 비디오를 매개로 한 백남준의 시간 실험에 참여하게 된다는 의미다. 백남준아트센터가 소장한 2,285점의 비디오 아카이브 중 한국, 미국, 일본, 독일 등 다양한 국가에서 방영된 백남준의 인터뷰 영상을 편집하여 작품과 함께 상영한다. 비디오를 그림에 빗대어 설명하고, 전자기술을 시연하는 등 생생한 백남준의 모습도 만나볼 수 있다.〈달은 가장 오래된 TV〉Moon is the Oldest TV, 1965 (2000)이번 전시는 백남준 예술에서 다뤄진 시간의 속성을 조명하고 시간의 폭넓은 가능성에 질문을 던진다. 13개의 모니터에 초승달부터 보름달까지 변화하는 달의 모습을 담은〈달은 가장 오래된 TV〉는 시간에 대한 백남준의 실험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백남준은 비디오가 새로운 시간을 경험하게 해준다는 점에 주목했다. 〈달은 가장 오래된 TV〉를 설명하는 WNET 방송국과의 인터뷰에서는 비디오 예술가들이 추상적인 시간을 발견했다고 말한다. 또한 “시간은 느낄 수 있지만,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저는 시간의 일부분을 붙잡아 공간에 배치하고 싶었어요.”라고 언급하며 변화하는 달의 모습을 자신만의 기술 방식으로 시연한다. 인터뷰와 작품을 함께 감상한다면 ‘추상적 시간’을 시각화하고자 한 백남준의 실험에 더 깊이 몰입할 수 있을 것이다.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Paik-Abe Video Synthesizer, 1969 (1972)〈달은 가장 오래된 TV〉 외에 〈촛불 TV〉, 〈자석 TV〉, 〈참여 TV〉,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TV 정원〉 등 백남준의 실험적인 작품 약 10점이 백남준의 인터뷰와 함께 전시된다. 백남준은 일본 NHK 방송국과의 다큐멘터리에서 〈참여 TV〉, 〈자석 TV〉, 〈촛불 TV〉를 제작하게 된 배경과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했다. 특히 전시에 출품된〈자석 TV〉는 장 폴 파르지에의 단편 영화 〈남준, 한 번 더〉에서 시연한〈자석 TV〉와 동일한 작품으로, 전자적으로 만들어진 감각적인 화면을 직접 감상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백남준은 독일 ARD 방송국과의 인터뷰에서〈백-아베 신디사이저〉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인터넷과 미디어를 직접 다루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여, 시대를 앞서간 예술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 1969년의 하워드 와이즈 갤러리에서 열린 전시 《창조적 매체로서의 TV》에 출품되었던〈세 대의 카메라 참여〉역시 이번 전시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전시 기록 영상에서 백남준이 작품을 설치하는 모습까지 함께 관람할 수 있어 그의 작업 방식과 창작 과정까지 엿볼 수 있다는 점이 전시의 의미를 더한다.〈천왕성〉 Uranus, 1991인터뷰 영상과 함께 전시되는 작품 외에도 백남준의 시간을 경험할 수 있는 비디오 조각들이 전시된다. 과거의 도구부터 현재 문명까지 아우르는 기술적 상상력을 보여주는〈비디오 샹들리에 No.1〉와 우주로 확장된 예술적 상상력을 보여주는〈천왕성〉, 백남준의 음악과 비선형적인 시간을 보여주는〈TV 피아노〉등이다.〈천왕성〉은 2006년 리움미술관의 소장품 전시 이후 처음 공개되는 작품으로 24대의 모니터와 화려한 네온으로 구성된 아름다운 작품이다. 또한 이번 전시를 통해 백남준아트센터의 새로운 소장품인 피터 무어의 사진 7점이 공개된다.〈TV 첼로〉를 공연하는 샬럿 무어먼과 백남준, 텔레비전을 실험하는 백남준 등 생생한 모습이 담긴 피터 무어의 사진은 관람객이 백남준과 한층 가까워지도록 이끌 것이다.전시는 백남준의 작업실인 메모라빌리아에서 나온 아카이브 오브제와 백남준의 글로 마무리된다. 작은 장난감, 백남준의 편지 등 오래된 물건에서 나오는 예술가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아카이브와 함께 비치된 백남준의 글은『말에서 크리스토』에 수록된 「임의접속정보」,「인풋 타임과 아웃풋 타임」,「실험 TV 전시회의 후주곡」등 시간을 다루는 여섯 편의 글로 이번 전시와 백남준을 더욱 깊이 들여다볼 수 있게 한다.■ 개막 행사와 전시 연계 상영회 개최전시 개막식에는 다층적 시간의 개념에 관람객들이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백남준의 글「임의접속정보」낭독회가 열릴 예정이다. 백남준이 1980년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발표한 강의를 토대로 한「임의접속정보」는 시간과 비디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글이다. 낭독회는 배우 지춘성의 낭독으로 진행된다. 개막식 퍼포먼스로는 거문고 연주자 박다울이 피아니스트 김준서와 함께 즉흥 연주를 선보일 예정이다. 박다울은「슈퍼밴드2」 출신으로 국악의 범위를 확장하고 다양한 창작 활동을 펼치고 있는 연주자다.백남준아트센터에서는 이번 전시와 연계하여 5월부터 12월까지 백남준의 작품과 다큐멘터리 등을 상영하는 랜덤 액세스 홀 상영회를 개최한다. 랜덤 액세스 홀 상영회는 백남준아트센터가 매월 선정한 백남준 관련 비디오를 상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전시에 삽입된 인터뷰 영상의 풀버전을 순차적으로 상영할 예정이다. 백남준의 작품인〈마이 믹스 81〉로 시작하여 장 폴 파르지에 감독의 단편 영화 〈남준, 한 번 더〉, 그리고 미국 WNET 방송국에서 방영한〈백남준: 텔레비전을 위한 편집〉과〈창조적 매체로서의 TV〉, 독일 WDR 방송국의 다큐멘터리〈아방가르드는 당당하다〉까지 매월 한 편씩 상영회를 가지며, 관람객이 백남준의 예술 세계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할 것이다.문의 백남준아트센터 누리집 바로가기 

2025. 4. 10 - 2026. 2. 22

더보기

경기상상캠퍼스

경기상상캠퍼스, 봄의 숲을 만끽하는 '봄꽃포레 숲숲라이브' 개최

봄꽃이 만연한 숲에서 즐기는 신나는 재즈 공연과 피크닉

▶ 경기상상캠퍼스 연간 문화축제 중 첫 번째 문화축제 ‘봄꽃포레 – 숲숲라이브’ 개최 ▶ 봄꽃이 만연한 숲에서 즐기는 신나는 재즈 공연과 피크닉경기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대표이사 유정주)는 4월 19일부터 20일까지 경기상상캠퍼스에서 ‘봄꽃포레 숲숲라이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자연 속에서 봄을 만끽하며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축제로, 재즈 공연과 피크닉, 원데이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됐다.특히, 이번 축제는 경기상상캠퍼스에서 그간 선보인 적 없던 재즈 장르의 공연을 진행한다. 초록이 우거진 숲속에서 감상하는 재즈 선율은 관객들에게 특별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19일 공연은 SoWhat NOLA, 새비, 김태수 재즈 오마카세, LosTrio with 난아진이 참여하며 20일 공연은 아웃오브캠퍼스, 함석진 Alliance, 이재원 월드재즈유닛이 참여한다. 공연은 양일 간 오후 12시 30분부터 5시까지 진행된다.또한 청년1981 앞에서는 석고인형 색칠하기, 비누 만들기, 터프팅, 플라워아트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인 ‘상상 놀이터’가 운영되며, 아트숍 팝업 부스에서는 피크닉 세트를 대여하여 방문객들이 피크닉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2025년의 봄을 기념하며 4컷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레포토존도 마련돼 참여자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경기상상캠퍼스 관계자는 “이번 축제를 통해 다 장르 콘텐츠로 구성된 시즌별 문화축제 모델을 구축하고 경기상상캠퍼스의 브랜드 영상인 ‘숲숲라이브’를 오마주한 오프라인 공연으로 도민에게 더 많은 문화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라며 “앞으로도 도민들이 문화와 자연을 함께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봄꽃포레 - 숲숲라이브’는 경기상상캠퍼스를 찾는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으며, 일부 체험프로그램은 유료로 진행된다. 문의 경기상상캠퍼스 누리집 바로가기 

2025. 4. 19 - 2025. 4. 20

더보기

문화 행사 안내

경기도 전시, 공연, 교육, 행사 일정

ggc guide

지지씨 테마 키워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예술가
의 코로나 처방전

ggc tour

지지씨와 함께하는 여행

지지씨가 추천하는 책

문화예술분야 도서를 소개합니다

지지씨 이슈

지지씨가 소개하는 문화예술

문화소식

경기도의 여러 소식을 전합니다

우리동네 소식

함께하면 더 즐거운 우리동네 이야기

오늘의 지지씨

가장 새로운 경기도를 만나보세요

경기문화재단, 2025년 경기도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시·군 정담회 개최

문화누리카드 이용 활성화 위한 소통의 장 마련

경기도어린이박물관, 새단장한 3층 상설전시실 공개

14년 만에 새단장 후《우리는 지구별 친구들》신규 전시 개막

경기도박물관 소장〈조영복 초상〉, ‘2025 뮤지엄·만나다’ 사업 최종 선정

경기도박물관 초상화 컬렉션의 시작을 상징하는 보물〈조영복 초상〉

2025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동두천소방서 소방안전 체험교육 운영

이동안전체험차량을 활용해 화재 예방 및 대피, 생활안전 등 체험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경기창작캠퍼스 문화예술 대관 시설 안내

개인연습실, 합주실, 무용실, 세미나실, 야외공연장 등 문화예술 활동 위한 대관 시설 운영

“실학박물관 그린 어린이날 : 실학 숲티어링” 참가자 모집

2025년 실학박물관 어린이날 특별 교육체험

경기도미술관 신진작가 옴니버스전 아티스트 토크

《박예나 : Invesium 뒤집힌 틈》의 전시 연계 프로그램

경기도어린이박물관, 용인교육지원청과 협력 용인미르아이 공유학교 운영

4월 5일부터 4주간 매주 토요일, 초등학생 3~4학년 대상 AI 활용 ‘우리가 만드는 DMZ 이야기’ 교육 운영

경기도미술관에서 벚꽃으로 Chill해볼래?

5월까지 경기도미술관 뮤지엄숍 ‘벚꽃Chill 상점’으로 개편 운영

경기창작캠퍼스, 2025년 등록 동호회 공개 모집

4월 18일(금) 16시까지 지지씨멤버스를 통해 신청 접수

도민을 위한 변화〈경기도-공공기관 정책협의체 워크숍〉개최

2025년 경기도 문화정책 공유와 미래 비전 모색

국립현대무용단 어린이 무용 얍! 얍 !얍! - 경기 광주

[갤러리끼]《감각 너머 예술》작가와의 대화

정현, 우종택 작가와 함께하는 아티스트 토크

감각 너머 예술

More than meets the eye

닻별전

모든예술31 선정작

경기젊은작가 소장품 기획전《맥박 잇-기》, 평택시 복합문화공간 공간미학에서 개최

경기문화재단, 청년작가들의 첫 기록을 담은 기획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