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기관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은 지지씨 콘텐츠를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기관의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기관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 직 책 : 경영본부장
- 직 급 : 본부장
- 연 락 처 : 031-231-7203
-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 화 : 1833-6972
-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 화 : (국번 없이) 182
-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첨부하기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등록/수정에 맞게 업로드 해 주세요.
* 최대 업로드 가능 용량은 5MB입니다.
한글, 워드 파일 외 압축파일(zip) 가능합니다.
유의사항
경기문화재단
신들의 정원, 동구릉에 시선이 머무르다
[경기학광장] 경기학광장Vol.1 _ Trip & healing
< 신들의 정원, 동구릉에 시선이 머무르다 > - 경기학광장Vol.1 _ Trip & healing -경기학광장은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가 발간하는 계간지입니다. 경기도와 31개 시군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있는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고자 합니다. 전문학자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가진 누구라도 즐길 수 있도록 문을 활짝 열어두겠습니다. 경기학광장의 더 많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경기도사이버도서관에서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신의 정원이라 불리는 왕릉 숲은 직장 인들에게는 점심식사 이후 휴식과 함께 숲을 거닐 수 있는 좋은 공간이다.유럽의 조경 전문가들이 조선왕릉을 두고 신의 정원이라 했다던가? 한 왕조가 500년이 넘도록 유지되고 또 그 왕들의 무덤이 온전하게 보전된 유래가 세계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경우라니 참 놀라운 일이다. 그 중에서도 동구릉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40기의 능 가운데 아홉 기가 자리하고 있다. 22.5퍼센트다. 1408년 태조의 건원릉이 조성된 이후 마지막으로 1855년 익종의 수릉이 이전해 아홉 개의 능을 이루었다. 191만 5,891제곱미터, 약 59만 평에 9릉 17위의 왕과 왕비들의 능이 조성되어 있다. 동구릉은 축구장 230여개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쯤 되면 왕릉이 숲을 품은 것이 아니라 숲이 왕릉을 품은 것이 아닐까?햇살에 눈이 부시고 하늘이 푸르른 이른 봄날, 신의 정원 동구릉으로 간다. 숲을 가로질러오는 바람에서 봄 향기와 따뜻함이 함께 묻어온다. 짝꿍의 손을 꼭 잡고 뒤뚱대며 소란스럽게 숲을 산책하는 꼬마들을 지나, 휠체어에 앉아 맑은 웃음을 짓는 은발의 소녀를 지나, 푸른색 셔츠 소매를 걷어 올린 건장한 청년의 목덜미를 지나 그 바람이 다시 숲으로 달아난다. 500년 전에도 저 바람은 있었으리라.동구릉을 들어서면 이름 모를 석공들의 문인석과 무인석이나 솜씨 좋은 목수들의 정자각보다 홍살문을 따라 양쪽으로 나있는 숲길과 먼저 마주한다. 각 왕릉의 금천교를 지나서 모인 맑은 물과 나무와 나무 사이를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날고 있는 아름다운 새들을 그 숲길에서 만난다. 운이 좋은 날은 새끼를 데리고 산책을 다니는 고라니와 함께 까마귀 울음을 흉내거나 고양이 울음을 흉내내 며 숲속을 날고 있는 어치를 만날 수 도 있다.왕들이 잠들어 있는 왕릉 옆에는 어디든 숲길이 함께 한다. 산책로를 따라 잣나무 숲도 지나고 떡갈나무, 소나무 숲도 지나게 된다. 그곳이 왕릉이라는 생각은 잠시 접어 둔다. 숲길을 산책하는 사람들이 도란도란 주고받는 낮은 속삭임을 따라 걷다 보면, 햇볕이 예쁘게 모이는 길의 끝에서 계절을 따라 어김없이 잊지 않고 찾아오는 작은 풀꽃들에게 시선이 머무르게 된다. 그곳에서는 흔하게 밟히는 토끼풀조차도 세상에서 제일 아름다운 꽃으로의 변신을 서두르고 있다. 알록달록 화려하지 않아도, 천지를 감싸는 향기를 내뿜지 않아도 그것들이 얼마나 예쁜 존재인지를 아이들은 알고 있다.▲ 왕릉 숲은 아이들에게 숲 놀이터를 제공하는 좋은 공간이기도 하다.왕릉 숲에 있는 모든 것들은 새들과 곤충과 동물들의 삶의 공간이자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먹이그물로 얽힌 공간이기도 하다. 홍살문은 제 몸을 기꺼이 나누어 딱따구리를 길러내고 또 그들이 떠난 자리에 동고비 부부가 새로운 보금자리를 꾸며 새끼들을 키우게 하고, 지난 가을 노랑털알락나방에게 자리를 내어 주었던 참빗살나무는 막 돋아난 나뭇잎을 나누어 애벌레를 키워낸다. 그래서 초록이 넘치는 5월의 숲에는 알에서 막 깨어난 애벌레들의 줄타기 와 새끼들을 길러내는 어미 새들의 애벌레 사냥으로 분주하다. ▲ 동고비가 둥지를 튼 홍살문. 딱따구리가 떠난 둥지에 진흙으로 입구를 좁힌 후 새끼들을 키우고 있다.▲ 노랑털알락나방 애벌레와 참빗살나무시간이 허락하는 날은 멀리 치유의 숲길을 걸어 하늘정원에 있는 왕릉숲 쉼터에 닿으면 차를 마셔도 좋고, 눈이 베일 것 같은 푸른 정원을 내다보며 책을 읽어도 좋고, 이 세상 소리가 아닌듯한 새들의 노래를 들으며 아무 생각 없이 앉아만 있어도 행복하다.마음 한자락 붙일 곳 없는 어느 하루가 오면, 주저 말고 발걸음을 옮겨 흔들리는 마음 한 자락을 그곳에 내려놓고 오시길.... 사계절 쉬지 않고 피어나는 수많은 야생화와 수백 종의 나무들이 그대를 기다리는 신의 정원이 있다. ▲ 왕릉숲 쉼터▲ 숲속 도서관4월과 5월의 동구릉. 뜻하지 않은 곳에서 만나는 야생화와 나무는 참 반갑다. 사람들이 오고가는 길목에 피어 있지만 특별하게 눈 길을 주지 않으면 발견할 수 없는 작은 꽃들이 있다. 거기에 숲속에서 드물게 자라 쉽게 만날 수 없는 들꽃들을 보는 행운은 참 즐겁다.▲ 나도개감채 Lloydia triflora Bak er백합과다년생 초본이며 우리나라 중·북부 이북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최근에는 남도의 높은 산에서도 드물게 자란다.나도개감채는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이다. 기후 변화로 멸종 또는 감소 위기에 놓인 산림식물을 왕릉 숲에서 만날 수 있다. 무리지어 있지 않고 드문드문 피어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이 오히려 다행인걸까? 처음 만났을 때보다 개체수가 감소했지만 매년 찾아와 주니 반가울 따름이다. 넓은 숲길을 걷다보면, 매발톱나무 잎이 돋아나기 전에 서둘러 세상 밖으로 나와서 수줍게 자태를 뽐내며 햇빛을 받고 있는 나도개감채를 만날 수 있다.▲ 남산제비꽃 Viola albida var.chaerophyllodies 제비꽃과 다년생 초본이며 산기슭 부식질이 많은 나무숲이나 길가에 자란다.남산제비꽃은 세 갈래로 갈라진 잎이 다시 두 갈래로 갈라지는 형태여서 잎 모양만으로도 쉽게 알 수 있다. 생활하고 있는 주변에서보다는 생태보존이 잘 된 숲속에서 주로 자란다. 향기가 없는 제비꽃 종류가 많지만 남산제비꽃 만큼은 달큼하고 향긋한 내음이 진하게 난다. 동구릉 숲속 여기저기 하얀 제비꽃이 피면 향기와 함께 순백의 자태를 뽐낸다.일본인 학자에 의해 일제 강점기 때 남산에서 채집되었고, 학명이 없던 이 꽃을 등록하면서 남산제비꽃이란 이름을 붙였다. 남산에서 처음 발견 된 제비꽃은 아닐 테지만(전국의 산지에서 발견 됨)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꽃과 나무에 처음으로 학명을 부여하고 등록하면서 일본인의 이름이 학명이나 발견자로 국제 사회에 등록된 식물중 하나로 아픈 역사의 한 토막을 보여 주는 꽃이다. ▲ 들현호색 Corydalis ternate Nakai 현호색과 여러해살이 풀로 중남부지방의 들에서 자란다.현호색(玄胡索)은 씨앗이 검은색을 띈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기름진 땅이나 척박한 땅 등 가리지 않고 잘 자란다는 의미도 있다. 전 세계에 약 2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17종이 자라고 있다. 서양 사람들은 속명을 코리달리스라고 붙인 것을 보면 꽃 모양이 종달새 머리와 비슷해 보인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잎의 모양이나 꽃모양, 꽃의 색깔에 따라 종류가 많다. 동구릉에도 온갖 종류의 현호색이 피어난다. 키가 작아서 숲길을 걷는 사람들에게 자주 밟히기도 하지만 무리지어 피기 때문에 쉽게 눈에 뜨인다. 1897년 민병호가 궁중비방에 서양의학을 접목시켜 개발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산약인 소화제 ‘활명수’ 에는 현호색이 들어가 있다. 이 약의 판매대금의 일부는 독립운동 자금으로 쓰였는데 당시 한 병당 가격은 50전, 막걸리 한 말과 설렁탕 두 그릇 정도를 먹을 수 있는 귀한 제품이었다. 아이러니 하게도 현호색의 한 종류인 들현호색의 학명에는 일제강점기에 우리 식물에 학명을 부여해서 등록한 일본인 Nakai의 이름이 들어가 있다.▲ 큰구슬붕이 Gentiana zollingeriFaw. 용담과 두해살이풀이며 물이 잘 빠지는 양지에서 자란다.큰구슬붕이는 줄기가 5∼10cm로 아주 작게 바닥에 붙어있어 더욱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관심 있는 사람들의 눈에만 보이는 꽃이다. 씨앗이 떨어져 잎이 나온 후 다음 해에 꽃이 피는 두해살이 풀이라서 보물을 발견한 듯 더욱 예쁘다. 꽃말이 ‘기쁜 소식’이라던가? 신의 정원에 봄소식을 알리는 풀꽃이다.▲ 노각나무 Stewartia koreana 차나무과 전남·전북·경남의 산중턱 이상에서 자란다.노각나무는 나무껍질의 무늬가 사슴의 뿔을 닮았다고 녹각나무라 부르다가 노각나무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사람이 많이 다니는 야산보다는 깊은 산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옆에 자리를 잡고 살아간다. 세계적으로 7종의 노각나무가 있지만 한국의 노각나무가 가장 아름답다고 알려져 있다. 1917년 미국의 Wilson이라는 사람은 우리나라 노각나무 종자를 가지고 가서 Korean splendor라는 품종을 개발해 조경수로 널리 보급하기도 했다. 노각나무는 전통 목기를 만드는 나무로 쓰여 졌다. 남원 일대가 목기를 생산하는 지역으로 유명하게 알려진 이유도 지리산 실상사 스님들로부터 노각나무를 사용한 목기 제조기술을 전수 받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재질이 단단하고 습기를 잘 빨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최상의 목기 재료로 쓰인다.앞 다투어 피던 꽃들이 거의 사라지는 초여름의 길목에서 커다란 꽃망울을 터트린다. 하지만 성장이 느리고 바람이 강한 곳, 햇빛이 강한 곳, 배수가 잘 안 되는 곳을 피해서 심어야 하는 까다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조경수로는 활용을 거의 하지 않는다고 한다. 겨울에 앙상한 가지와 함께 드러나는 나무껍질의 무늬를 보게 된다면 비단을 수놓은 듯 하다해서 비단나무라는 또 다른 이름으로 다른 나무들 사이에서 화려한 모습으로 빛나고 있는 존재감을 본다면 생각이 달라질 수 있을까?▲ 때쭉나무 Styrax japonica 때죽나무과 산과 들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때죽나무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 자연적으로 분포하며 종류가 120여 종이 있다. 많은 품종 중 한국의 때죽나무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품종으로 취급되고 있다고 한다. 영명으로 snow bell 이라고 부르는데 하얀 꽃이 2∼5 송이씩 모여서 달린 모양이 종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열매를 갈아서 물에 풀어 넣으면 열매속의 에고사포닌 성분이 물고기를 잠시 기절시키기 때문에 옛날에는 물고기를 잡을 때 쓰기도 했다. 또 제주도처럼 물이 부족한 섬에서는 지붕이나 나무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빗물을 받아 식수로 사용했는데 때죽나무(족낭)에 띠를 엮어 줄을 매달아 항아리 위에 두고 물이 흘러내리도록 해서 받았다. 그렇게 하면 오래 두어도 상하지 않고 물맛도 좋아졌다고 한다.5월 중순 동구릉에서 바람에 실려 오는 향긋한 꽃내음에 정신없이 취했다면 틀림없이 때죽나무일 것이다. 하늘정원에는 멀리서 보면 하얗게 달린 꽃이 구름처럼 보이는 수형이 그 어떤 때죽나무 보다 아름다운 나무가 한그루 있다. 또 꽃이 질 즈음에는 왕릉을 따라 흐르는 물위에 꽃잎이 별처럼 흘러 은하수가 되는 장관을 볼 수도 있다.글 김미애 비영리민간단체 미래환경을 생각하는 모임 대표 및 구리시환경교육센터 사무국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환경교육 강사로 아이들과 함께 숲에서 뛰어 놀고 있다.더 많은 경기학광장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경기도사이버도서관 바로가기]
경기문화재단
마을복합문화공간 DALTO
[동네유산] 마을카페달토협동조합
#마을카페달토협동조합 #우리마을인문학여행 주민 누구나 편하게 모여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마을복합문화공간 DALTO! 올해는 부천시민을 대상으로 6월부터 매월 한 번씩 인문학 강연을 개최했는데요. 환경문제, 성 평등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재난사회에서 마을공동체의 기능과 개인의 역할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재난의 시대, 우리가 가야 할 길은 무엇일까요? 인문학을 중심으로 성숙한 시민의식의 형성과 소통과 공감의 문화가 확산 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경기도 #부천시 #문화거점 #지역문화자원발굴 #인문학아카데미
경기문화재단
경기 묘제 석조 미술
[경기학 역사문화편] 지지씨가 들려주는 '경기학' 이야기
지지씨에서는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가 발간한 도서를 한 걸음 더 가까이 살펴보는' 경기학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 경기학 시리즈는 [역사문화편], [현대인물편], [역사인물편], [근대유산편] 총 4부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본 시리즈에서 소개되는 다양한 발간도서는 경기도사이버도서관 및 경기도메모리 홈페이지에서 원문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묘제 석조 미술(전4권) 사대부 묘역의 돌 조형물을 미술사적 관점으로 본 『경기 묘제 석조 미술』 경기도 사대부 묘역의 독자적인 ‘석조 미술’ 정리, 「도판편」·「해설편」 펴내 옛 묘역에 있는 돌 조형물을 미술사적으로 조망한 자료를 찾기 쉽지 않다. 그동안 묘역의 각종 돌 조형물을 ‘미술품’으로 본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이다. 경기도 경기도박물관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펴낸 네 권의 『경기 묘제 석조 미술』은 묘역의 석물을 ‘석조 미술’이라고 선언한 최초의 학술 조사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조선시대 각종 석물은 그 예술성과 조형미가 뛰어나지만 미술사적으로 탐구되지 못했다. 이미 2009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가치를 인정받은 ‘조선 왕릉’의 경우 시대가 명확하게 구분되며 그 석물도 대부분 왕실에서 조성한 미술품이다. 반면 사대부 묘의 석물은 왕릉의 석물을 기본으로 독자적인 형식으로 발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책 『경기 묘제 석조 미술』 『경기 묘제 석조 미술』은 조선 전기 왕릉을 제외한 일반 분묘의 석물을 미술사적 관점에서 서술했다. 책은 모두 네 권으로 구성돼 있다. ‘묘제 석물’을 주제별로 선정해 시대 순으로 재배열한 「도판편」과 「도판편」에 수록된 석물의 묘역을 설명한 「해설편」이 각각 상·하권으로 구성돼 있다. 「도판편」 상권은 ▲석비 ▲석장명 ▲석인 ▲석망주 ▲기타로 구분해 조선시대 전기 묘제 석물을 시대 순으로 배열했다. 하권 역시 같은 순서로 조선시대 후기 석물의 사진과 도판을 배치했다. 다만 조선시대 사대부 묘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묘역에 비치한 석수(돌짐승)가 후기에 왕세자·왕세자비나 왕의 사친의 무덤을 말하는 원(園)이나 사대부의 묘(墓)에 배치됨에 따라 ‘석수’가 추가됐다. 조선전기 사대부 묘역에서 석수가 발견된 경우는 태종의 막내아들 성녕대군(城寧大君)의 원이 유일하다고 한다. ▲ 성령대군 이종 묘 석호 (사진 = 『경기 묘제 석조 미술』)「해설편」은 묘제 석물 조사의 개요를 밝히고 「도편편」에서 기록된 무덤의 소재지와 연대 묘역이 조성된 배경 등을 설명하고 각 석물의 위치 및 형태, 특징 등을 설명화고 있다. 「해설편」 말미에는 ‘논고’를 싣고 당시의 묘제 석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해설편」 상편에는 ‘조선전기 경기 묘제 석조 미술의 이해’를 담았다. 또 하편에는 ▲조선시대 사대부 묘역의 석물(김우림) ▲조선시대 묘지풍수의 이상과 현실(이화) ▲조선시대 묘비 글씨를 통한 서예사 연구(이민식) ▲석인상에 나타난 복식연구(이은주, 송미경) ▲묘제 석조 미술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양식 비교 고찰(김은선) 등 조선시대 묘제 석물과 관련한 논고 5편을 실었다. 이들 논문은 조선시대 전·후기 묘제 석물의 이해를 돕는 개론서 역할을 하고 있다. ▲ 신숙주 신도비(좌)와 신숙주 신도비 도판(우)이 책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모두 5년이 걸린 ‘경기 묘제 석조 미술 학술조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조사를 위해 각 시군 지표조사보고서와 각종 학술조사보고서, 금석문대관 등 문헌자료를 통해 대상목록의 현황을 작성하고, 이 가운데 선정된 목록을 중심으로 경기남부 지역,중부 지역 북부 지역으로 나누어 네 해 동안 현지조사를 했다. 현지 조사 후 석물도면을 수작업으로 그리고 CAD로 마무리했다고 한다. 책이 나오는 과정도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현지조사를 마치고 책을 내기 위해 대상을 재분류하고 도판을 실을 대상을 재선정했고, 선정된 묘역에 전문사진작가를 보내 별도의 사진촬영을 했다고 한다. 『경기 묘제 석조 미술』 4권을 완간을 기념하며 경기도박물관은 2009년 ‘경기 묘제 석조 미술의 연구 현황과 과제’라는 학술세미나를 열었다. 학술세미나 발제문과 자료는 다시 책으로 엮어 같은 이름으로 출판됐다. 본 책 『경기 묘제 석조 미술』 해설편과 함께 『경기 묘제 석조 미술의 연구 현광과 과제』를 본다면 조선시대 묘제 석물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학술세미나 자료를 엮은 책 『경기 묘제 석조 미술의 연구 현황과 과제』는 ▲조선시대 묘제 연구의 현황과 과제(김우림) ▲조선시대 사대부 묘 석물의 이형 도상(김은선) ▲조선시대 묘제석물에 대한 고찰(정해득) ▲사대부 묘 석인상 복식의 양식변화 요인에 관한 관찰(이은주) ▲경기도 풍수의 특징(김기덕) ▲조선시대 능과 묘의 석물 비교(김이순) 등으로 구성돼 있다. 『경기 묘제 석조 미술』은 경기도메모리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새로운 문화소식
경기문화재단, 2021 아트경기 온라인 경매쇼 추진
2021.04.14
2021 예술동호회 연계 활동 지원 사업 최종 선정 결과 공고
2021.04.14
실학박물관, 영화 <자산어보> 관람 인증 이벤트
2021.04.14
수원 2021 문예회관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춤 인문학>
2021.04.13
경기옛길 온라인 소식지 발행
2021.04.13
경기문화재단 ‘민주주의의 노래’ 앨범 발매 기념 쇼케이스 열어
2021.04.12
군포문화예술회관, 2021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 교육생 모집
2021.04.13
2021년 제1회 경기문화재단 직원 공개 채용
2021.04.08
성남문화재단 2021 전임강사(문화예술교육) 모집
2021.02.09
2021 경기도미술관 교육프로젝트 교육 강사 모집
2021.02.08
군포문화예술회관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강사 모집
2021.02.05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초단시간근로자 채용
2021.01.22
2021년 경기문화재단 소셜미디어 통합 관리 운영」 용역 입찰 공고
2021.02.04
백남준아트센터 전시장 방호원 용역 입찰
2021.01.27
2019 북한산성 행궁지정비(5차) 공사 감리용역 소액수의견적입찰공고
2020.12.28
2019 북한산성 행궁지정비 5차 공사 입찰공고문
2020.12.28
「경기문화재단 홈페이지 통합 운영 및 시스템 유지보수」 용역 입찰 공고(긴급)
2020.12.11
이천세계도자센터 고도화 기반사업 기본계획 수립용역 제안공모(협상에 의한 계약) 재공고
2020.12.09
진행중인 프로그램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초청 새봄공연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초청 새봄공연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초청 새봄공연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초청 새봄공연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초청 새봄공연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초청 새봄공연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초청 새봄공연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초청 새봄공연
지지씨 테마 키워드
지지씨와 함께하는 여행
지지씨가 추천하는 책
우리동네 소식
지지씨 아카이브
#코로지엄과식탁위에카오스
엄미술관
경기도미술관 세월호 7주기 추념전 《진주 잠수부》
경기도미술관
2021년 수원SK아트리움 문화가 있는 날 <살롱 드 아트리움 Salon de Artrium> 음악으로 그리는 화가의 아틀리에
수원SK아트리움
경기도미술관 2021 교육프로젝트 전시프로그램 <몸 짓 말> 개최
현대미술의 장르인‘퍼포먼스 아트’를 주제로 행위 예술의 매체와 다양한 표현 방법 등을 살펴보고 실제로 경험해 보는 전시
국립현대미술관 청소년 대상 온라인 워크숍 <에듀케이터의 실험실> 교육 영상 배포
전국 중등학교 학급 대상 워크숍 영상 및 활동지 배포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조문희 개인전 RESTAGE
경기창작센터
백남준아트센터, 《전술들》 전시 연계 프로그램 ‘걷고 낭독하기’ 진행
백남준아트센터
봄 나들이 명소, 복합문화예술공간 '경기상상캠퍼스'
경기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
2021 백남준전 《웃어》 Humor Has It
백남준아트센터
사진아카데미II
어린이 미술전 <퐁당퐁당>
2021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소장품 기획전 전국 4곳 개최
전국 공공기관 협력 전시로 지역 문화예술계 활성화 도모
역사문화 탐방로 경기옛길, 걸으며 즐기는 꽃길 구간 선정
경기 옛길
경기도박물관 4월 봄맞이 관람객 행사 및 <민화그리기> 체험 프로그램 진행
경기도박물관 모임터
대화모임 <씨티메이커스> 모집
문화도시 수원을 위한 시민 의제 발굴사업
구리문화재단, 봄이 오는 소리 신춘음악회 ‘A New Hope’
구리문화재단, 구리아트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