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현수제승법수 賢首諸乘法數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69호




<현수제승법수>는 여러 법문法文에서 3법인三法印, 4성제聖諦, 6바라밀六波羅蜜, 8정도八正道 등과 같이 숫자數字가 들어있는 용어를 모아서 숫자 순서별로 정리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엮어놓은 일종의 불교 용어사전이다. 권 제1에서 10까지는 각 숫자에 해당하는 명수를 배열하여 설명하고 권 제11에는 그 이상의 숫자에 해당하는 것을 수록하였다.


   

현수제승법수 표지,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현수제승법수 서, 2016© 경기도박물관


이 책은 당나라 현수가 불조의 설법을 숫자로서 표시하여 만든 것을 명나라 행심行深이 다시 편집한 것이다. 이 책의 서지사항으로는 사주쌍변의 판식에 판심의 위 아래에 대흑구大黑口가 있고, 어미는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 행자수는 일정하지 않다. 비록 표지를 개장하였으나, 책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인쇄도 먹이 진하고 정교한 편이다. 권수에는 1427년(세종9) 미상의 작자가 쓴 현수제승법수서賢首諸乘法數序와 1387년(고려 우왕13)에 천태종 범고梵翶가 쓴 중편현수법수서重編賢首法數序 등 2편의 서문이 수록되어있다. 권말에 ‘팔식심왕제문요간八識心王諸門料簡’을 붙이고 있고 해인사 등곡燈谷의 발문이 실려 있다. 이어서 간기刊記와 시주施主와 각수刻手·연판鍊板·공양주供養主·알선斡善 비구의 이름이 실려 있다.


 

중편현수법수 서,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현수제승법수 본서 간기,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도박물관 소장 현수제승법수는 1500년(연산군6) 명나라에서 구한 판본을 해인사 등곡의 주관으로 경상남도 합천의 봉서사鳳栖寺에서 번각한 것으로, 흔치 않은 임진왜란 이전의 판본이라는 점에서 보존가치가 높다. 지금도 해인사에는 이 책의 목판이 온전하게 보관되어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500년)

    규모/ 11권 1책 / 26×16cm

    재질/ 종이

    주소/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지정일/ 1998.12.31

    소유자/ 경기도

    관리자/ 경기도박물관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