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우저서원 牛渚書院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0호




<우저서원>은 선조 대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한 조헌趙憲(1544~159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648년(인조26) 조헌의 옛 집터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곳이다.

1669년(현종10)경 김포유생 이만춘李萬春 등이 청액소請額疏를 올려 사액을 청하였지만 한창 첩설疊設에 따른 폐단이 논의되던 때라 실현되지 못하다가, 1675년(숙종1) 송준길宋浚吉의 청으로 ‘牛渚(우저)’라고 사액되었다. 1834년(순조34) 중건 이후 1871년(고종8)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고 남아있다가 1973년부터 3년에 걸쳐 전면 보수가 이루어졌다. 조헌의 본관은 백천白川이고,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도원陶原·후율後栗이다.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1567년(명종2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감찰, 통진현감, 전라도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우저서원 전경, 2014 ©김포시


  

우저서원 여택당과 동·서재, 2014 ©김포시


1591년(선조24)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보낸 게이테쓰 겐소가 명나라를 칠 것을 전달하자 그를 처형하자는 소를 올렸으나 이러한 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관직을 버리고 옥천에 은거하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문인 이우李瑀 등과 의병 1,600여 명을 모아 영규靈圭의 승군僧軍과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였으나 전라도로 진격하려던 왜군에 맞서 금산에서 전투를 벌이다 전사하였다.

1604년(선조37)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으로 책록冊錄, 1734년(영조10) 영의정에 추증追贈되었으며, ‘문열文烈’의 시호를 받고 1883년(고종20) 문묘에 종사從祀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외삼문·동재·서재·강당·내삼문·사당 등이 있고, 사당 앞 우측에는 1617년(광해군9)에 건립된 조헌선생유허추모비趙憲先生遺墟追慕碑와 비각이 있다.


우저서원 사당과 추향제, 2015 ©김포시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민도리 맞배지붕이다.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중앙의 4칸 대청 좌우에 2칸씩 온돌방이 있으며, ‘麗澤堂(이택당)’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매년 음력 2월 중정中丁과 조헌의 기일인 음력 8월 18일에 향사鄕祠를 지내고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648년 창건)

    규모/ 1동

    / 사당 3×2칸, 강당 4×2칸, 동·서재 3×2칸

    재질/ 목재

    주소/ 김포시 중봉로25번길 87

    지정일/ 1972.05.04

    소유자/ 우저서원

    관리자/ 우저서원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