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기관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은 지지씨 콘텐츠를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기관의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기관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 직 책 : 경영본부장
- 직 급 : 본부장
- 연 락 처 : 031-231-7203
-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 화 : 1833-6972
-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 화 : (국번 없이) 182
-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첨부하기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등록/수정에 맞게 업로드 해 주세요.
* 최대 업로드 가능 용량은 5MB입니다.
한글, 워드 파일 외 압축파일(zip) 가능합니다.
유의사항
경기문화재단
미술관 속 심리학 - 공감각, 소리와 향기가 보이는
‘닻미술관’, 「다른 감각들의 공간」 관람
미술관 속 심리학 - 공감각, 소리와 향기가 보이는
- ‘닻미술관’, 「다른 감각들의 공간」 관람 -
2020.01.21
인문360°는 인문정신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누릴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만든 온라인 서비스입니다. 지지씨는 인문360°와 함께 경기도의 문화예술 콘텐츠를 선별하여 소개합니다. 더욱 다양한 인문 콘텐츠가 궁금하시다면 인문360° 홈페이지(inmun360.culture.go.kr)로 방문해 보세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 있습니다) |
경기도 광주 진새골의 좁고 한적한 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백마산 기슭에 단아한 모습으로 자리 잡은 닻미술관을 만날 수 있다.
▲ 닻미술관 ©김민정
닻미술관에서는 지금 「다른 감각들의 공간」이 전시 중(2020년 2월 23일까지)이다. 전시된 사진과 책, 영상 등에 소리, 촉감, 향기와 같은 다양한 감각이 어우러져 있어, 주로 시각을 통해 수용하는 미술을 ‘공감각(Synesthesia)’으로 감상할 수 있다.
▲ 「다른 감각들의 공간(Synesthesia: The Space Between)」 전시 입구 ©김민정
문을 열고 전시장으로 들어서면, 눈부신 빛줄기가 창문 가득 쏟아져 온몸으로 포근함을 느낄 수 있다. 이어 천장에 매달려 공기 속을 유영하고 있는 설치물로 눈을 돌리면 자연을 닮은 소리가 들린다.
▲ 김준 <필드 노트: 공생>(2016), <필드 노트: 굳어진 조각들>(2017) ©김민정
김준은 특정 장소에서 미세한 자연의 소리를 채집하여 사운드 아카이브 방식을 이용해 작업했다. <필드 노트: 공생>은 작가가 호주 블루마운틴에서 수집한 소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새가 내는 고음의 벨 소리와 강한 바람이 나무에 몰아치는 소리, 거대한 사암 덩어리에서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 등이 있다. <필드 노트: 굳어진 조각들>에서는 뉴질랜드 남섬에서 수집한 암석과 지형을 시청각으로 제시한다.
공감각자 기억술사 S
이처럼 공감각은 형태와 소리, 또는 촉각 등의 감각이 동시에 다른 영역의 감각을 불러일으켜 감각이 혼재되는 상태를 말한다. 러시아 신경심리학자 알렉산드르 로마노비치 루리야(Alexander Romanovich Luria, 1902~1977)는 공감각을 지닌 남자 S를 30년 동안 관찰하였다. S는 소리 정보를 시각적 이미지로 경험했다. 예를 들어, 아(A)는 “하얗고 긴 것”, 숫자 8은 “소박하면서, 석회석처럼 우윳빛 도는 청색”으로 지각하였다. 때로는 맛이나 촉감을 같이 체험했는데, 연구소로 가는 길에 있는 담장에서 “짭짤한 맛과 거친 감촉”을 느낀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 문자와 숫자에서 색이 보이는 공감각의 예 ©Wikimedia
공감각자 S는 기억력이 뛰어나, 아무 의미도 없는 숫자나 글자 열도 잘 기억해 냈다. 심지어 70개나 된 긴 열을 반복할 수 있었다. 또한 놀랍게도, 역순으로도 어렵지 않게 기억했고, 15년이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정확하게 말할 수 있었다. 후에, 그는 자신의 공감각 능력을 이용하여 기억술사가 되었다. 예술가 중에서도 공감각자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그중 한 명이 최초의 추상화를 그린 것으로 알려진 러시아 출신의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다.
소리와 색채의 조화
▲ 전소정 <열두 개의 방>(2014) 영상 일부 ©김민정
전소정의 <열두 개의 방>은 칸딘스키가 오스트리아 출신의 작곡가 아르놀트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 1874~1951)와 교류하며, 음악과 미술의 조화를 추구했던 예술 세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것이다. 작품 제목 <열두 개의 방>은 12음계의 공간을 의미한다. 영상에서 피아노 조율사가 한 음씩 조율할 때마다 각 음은 색으로 시각화되고, 각 색깔에 대한 사유가 이어진다.
▲ 바실리 칸딘스키 <인상 3- 콘서트(Impression Ⅲ- Concert)>(1911) ©WikiArt
<인상 3- 콘서트>는 칸딘스키가 쇤베르크의 음악회에서 받은 벅찬 감동을 표현한 그림이다. 쇤베르크는 한 옥타브에 있는 12개 음(하얀 건반 7개와 검은 건반 5개)을 동등하게 다루는 12음 기법을 창시하였다. 전통적으로는 하나의 음, 즉 으뜸음을 중심으로 다른 음은 종속적인 관계에 놓이도록 작곡하는 조성(調性)에 따랐다. 하지만 쇤베르크는 파격적으로 으뜸음을 거부하고, 장조나 단조 등의 조가 없는, 즉 무조(無調) 음악을 확립했다. <인상 3- 콘서트>에서 중앙의 검은색은 그랜드 피아노를, 양쪽 하얀색 두 기둥은 뿜어져 나오는 소리를 나타낸다고 한다. 왼쪽에 웅성거리는 듯 빽빽하게 차 있는 검은 곡선은 청중이다. 칸딘스키는 불협화음으로 구성된 쇤베르크의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을 노란색으로 표현했다. 칸딘스키는 “불안하고 흥분시키는 노랑은 예리한 소리를 내는 트럼펫”, “평온함을 주는 초록은 조용히 오랫동안 연주되는 바이올린의 중간 음”이라 말하며, 색채가 불러일으키는 감정과 악기 소리를 자신의 작품에 모티프로 활용했다.
소리, 촉각, 향기가 보이는 전시
▲ 소리, 촉각, 향기가 함께 있는 전시실 ©김민정
관람객은 전시실 나무 받침대 위에 놓인 책들을 자유롭게 들춰볼 수 있다. 책장을 넘길 때마다 손끝에서 느껴지는 감촉은 책 속 이미지와 맞닿는다. 김준의 다른 작품 <필드 노트: 뒷산의 기억>도 만날 수 있다. 작가가 어린 시절 보냈던 전라도를 여행하며 모은 소리는, 방문객 각자의 고향에 대한 향수를 다각도로 불러일으킨다.
▲ 조성연 < Arrange Life, Archiving Book Process(어레인지 라이프, 아카이빙 북 프로세스)>(2017~2019) ©김민정
조성연의 < Arrange Life, Archiving Book Process>에서는 피부로 와닿는 시각적 경험이 극대화된다. 곧 부서져버릴 것 같은 낙엽과 나뭇가지를 보는 것만으로도, 바스락거리는 소리와 촉감이 바로 전달된다. 책에는 식물의 순환에 따른 변화가 담겨 있다. 한때 나무였던 책은 다시 식물의 몸통이 되어, 자연이 남긴 흔적을 보듬는다.
▲ 김현미 < The Little Tea Book(더 리틀 티 북) >(1994) ©김민정
김현미의 < The Little Tea Book >에서는 차 향기가 느껴진다. 작가는 수공예로 제작한 종이에 9종류의 차를 넣어, 각 이름을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텍스트로 프린트하였다. 작가는 영국의 아서 그레이(Arthur Gray, 1852~1940)의 저서, < The Little Tea Book >(1903)에서 자신의 마음을 움직인 단어들을 골라, 그 단어에서 연상되는 복합적 심상을 다음과 같이 차의 종류로 연결하였다.
린넨(linen), 토스트(toast), 버터(butter): 잉글리쉬 블랙퍼스트(English Breakfast)
향(perfume): 자스민(Jasmine)
부드러움(tenderness): 다즐링(Darjeeling)
사랑(love): 로즈힙(Rose Hip)
긍정(optimism): 크랜베리 코브(Cranberry Cove)
희망(hope): 오렌지 페코(Orange Pekoe)
편안함(comport): 카모마일(Camomile)
시(poetry): 얼그레이(Earl Grey)
권태로부터의 탈출(Escape from Ennui): 페퍼민트(Peppermint)
전시와 연계하여 닻미술관의 카페 돛에서는 9종의 스페셜 티를 판매한다. 오늘 오후, 차 한 잔과 함께 혀끝으로부터 전해오는 향기를 맛보며, 떠오르는 마음속 이미지를 눈앞에 그려보면 어떨까?
○ 전시
전시명: 다른 감각들의 공간(Synesthesia: The Space Between)
기간: 2019.11.2.~2020.2.23.
○ 공간 정보
주소: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진새골길 184 닻미술관(Datz Museum of Art)
운영시간: 수~일요일 11:00 am~6:00 pm [*휴관일: 월~화요일, 설 연휴, 추석 연휴, 선거일]
문의: 031-798-2581
○ 관련 링크
홈페이지: https://www.datzmuseum.org/
오시는 길: https://www.datzmuseum.org/contact
인문쟁이 김민정 2019 [인문쟁이 5기] "심리학을 전공한 미술관 도슨트. 미술에 심리학을 접목한 <미술로 보는 심리학>을 강의하고 블로그 <미술 감상 심리학>을 운영하면서, 미술 심리에 관심 있는 분들과 소통하려고 노력 중이다." |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인문360°소개
/ 인문정신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누릴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만든 온라인 서비스입니다. 날마다 새로운 생각, 날마다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사람과 관계, 사물과 현상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다채로운 시선을 제공합니다. 문화, 예술, 과학기술 등 사회 전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우리의 생활 곳곳에 퍼져있는 인문정신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매개로 행복한 삶을 그려갑니다.
인문360°서비스
- 오늘인문 : 날마다 만나는 온라인 인문콘텐츠
/ * 테마갤러리, 칼럼, 인터뷰, 에세이, 이주의 책
- 지역인문 : 전국 팔도 지역에서 만난 인문
/ * 탐구생활
- 즐길인문 : 직접 보고 즐기는 인문콘서트
/ * 인문예술콘서트오늘, 골목콘서트
- 인문DB : 인문정신문화사업, 인문지도, 필진소개, 인문정보
원문바로가기/ https://inmun360.culture.go.kr/content/382.do?mode=view&page=3&cid=2366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