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회원은 경기도 문화예술 콘텐츠를 지지씨플랫폼에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문화예술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지지씨플랫폼 운영 가이드
지지씨는 회원 여러분의 게시물이 모두의 삶을 더욱 아름답게 해 줄 거라 믿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은 여러분이 작성한 게시물을 소중히 다룰 것입니다.
제1조(목적)
본 가이드는 재단법인 경기문화재단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지지씨(www.ggc.ggcf.kr. 이하 ‘지지씨’)’의 기관회원(이하 ‘회원’)의 정의 및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회원의 생산자료에 관한 기록 저장과 활용에 관한 내용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정의)
본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지지씨’는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의 생산자료 등록과 확산을 위해 경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입니다.
② ‘회원’이란 소정의 가입 승인 절차를 거쳐 지지씨 글쓰기 계정(ID)을 부여받고, 지지씨에 자료 등록 권한을 부여받은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 및 유관기관을 의미합니다.
‘생산자료(=콘텐츠)’란 ‘회원’이 지지씨 플랫폼 상에 게재한 부호, 문자, 음성, 음향, 그림, 사진, 동영상, 링크 등으로 구성된 각종 콘텐츠 자체 또는 파일을 말합니다.
제3조(가이드의 게시와 개정)
① 경기문화재단은 본 가이드의 내용을 ‘회원’이 쉽게 알 수 있도록 지지씨 플랫폼의 기관회원 등록 안내 페이지에 게시하여, 자유롭게 내려받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② 본 가이드는 경기문화재단의 온라인 플랫폼 운영 정책 및 저작권 등 관련 법규에 따라 개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를 개정, 적용하고자 할 때는 30일 이전에 약관 개정 내용, 사유 등을 '회원'에 전자우편으로 발송, 공지합니다. 단, 법령의 개정 등으로 긴급하게 가이드를 변경할 경우, 효력 발생일 직전에 동일한 방법으로 알려 드립니다.
1. 본 가이드의 개정과 관련하여 이의가 있는 ‘회원’은 탈퇴할 수 있습니다.
2. 경기문화재단의 고지가 있고 난 뒤 효력 발생일까지 어떠한 이의도 제기하지 않았을 경우, 개정된 가이드를 승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4조(회원자격 및 가입)
① ‘지지씨’의 ‘회원’은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기관과 유관기관으로 합니다. ‘회원’은 글쓰기 계정을 부여받은 후 지지씨에 생산자료를 등록하거나, 게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② ‘지지씨’의 가입 신청은 지지씨 누리집에서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을 원하는 기관은 계정 신청서를 작성,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1. 회원가입을 원하는 기관은 지지씨에서 내려받기 한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 지지씨 계정 신청서’를 지지씨 공식 전자메일(ggc@ggcf.kr)로 제출, 승인 요청을 합니다.
2. 한 기관에 발급되는 계정은 부서별/사업별로 복수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사용자 편의 등을위해 기관 계정 관리자 1인이 복수 계정의 발급을 신청한 경우, 승인 불가합니다.
3. ‘회원’ 계정은 신청인이 속한 기관명/부서명/사업명 등의 한글로 부여됩니다.
4. ‘회원’은 계정 발급 후 최초 로그인 시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5. 계정의 비밀번호는 가입 승인된 계정과 일치되는 ‘회원’임을 확인하고, 비밀 보호 등을 위해 ‘회원’이 정한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③ ‘지지씨’ 가입 신청 방법은 내부 방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가입 신청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지지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④ 경기문화재단은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신청에 대하여 승인 불허 혹은 사후에 계정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1. 과거 회원자격 상실 회원. 단, 경기문화재단과 회원 재가입 사전 협의, 승인받은 경우는 예외로 함
2. 정보의 허위 기재, 저작권 등 관련 법률을 위반한 저작물 게시 등 제반 규정을 위반한 경우
⑤ ‘회원’은 회원자격 및 지지씨에서 제공하는 혜택 등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대여할 수 없습니다.
⑥ ‘지지씨’는 계정과 생산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별표〕에 따라 ‘회원’을 구분합니다. 회원 구분에 따른 이용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제5조(회원 정보의 변경)
① ‘회원’은 언제든지 가입정보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기관명, 부서명 등의 변경에 따른 계정 변경도 가능합니다. 단, 계정 변경시에는 계정(신청/변경)신청서를 다시 작성, 제출해야 합니다.
② ‘회원’은 계정 신청 시 기재한 사항이 변경되었을 경우 전자우편 등 기타 방법으로 재단에 대하여 그 변경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③ 제2항의 변경사항을 알리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재단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6조(회원 탈퇴 및 정지‧상실)
① ‘회원’은 지지씨 공식 전자메일, 전화 및 경기문화재단이 정하는 방법으로 탈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경기문화재단은 ‘회원’의 요청에 따라 조속히 탈퇴에 필요한 제반 절차를 수행합니다.
② ‘회원’이 탈퇴할 경우, 해당 ‘회원’의 계정 및 가입 시 작성, 제출한 개인정보는 삭제되지만, 탈퇴 이후에도 등록자료는 ‘지지씨’에서 검색, 서비스됩니다.
③ ‘회원’ 탈퇴 후에도 재가입이 가능하며, 탈퇴 전과 동일한 아이디를 부여합니다.
제7조(생산자료의 게시와 활용)
① ‘회원’은 글쓰기페이지(www,ggc.ggcf.kr/ggcplay/login)를 통해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 ‘지지씨’에 접속합니다.
② ‘회원’은 ‘지지씨’ 에디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해당 기관의 문화예술 관련 자료를 게시 및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 사업의 일몰, 기간의 종료, 추진부서의 변경 등의 사유로 삭제는 불가합니다.
③ ‘회원’은 ‘지지씨’에 게시한 해당기관의 자료를 뉴스레터, SNS 등 온라인 매체로 확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타기관의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사전 사용 협의 및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④ ‘회원’의 게시물은 도민 문화향수 확산을 위해 출처를 밝히고 뉴스레터나 SNS 등의 채널에 가공 없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제8조(회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관리에 대한 의무)
① ‘회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관한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으며, 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② ‘회원’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도용되거나 제3자가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한 경우, 이를 즉시 경기문화재단에 알리고 재단의 안내를 따라야 합니다.
③ 본조 제2항의 상황에 해당하는 ‘회원’이 경기문화재단에 그 사실을 알리지 않거나, 알린 경우라도 경기문화재단의 안내에 따르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경기문화재단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9조(회원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무)
① 경기문화재단은 지지씨 계정 신청시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계정 관리자 이름 2. 사무실 연락처 3. 담당자 전자메일
② ‘회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경기문화재단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라 보호됩니다.
③ 경기문화재단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 누리집 하단에 공개하며, 개정시 그 내용을 ‘회원’의 전자메일로 알립니다.
제10조(사용자 권리 보호)
① ‘회원’의 게시물이 저작권 등에 위배될 경우 경기문화재단은 사전 협의나 통보 없이 바로 삭제조치합니다. 이와 관련한 분쟁은 「저작권법」 및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을 따릅니다.
② 경기문화재단은 ‘회원’의 게시물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이거나, 관련 법령을 위배하는 등지지씨의 운영 정책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회원’과 협의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의 게시물로 기관의 명예훼손 등 권리침해를 당하셨다면, 경기문화재단 지지씨멤버스의 고객상담(VOC)을 통해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의 정책 규정을 따라 처리될 것입니다.
본 약관은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의 승인을 얻은 날부터 시행됩니다.
대분류 | 외부기관 | 경기문화재단 |
---|---|---|
중분류 | 뮤지엄(박물관,미술관)/협회/문화예술공공기관/시군청 담당부서 등 | 본부/기관 |
아이디 | 사업부서명/사업명 | 사업부서명/사업명 |
글쓴이 노출 | 아이디와 동일(한글) | 아이디와 동일(한글) |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 안내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지지씨 관리자 이메일로 제출해 주세요.
지지씨
Evolution of Humanity, the Great March Forward - 2. Into Eurasia
In 1887, the Dutch paleoanthropologist Eugène Dubois traveled to Java Island, Indonesia, to find fossil evidence of human evolution. After several years of continuous excavations, he miraculously discovered fossil hominids in 1891, including a skullcap and a femur from the bank of the Solo River at Trinil in East Java. In 1894, Dubois named the species Pithecanthropus erectus (later classified as Homo erectus, meaning ‘upright man’), as he thought the fossil was the transitional form - the so-called ‘missing link’ - between apes and humans, because at that time, people believed that the human ancestor was the ‘erect ape-man’.
Place of Settlement: Java, Indonesia / Period: Approx. 800,000 years ago / Discovery Site: Sangiran, Indonesia / Species: Homo erectus / Cranial Capacity: 1029cc / Major Characteristics: The fossil is a significant discovery, showing that the hominin species settled in another continent out of Africa.
Then, in 1969, a farmer found a well-preserved skull fossil in a field in Sangiran, Central Java. This fossil, named Sangiran 17, has a smaller brain than Homo sapiens, and display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H. erectus such as large brow ridges and a less protrusive lower yet strong jaw. Therefore, Sangiran 17 was also classified as Homo erectus along with the fossils found by Dubois. Pithecanthropus erectus (later classified as Homo erectus), which is also known as Java Man, constitutes evidence that the species rapidly spread out eastwards and out of Africa. The multi-regional evolution theory used Indonesia’s Java Man as its theoretical basis for a long time, explaining that modern humans evolved from H. erectus in many other regions of the world one to two million years ago. However, the ‘out of Africa’ theory is now the most widely accepted model, suggesting that the ancestors of modern humans appeared about 150,000 years ago, based on recent studies of mitochondrial DNA.
Place of Settlement: Around Beijing, China / Period: About 700,000-300,000 years ago / Discovery Site: The Lower Cave at Locality 1 of the Site at Zhoukoudian, near Beijing, in China / Species: Homo erectus / Cranial Capacity: 1043cc / Major Characteristics: Use of fire.
In the 1920s, some fossils excavated from an ancient cave at Zhoukoudian (near Beijing) in China were sold as precious medicinal substances called ‘dragon bones’. Later, they were surprisingly identified as fossil hominids. During the 1930s, an excavation-investigation was conducted at the cave in Zhoukoudian during which the fossils of forty individual human specimens were uncovered. Unfortunately, the fossils were lost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only the replica of a cranium has been preserved. The fossils of Beijing Man exhibi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H. erectus, such as a long cranium with an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an inclined forehead, and heavy brow ridges. The species was named ‘Beijing Man’ after the location of the discovery site. Through an archaeological analysis of the findings, including animal remains and pollen excavated together with the fossils,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es lived about 400,000 to 500,000 years ago. In particular, as the remains of ashes were also found in the ground where the fossils were excavated,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Beijing Man used fire. Beijing Man constitutes invaluable evidence to support the theory that H. erectus left Africa and adapted to diverse environments, and lived widely throughout Asia.
Place of Settlement: Indonesia / Period: 18,000-95,000 years ago / Discovery Site: Liang Bua Cave on the island of Flores in Indonesia / Species: Homo floresiensis / Nick-name: Hobbit / Cranial Capacity: 417cc / Major Characteristics: A small body that evolved as a result of adaptation to the isolated environment of the island.
In 2003, a joint Indonesian-Australian research team discovered an unusual looking skull in Liang Bua Cave on the island of Flores in Indonesia. Although the skull was as small as that of a modern human child, its teeth were much worn and appeared to be those of an adult. The discoverers assigned the skeleton to a new species, Homo floresiensis, named after the island on which it was discovered. H. floresiensis was later nicknamed the ‘Hobbit’, after the fictional race of dwarf-like people popularized in J.R.R. Tolkien’s books The Hobbit and The Lord of the Rings and the eponymously titled movies. LB-1, a fairly complete skeleton of H. floresiensis including a nearly complete cranium, was discovered to be a 30-year-old female only a little over 1m tall. Her brain was as small as that of an anthropoid. Judging from the stone tools that were discovered together with the skeleton, it is assumed that H. floresiensis hunted animals and was skilled in the use of stone tools. H. floresiensis, who lived about 18,000 years ago, is regarded as an astonishing piece of evidence in human evolutionary research. Although there has been considerable scientific debate over whether H. floresiensis was a modern human with a disease or growth disorder, most scientists recognize that H. floresiensis evolved into a species with a small body due to long-term isolation on the island and limited food resources. There are still a number of puzzling questions to figure out, such as how H. floresiensis evolved such a tiny body under what kind of circumstances, and how H. floresiensis is related to modern humans in evolutionary history.
Place of Settlement: Europe and West Asia / Period: About 30,000-200,000 years ago / Discovery Site: The Neander Valley in Germany; La Chapelle-aux-Saints and La Ferrassie in France; Shanidar Cave in Iraq; Okladnikov Cave in Russia, and so on. / Species: Homo neanderthalensis / Nick-name: Goliath, Old Man / Cranial Capacity: 1625cc / Major Characteristics: The species had a large cranial capacity, robust build, and a strong sense of community.
In 1856, a group of limestone miners found some strange looking bones in the Neander Valley, Dusseldorf, in Germany. Originally they were thought to be the bones of a bear, but eight years later, the remains were identified as a new species of hominin and classified as Homo neanderthalensis. Later, many more remains of H. neanderthalensis were discovered throughout Europe and West Asia.
Some defining features of H. neanderthalensis include its large face, angled jaw, and huge nose, as well as its more robust build compared with modern humans, which enabled it to adapt to the cold climate. Neanderthals lived between about 200,000 years and 30,000 years ago, withstanding the cold climate during the Ice Age in Europe and parts of West Asia. Neanderthals were good at making stone tools with relatively advanced technology, including sophisticated flake tools with a sharp edge, picks, and stone cleavers to hunt big animals. They also knew how to control and use fire. In addition, they made and wore clothing made from animal skins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weather, and made ornamental objects, too. According to an archaeological document, they also buried their dead and sometimes even marked the graves with offerings of flowers. Neanderthals probably had an unsophisticated language. Neanderthals died out in Europe about 30,000 years ago sometime after Homo sapiens arrived in Europe. The reason for Neanderthal man’s extinction is still a mystery – it is not clear whether Neanderthals were unable to survive the competition with H. sapiens or not. The results of DNA analyses of Neanderthals’ fossils have shown that Neanderthals and modern humans do not share any mitochondrial DNA, meaning that the two species are different genetically. However, certain scientists still assert that the two species are related genetically. We expect that further DNA studies and new excavations of Neanderthals will help u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humans and Neanderthals in our evolutionary history.
Place of Settlement: Europe and West Asia
Period: About 30,000-200,000 years ago
Discovery Site: The Neander Valley in Germany; La Chapelle-aux-Saints and La Ferrassie in France; Shanidar Cave in Iraq; Okladnikov Cave in Russia, and so on.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