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제6강 시베리아와 신화

2018-05-16 ~ 2018-05-16 /


2018년 신화와 예술맥놀이 다섯 번째 이야기 중 제6강 <시베리아와 신화> 입니다.   


이번 주제는 '시베리아와 신화'로 부산대학교 노어노문학과 양민종교수님께서 시베리아 지역의 신화적인 요소를 ‘△러시아정교의 성상화(Icon), △알타이의 마나스, △부랴트의 게세르’의 순서로 살펴봐 주셨습니다.



신화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의 입장에 따라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는데요. 이번 강의에서는 신화를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시각으로 살펴보고, 기존의 시각으로 보는 신화(Myth)와 다양한 변형을 이루는 이야기들을 신화 이야기(Myth-tale)라는 장르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살펴본 시간이였습니다.


이미 화석이 된 신화는 연행에 의한 전승행위가 없어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지 못하였으며 고유속성을 상실하였다고 판단됩니다. 이러한 신화는 보호나 등재의 가치나 필요성이 없지만 역사자료와 기록의 가치가 있습니다. 신화와 예술 창착의 소재로 다양한 변이형태를 갖는 신화이야기를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베리아 지역을 개관하게 되면, 한반도 통일 이후 우리와 우리 자녀들이 진출할 앞마당이 될 수 있는 곳입니다. 소수 민족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도 중하지만 현실적으로 시베리아의 일반적인 문화와 전통, 주민에 대한 이해의 폭을 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신화와 서시시를 가진 시베리아의 대표적인 문화는 러시아 정교 신화가 주류를 이루며 소수민족의 알타이, 부랴트 지역의 서사시가 비주류를 이룹니다. 문헌이 아닌 살아있는 전승 형태입니다. 988년도 기독교 도입 이후 러시아 신화는 토착 민속과 그리스 정교의 혼합으로 톡특한 형태의 러시아정교로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17세기 중반 교회개혁과 분열로 러시아의 독특한 신호적 요소인 '성상화(Icon)'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초기 성상화는 그리스로부터 수입된 그리스 전통의 모습을 보였다면, 이후 그리스 성상화 문법에서 벗어나 따뜻하며 인간적인 분위기의 러시아 성상화 특성을 보여주게 됩니다.


소수 민족의 신화 이야기를 하기 전에 시베리아 인구의 95%를 점유하는 슬라브계 백인들의 러시아정교 관련 신화적인 요소를 성상화(Icon)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본론에서 시베리아 지역의 대표적인 신화 이야기 2편을 살펴보았는데요. 한 편은 유네스코 기준으로 볼 때 세대에서 세대로 전승되는 살아있는 서사시인 마나스입니다. 마나스는 키르기즈인을 비롯해서 알타이에 거주한 소수민족들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한 서사시라는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2009년 중국정부에 의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다른 한 편은 몽골인들이 장가르와 함께 자신들의 대표 서사시로 주장하는 게세르입니다. 몽골의 피를 이어받은 바이칼 인근지역의 부랴트 사람들의 신화 서사시인 게세르의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게세르 신화 서사시는 동북아시아의 하늘 세계를 정교하게 묘사하고 있어 특히 우리의 관심을 끄는 작품입니다.




<자료출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소개 페이지 (중국 제작)

https://ich.unesco.org/en/RL/manas-00209


-마나스치의 마나스 구연 사례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kMDklwoLf34


-The Art of Akyns, Kyrgyz Epic Tellers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jiYQi6VQ6bc&feature=relmfu


-사짐바이 오로즈바코프(Sagymbai Orozbakov)의 공연에서 채록한 이 대목을 Emira Köçümkulkïzï.가 요약해서 직접 녹음한 파일

http://www.silk-road.com/folklore/manas/manas.mp3


-마나스동상

https://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2167203&imageUrl=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3467_000_1%2F20140917164933264_8OYLRQEVZ.jpg%2Fasiastrory001_i1.jpg%3Ftype%3Dm4500_4500_fst_n%26wm%3DY&cid=51419&categoryId=51419


-마나스(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67203&cid=51419&categoryId=51419


-게세르(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1466&cid=56762&categoryId=56762



세부정보

  • 일시/ 4.11~5.30 매주 수요일 19:00~21:00

    장소/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홀

    강사/ 양민종(부산대학교 교수)

    문의/ 031-231-7237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