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유라시아 신화여행, 다시 이어지는 길> 부대행사 추가강좌

2018-06-27 ~ 2018-06-27 / 2018 신화와 예술맥놀이(다섯 번째 이야기)


6월 27일 2018 신화와 예술맥놀이 다섯번째이야기 <유라시아 신화여행> 부대행사 중 번외ㆍ추가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총 2부로 먼저 이야기공작소 파수 김윤아대표님께서 "사슴신화와 문화콘텐츠"를 주제로 스타트 해주셨습니다. '아더 크리스마스' 와 미야자키 하야오의 '원령공주' 애니메이션을 보며 함께 사슴신화, 일본 아이누 신화 등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습니다. 




<애니메이션 '아더 크리스마스' 中 사슴신화 관련 산타클로스와 순록 >



  

<애니메이션 '원령공주' 中 다양한 신들의 모습과 아이누인의 곰 탈의 모습> 


이번 강의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신선하게 저희들에게 다가온 시간이였는데요.


'아더 크리스마스'에서는  산타클로스(할아버지)와 사슴(순록)이야기, 얼어붙은 북극권의 겨울에는 물과 뭍의 경계없이 얼음벌판이 형성되어 그 위를 달렸을 모습과 고깔모자를 쓴 산타클로의 모습을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원령공주'에서는 애니메이션 속 장면마다 아이누, 사슴신(삶과 죽음을 관장, 생명을 주관하는 여신으로 표현됩니다.)과 그 외의 신들의 모습들을 보며 실제 신화이야기와 접목시켜 이야기를 듣다보니 오늘의 강의가 더욱 뇌리속에 깊게 각인되었던 것 같습니다. 





2부에서는 광주교육대학교의 최원오교수님을 모시고 "허저족과 아이누의 영웅서사시"에 대해 추가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이전 3강때 시간관계상 못다한 이야기에  심혈을 기울여주셨습니다.


아이누의 설화는 구비서사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구비서사시는 카무이, 유카르, 오이나, 마트 유카르(또는 메노코 유카르), 그리고 곰제와 같은 일반제전 및 일상의 생활공간에서 불리는 '유카르'를 통해 전승 되었다고 합니다. 



카무이 유카르(Kamui-yukar, 神의 유카르) : 어원은 ‘神’을 뜻하는 카무이kamui라는 말과 ‘실제를, 또는 일을 서로 행하다’는 뜻의 이- 우카르i-ukar[i(실제를, 일을), 우카르ukar(서로 행하다)]로, ‘실제 있었던 것을 말로 모방하여 표현하다’, ‘신들의 言動을 인간이 언어로 모방․재현하여 서술하다’라는 의미이다. 즉 카무이 유카르(神謠)라는 것은, 신들이 투수(tusu, 巫女)의 입을 빌어 자신들의 身上에 관한 이야기를 스스로 서술하고 노래하는, 신화적 내용을 가진 서사시를 말한다.


오이나(Oina, 人格神의 유카르) : 광범위하게 해석하면 카무이 유카르에 속하는 것이지만, 북해도 남부의 胆振(いぶり), 日高(ひだか) 지방에서는 카무이 유카르 중에서, 특히 아이누 시조신으로서 천상에서 인간세계에 강림하여 아이누 문화의 기초를 개척했다고 믿어지는 아에오이나 카무이Aeoina Kamui(우리들이 말로써 계승하고 언어로써 전승하는 신 = 傳承神) 또는 아이누-락-쿠르Ainu-rak-kur(인간 냄새가 나는 신, 半神半人의 神), 또는 오키쿠르미Okikurmi, 오키키르무이Okikirmui, 오키키르마Okikirma의 自敍로 된 것을 신성시해서 그렇게 부른다. 오이나는 아이누의 시조인 아에오이나의 공적을 찬양하고 德化를 칭송하는, 종교상 중요한 신화를 내용으로 하는 서사시이다.


유카르(yukar, Ainu-yukar, 인간영웅의 유카르) : 카무이 유카르에 대해, 이 ‘유카르’의 주인공은 아이누 민족에 있어서 理想의 神人 포이야운페이기 때문에 아이누-유카르(인간의 노래)라고도 부른다. ‘유카르’ 한 편은 주인공이 행하는 전투의 수에 따라 三戰記, 六戰記, 八戰記 등의 몇 단으로 나뉘어 있고, 이것을 三戰의 노래, 六戰의 노래, 八戰의 노래 등으로 부르지만 그 내용은 영웅설화이기 때문에 아이누 민족의 戰記文學이라고도 칭한다.


마트-유카르(Mat-yukar 또는 Menoko-yukar, 여인의 유카르) : 北海島의 日高(ひだか), 胆振(いぶり) 지방에서 부녀자들 사이에 전승되고 있는 서사시로 여성이 주인공이다. 시누타프카-운-마트shinutapka-un-mat 또는 오타삼-운-마트otasam-un-mat, 무라이-운-마트murai-un-mat,레푸이시르-운-마트repuishir-un-mat, 레펫톰-운-마트repettom-un-mat 등을 주인공으로 한다. 대체로 ‘유카르’보다 노랫말이 쉽게 서술된다.




2018년 신화와 예술맥놀이 다섯번째 이야기 <유라시아 신화여행>이 부대 행사까지 모두 완료 되었습니다.

마지막까지 자리를 빛내주시고 유종의 미를 걷어 주신 수강생분들 감사합니다. 


그럼 2019년 신화 강의 때 다시 뵙겠습니다. ( ◡ ‿◡ *)



<출  처>

1. 아이누 곰 사진

https://www.hakaimagazine.com/features/prejudice-pride/


* 참고영상(The Ainu Bear Ceremony 1931/ 1931년 아이누 곰 의식)

https://www.youtube.com/watch?v=EelCX5zjTKU&list=PL6z9_uWCWgcBYveTCK-OzGls8CCoW7anB


세부정보

  • 일시/ 6.27 수요일 14:30-19:00

    장소/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홀

    1부 강사/ 김윤아(이야기공작소 파수 대표)

    2부 강사/ 최원오(광주교육대학교 교수)

    문의/ 031-231-7237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