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

강화 고려 왕릉의 조사성과와 과제 ④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이 글은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천백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에 수록된 발표주제문입니다.

강화 고려 왕릉의 조사성과와 과제


정해득 | 한신대학교



|목차|

   Ⅰ. 머리말

  Ⅱ. 강화 고려 왕릉 조사성과

  Ⅲ. 조사연구 과제

  Ⅳ. 맺음말


Ⅳ. 맺음말


2000년 이후 고려 왕릉과 분묘에 대한 연구가 점차 늘어나면서 고려 왕릉에 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특히 왕릉의 공간구성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연구논문이 여러 편 발표되었는데, 그 가운데 고려 말과 조선 초 왕릉을 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황금비와 금강비가 계획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이광연의 연구가 주목된다. 그는 우리나라 건축시설물에서 장단변의 비가 1: √2 인 금강비가 많이 확인되는데, 당시 최고 수준의 학자와 기술자들이 동원되었을 왕릉의 공간구성에도 금강비가 적용되었을 것이라는 가정을 세웠다.1* 현재의 상태가 조성당시의 모습에 근사하다는 전제하에 개성 7릉떼의 평면도를2* 바탕으로 비례를 계산하여 금강비에 근사한 값을 얻었다. 고려 왕릉이 구릉 경사면에 조성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비율대로 딱 떨어지지는 않지만 고려 왕릉을 조성할 때 황금비와 금강비가 사용되었다는 유의미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는 고려 왕릉에 대한 기존의 고고학적 조사방법에 더하여 보다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제기하고 있다. 즉, 고려의 왕릉급 분묘에서 왕릉과 묘를 구분해 내는 과학적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기준의 하나를 제공하였다.


강화도에서 지표조사를 통해 25개소에서 고분 283기를 확인되었고, 석릉 주변에 109기가 군집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가운데 강화에 조성되었던 2곳의 세조 창릉과 태조 현릉지는 물론 소릉 등의 왕릉과 무신집정자들 및 예장한 관료의 묘를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 이광연 외, 2011,「고려 말과 조선 초의 왕릉에서 찾을 수 있는 황금비와 금강비」, 『東方學』第21輯,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 장경희, 2008, 『아름다운 우리문화재3 고려 왕릉』예맥.


<참고문헌>


1. 사료

『高麗史』, 『高麗史節要』, 『新增東國輿地勝覽』


2. 논저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江華碩陵』발굴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江華 高麗王陵-嘉陵․坤陵․陵內里石室墳-』발굴조사보고서.

권두규, 2017, 「高麗時代 陵號 記載 樣式과 授與 基準」, 『한국중세고고학』Vol.1, 한국중세고고학회.

김용선 역주, 2001, 『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

김인철, 2002, 「고려무덤에 관한 연구」 ,『평양일대의 벽돌칸무덤, 고려무덤, 삼국시기 마구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김인철, 『조선고고학전서47 고려의 무덤』(2009, 진인진 편, 진인진).

이광연 외, 2011,「고려 말과 조선 초의 왕릉에서 찾을 수 있는 황금비와 금강비」, 『東方學』21, 한서대학교.

이상준, 2017, 「강화 고려 왕릉의 피장자 검토」, 『중앙고고연구』 Vol.23, 중앙문화재연구원.

이우종, 2010, 「조선 능묘 광중 지회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Vol.26 No.12, 대한건축학회.

이희인, 2013, 「高麗 江都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경희, 2008, 『아름다운 우리문화재3 고려 왕릉』예맥.

장경희, 2014, 「12세기 高麗·北宋·金 황제릉의 비교 연구」 『東方學』31, 한서대학교.

주영민, 2005,「高麗時代 支配層 墳墓硏究」, 지역과 역사』17, 부경역사연구소.

한나래, 2008, 「강화 고려 왕릉의 석물 연구」, 문화재』Vol.41 No.1, 국립문화재연구소.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다른 글 보기

세부정보

  •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주제/ 중세고고학과 고려시대 경기의 위상 변화

    일시/ 2018.06.15.(금) 13:00 ~ 18:30

    장소/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홀

글쓴이
경기역사문화유산원
자기소개
경기도 문화유산의 가치 발견,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누리집
https://gjicp.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