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이원익 계자손서 李元翼 戒子孫書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32호




<이원익 계자손서>는 이원익李元翼(1547~1634)이 자손에게 친필로 써서 준 훈계서로 2장이 전해진다. 한 장은 ‘동호초당東湖草堂에서 아들과 손자 및 후손에게 내린 훈계서’이고, 다른 하나는 ‘연풍현감延豊縣監으로 부임하는 손자 수약守約에게 써 준 훈계서’이다. ‘동호초당에서 아들과 손자 및 후손에게 내린 훈계서’는 1599년(선조32) 이원익이 53세에 영의정을 사임하고 판중추判中樞에 임명되어 동호초당에 기거하던 때에 자손들에게 써준 훈계서이다.


 

연풍현감으로 부임하는 손자 수약에게 써 준 훈계서,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그가 생전에 중시 여겼던 풍수설에 구애 받지 말고 선산에 묘를 쓸 것과 형제간 재물을 탐하지 말고 화목하게 지낼 것을 강조한 내용으로 일부 내용은 이원익이 84세에 쓴 유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로 제목은 없으나 『오리선생문집梧里先生文集』 보유편補遺篇에 실린 같은 글의 제목은 ‘서시자손書示子孫’이다.


동호초당에서 아들과 손자 및 후손에게 내린 훈계서,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연풍현감延豊縣監으로 부임하는 손자 수약에게 써 준 훈계서’는 손자 수약이 연풍(지금의 충북 괴산)에 현감으로 부임하게 되자, 목민관牧民官으로서 백성을 다스릴 때 유념해야 할 덕목을 당부하는 글이다. 과거 여러 차례 지방관으로 부임하였던 이원익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깨달은 이치들을 소상히 적었다. 이원익의 백성을 위하는 마음과 현명한 목민관이 되기 위한 마음가짐이 담겨있어 지금까지도 귀감이 되는 글이다. 연기年紀가 없이 본문만 기록되어 있으나 『오리선생문집』 보유편에 이 글이 ‘서여손수약부연풍현書與孫守約赴延豐縣’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고, 작은 글자로 무진戊辰이라는 주를 달고 있어서 1628년(인조6) 이원익이 82세에 벼슬에서 물러나 있을 때에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원익이 자손들에게 친필로 써서 준 훈계서는 조선중기 사대부 가문의 가풍家風을 보여주는 것이며, 조선시대 청백리 정신을 이해하는 기본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599년, 1628년)

    규모/ 2매

    / 서시자손 73×53cm, 서여손수약부연풍현 77.5×47cm

    재질/ 종이(닥종이)

    주소/ 광명시 오리로347번길 5-5

    지정일/ 2009.10.16

    소유자/ 이승규

    관리자/ 충현박물관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