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부천 만불선원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제5 富川 卍佛禪院 詳校正本 慈悲道場懺法 卷第5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66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은 양梁나라 무제의 명령으로 처음 편찬된 『자비도량참법』의 후대 교정본이다. 지은 사람은 ‘양조제대법사 집찬梁朝諸大法師 集撰’이라는 저자 표시와 같이 양나라 승려들의 공동으로 찬술하였다. 여러 경전에 수록된 참회에 관한 내용들을 일정한 체계로 엮어놓은 것인데, 자비도량에서의 참회의식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양나라 때 편찬된 『자비도량참법』의 내용을 원나라 때 상세히 살펴서 바로 잡은 것이 이 책이다. 모두 10권으로 정삼업淨三業, 현과보顯果報, 자경自慶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에서 권5인 이 책은 「해원석결解寃釋結」이 수록되어 있다. 「해원석결」은 사람 간에 원한이 없어야 지옥이 없어지므로 원한을 없애는 예참 의식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다.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수, 촬영일미상 ©문화재청                                                              권말,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우리나라에서는 1316년(고려 충숙왕3)에 변산에서 간행된 판본(보물 제1543호)을 비롯하여 1352년(공민왕1) 판본 등 고려본이 공개되어 있고, 조선시대에도 10여 차례 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판본은 ‘참오 일懺五 一’과 같이 작은 자로 판심제, 권수, 장수표시를 해놓았고, 권이 끝난 뒤에는 음의音義가 있다. 지질은 조선전기에 사용되던 고정지 계통이어서 간행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앞부분에 일부 오염이 있고, 절첩한 부분에 손상된 곳이 있으나 대체로 온전하다. 장책형식은 5행씩을 접은 절첩본折帖本이며, 먹으로 구결口訣과 구두점句讀點을 달아놓은 것으로 보아 학습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1책 / 38.5×15×2.8cm

    재질/ 종이

    주소/ 부천시 마니로24번길 41-62

    지정일/ 2012.03.26

    소유자/ 만불선원

    관리자/ 만불선원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