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서거정선생 묘지석 徐居正先生 墓誌石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36호





<서거정선생 묘지석>은 조선전기의 대학자 서거정徐居正(1420~ 1488)의 묘에서 출토된 묘지석이다. 서거정은 조선시대 통치체제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편찬된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의 편찬사업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향약집성鄕藥集成』을 국역하는 등 천문, 지리, 의약, 풍수에 이르기까지 박학하여 문장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특히 시에 능하여 시문의 백미를 모은 『동인시화東人詩話』와 『동문선東文選』을 엮고,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문인들의 우수한 시문을 골라 한문학을 집대성하기도 하였다.


서거정선생 묘지석 일괄, 2015 ©경기도박물관


서거정선생 묘지석은 서울시 강동구 방이동의 서거정 묘역이 도시계획으로 1975년 화성시 봉담읍 왕림리로 이장되는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이후 문중의 재실齋室에 소장되다가 현재는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묘지석은 백자이며, 형태는 장방형의 판형이고, 크기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모두 19매가 보존되고 있는데, 지석의 우측면 상단에 번호를 부여해 전체의 순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거정선생 묘지석 탁본, 촬영일미상 ©경기도


19매의 지석번호 중 16·17·19가 멸실된 것으로 보아 본래 총 22매였던 것으로 보인다. 제1장의 묘지석만 청화靑畵로 쓰였으며, 나머지는 백자에 10행 16자로 정사각형의 칸을 긋고 그 안에 음각으로 글자를 새겨 넣었다. 지석문誌石文은 서거정과 함께 『신편동국통감新編東國通鑑』을 편찬한 이숙함李淑瑊이 지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488년)

    규모/ 19판

    / 대형 20×31×2.5cm, 소형 17.5×28×2.5cm

    재질/ 도자기(백자)

    주소/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지정일/ 1989.06.01

    소유자/ 경기도박물관

    관리자/ 경기도박물관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