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남계 박세채 영정 南溪 朴世采 影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63호





<남계 박세채 영정>은 조선후기의 문신 박세채를 그린 초상 2점이며 관복본과 유복본이 있다. 박세채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화숙和叔, 호는 현석玄石·남계南溪이다. 증조부 박응복朴應福은 대사헌, 할아버지 박동량朴東亮은 형조판서를 지냈다. 김상헌金尙憲과 김집金集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관복본은 높은 사모에 단령을 입고 있으며 정면을 향한 당당한 유학자의 풍모를 드러내고 있다. 이 관복본은 후대에 다시 그린 이모본이며, 이를 그린 화가의 기량이 뛰어나지 못해 원본을 꼼꼼히 옮겨 그리지 못한 부분이 많다. 수염의 표현은 흰수염이 검은 수염을 감싼 매우 특이한 형태이다. 단령은 아청색 운문단이며 목깃이 넓다. 조선중기 초상화의 한 특징인 삼각형 무武가 사라졌으며, 옷을 표현하는 선이 부드럽고 가늘다. 의자에는 표범가죽을 깔았는데 17세기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는 형식이다. 박세채는 정1품 좌의정까지 지냈으므로 공작흉배에 서대犀帶를 착용해야 하는데, 운학흉배를 착용하고 있다. 발 받침대 아래에 표범가죽의 머리를 둔 것은 실학박물관 소장 김석주金錫胄 초상과 같은 양식이다. 17세기 후반 초상화의 양식을 공유한 것으로 간주된다.


박세채 영정 관복본, 2008 ©경기도박물관


박세채 영정 관복본 안면부 , 2008 ©경기도박물관


유복본은 동파관東坡冠을 쓰고 두 손을 소매 안에 맞잡은 정면형의 입상이다. 과장하여 그린 듯 상당히 여유로운 편복 위로 검은색 끈을 매어 늘어뜨렸다. 큰 옷 속에서 정면을 응시하는 얼굴은 비교적 자세히 묘사하여 생동감을 주었다. 옷 색깔은 갈회색이며, 초록색 신발은 직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좌우로 벌린 자세의 신발에는 녹색과 흰색의 점을 찍은 점묘법을 사용하였다. 얼굴과 옷의 일부에는 색감이 변색되었다.


박세채 영정 유복본, 2008 ©경기도박물관


박세채 영정 유복본 안면부, 2008 ©경기도박물관


인물의 개성을 살린 17세기 후반의 관복본과 유복본 초상화이다. 박세채의 외손자인 신경申暻(1696~1766)의 문집에는 박세채의 관복본과 유복본 초상의 초본草本을 그린 화가가 평양출신의 조세걸曹世傑이라 하였는데 면밀한 고찰을 필요로 한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2폭

    / 관복본 175×93cm, 유복본 180×104cm

    재질/ 비단

    주소/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지정일/ 1996.12.24

    소유자/ 박찬혁

    관리자/ 경기도박물관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