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나전칠기장 칠장 보유자 배금용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4호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은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에서 2017년 발행한 경기도 지정 무형문화재 종합 안내서입니다. 이 책은 기능보유자와 예능보유자 66명의 삶을 조망하고 보유 종목에 대한 소개와 다양한 단체에서 제공한 진귀한 사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지씨에서는 이 책에 소개된 경기도의 무형문화재를 시리즈로 소개합니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전문 보기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기물이나 용기에 옻칠을 하면 습기와 병충해의 피해를 막아 줄 뿐만 아니라 고온에도 잘 견디게 해 준다. 이런 까닭에 선사시대부터 칠기가 널리 사용되었고, 역사시대로 들어오면서 화려한 보석으로 장식한 칠기들이 등장했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에는 값비싼 서역의 주옥(珠玉)이나 거북등껍데기 등으로 장식한 칠기가 등장하였고, 급기야 흥덕왕 9년(834년)에 사치금지령이 내려진다. 그 이후로 칠기의 장식에는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조개껍데기가 이용되었다. 즉 나전칠기가 우리나라 유일의 장식칠기가 된 것이고, 그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런 나전칠기의 전통을 뚝심 하나로 지켜나가는 명장이, 1972년 이후 성남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4호 나전칠기장 배금용이다. 1944년생인 그는 일찍 이 아버님을 여의고 고아원에서 지내다가 상경하여 10살 때부터 고 최준식 선생님으로부터 도제식으로 나전칠기를 배운 인물이다. 타고난 장인정신과 남다른 성실성, 제1인자가 되겠다는 신념이 더해져 그의 실력은 일취 월장했다. 그리고 1987년 마침내 그의 작품 2점이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에서 입선이 되면서 실력을 인정받게 되었고, 1989년에 2점을 다시 출품하여 입선되면서 명장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그는 평생 옻으로 인해 까맣게 착색된 손끝과 손톱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아직도 주문제작을 받지 않는다. 기한을 두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작업을 하면, 제대로 된 작품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라 한다. 아울러 돈을 쫓으면 머리가 나빠진다고 믿고 돈벌이를 위한 상품제작은 하지 않았다. 그러니 가난할 수밖에 없었고, 어렵게 생계를 이어나가야 했다. 그럼에도 그는 일에 미쳐 가난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 젊은 시절에는 두세 시간 밖에 자지 않고 작업에 전력했다고 하며, 칠순을 넘은 지금에도 10시간 이상 어김없이 작품 활동에 몰두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았다. 자다가도 좋은 구상 이 떠오르면 바로 작업장으로 달려가 실험을 해 보았고, 나전칠기의 전 공정 을 제대로 터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그런 한편으로 금속선으로 문양을 넣는 자신만의 기법을 창안하여 나전칠기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기도 했다. 어쨌든 성남시민속공예전시관에 자리한 그의 공방에는 30여 평 공간에 그의 작품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다. 그는 그 공간을 ‘상품’ 전시실이 아니라 ‘작품’전시실로 여기고 있다. 판매를 목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 <스캔들>





* 영상자료 : 경기학연구센터(http://cfgs.ggcf.kr/)>센터자료>영상자료 '천년의 광채'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124호 나전칠기 칠장


지정일1998.9.21
보유자배금용(1944년생)
전수조교배광우
전수관성남시 민속공예전시관 내
특기사항

대한민국 명작 선장 2001-18호

전국 기능경기대회 은메달 수상


세부정보

  •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발행처/ 경기도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문의/ 031-231-8576(경기학연구센터 담당 김성태)

    발행일/ 2017.12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