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채제공선생 묘 蔡濟恭先生 墓

경기도기념물 제17호





조선 정조 대의 문신인 채제공蔡濟恭(1720~1799)의 묘이다. 채제공의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이다. 충청도 홍주 출생이다. 1735년(영조11) 15세로 향시에 합격하고, 1743년 문과정시에 급제후 출사하여 여러 벼슬을 지냈다. 1758년 도승지에 재직시 영조가 사도세자를 폐위하는 비망기를 내리려 하자 죽음을 무릅쓰고 이를 막았다. 후일 영조는 정조에게 채제공을 가리켜 ‘진실로 나의 사심없는 신하이고 너의 충신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1788년 국왕의 친필로 우의정에 특채되었고 1790년 좌의정에 올라 행정 수반이 되었다. 1793년에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며 신도시 수원 건설과 수원의 화성성역華城城役을 총괄하였다.



채제공선생 묘,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채제공선생 묘 석양(우), 채제공선생 묘비,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체재공의 묘역에는 망주석·석양·혼유석·상석·고석·향로석 등의 옛 석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봉분 우측에는 방부개석方趺蓋石 양식의 묘표가 건립되어 있다. 음기陰記나 건립 연대의 기록이 전혀 없고, 비신의 앞면에만 글씨를 써서 피장자의 신분을 밝혔다. ‘문숙文肅’이란 시호가 새겨진 것으로 보아, 1823년(순조23)에 추탈追奪된 관작官爵이 복구되고 시호를 하사 받을 때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묘역 입구의 비각에는 정조가 직접 썼다는 방부개석方趺蓋石 양식의 뇌문비誄文碑가 안치되어 있어 정조의 총애를 짐작할 수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1기

    / 단분, 상석 1기, 망주석 1쌍, 석양 1쌍, 뇌문비

    주소/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산5

    지정일/ 1973.07.10

    소유자/ 채씨종중

    관리자/ 채씨종중(조성기)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