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채산사 茝山祠

경기도기념물 30호





<채산사>는 조선후기 위정척사사상을 주창한 유학자이자 항일 의병장인 면암 최익현勉庵崔益鉉(1833~1906)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사당이다. 후에 항일 독립운동가인 염재 최면식念齋 崔勉植(1891~1944)도 함께 배향하였다. 최익현은 1855년(철종6) 문과에 급제, 장령·동부승지·공조참판·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채산사 전경,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공조판서 때 고종의 친정親政을 주장하는 상소문을 올려 흥선대원군을 정권에서 물러나도록 하였다. 1905년(광무9) 일본의 강제적인 을사보호조약 체결에 항거하고 순창에서 의병운동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대마도로 유배된 뒤 단식 끝에 세상을 떠났다.

지역 유림들이 선생의 뜻을 기리고자 1906년 건립했으나 일제에 의한 훼철과 유림의 재건이 반복되었다. 해방 후 1949년 다시 중건되었고, 1975년 보수가 이루어졌다.


채산사 사당,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채산사 사당 내부,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사당은 3칸의 솟을삼문을 전면에 두고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계단처럼 단이 진 이벌대 장대석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평면구조이며, 전면에 개방된 퇴칸을 두었다. 전면과 퇴칸열은 원주圓柱를 사용하였고 측면과 배면은 각주角柱이다. 가구 구조는 5량이며 맞배지붕이다. 전면은 익공에 처마는 겹처마이며, 배면은 민도리집에 처마는 홑처마이다. 내부 중앙에는 최익현 선생의 위패와 그 좌측에 시대와 작자 미상未詳인 영정影幀을 봉안하였고, 내부 좌측면에는 최면식 선생의 위패와 영정을 봉안하였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1907년 건립

    규모/ 일원 / 3×3칸

    재질/ 목재

    주소/ 포천시 신북면 청성사길 101

    지정일/ 1976.08.27

    소유자/ 최종규

    관리자/ 최종규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