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영은미술관

[영은미술관] 生前葬(생전장)_Flash back: Art of dying

2018-11-03 ~ 2018-12-02 / 영은창작스튜디오 10기 입주작가 개인전 나오미 군지

2018 영은미술관 10기 입주작가 나오미 군지 개인전

《生前葬(생전장)_Flash back: Art of dying)》전시 개최


《生前葬(Flash back: Art of dying)》이라는 타이틀로 2018년 11월 3일부터 12월 2일까지

영은미술관 2전시실에서 전시



영은미술관은 창작스튜디오 10기 입주작가(단기) 나오미 군지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작가는 주변을 세밀한 눈으로 들여다보며 그 속에 각인된 生死를 사유하며 “눈 부시는 빛을 영혼에 새기고 싶다. 그림자가 짙을수록 빛은 아름답다.”고 전한다. 모든 생명이 있는 것들 속에 담긴 ‘필멸의 죽음’이라는 짙은 그림자는 일상이 삶과 죽음의 경계에 걸쳐있음을 환기시키고 눈부시게 강렬한 절박함을 부여한다.




나오미 군지의 전시 타이틀 ‘生前葬(생전장)’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작가는 ‘죽음’이라는 화두를 늘 염두에 두며 지금의 시간을 절실하게 살아간다고 말한다. 그러한 절실함 속에서 나오미 군지가 그린 꽃, 나무, 숲 등의 자연물은 일견 소박하고 평화로운 느낌을 준다. 작가가 영은창작스튜디오 입주기간 동안 그린 미술관 주변의 숲, 동물, 나무, 작은 식물, 꽃 등의 작품은 따뜻한 시선을 보내게 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자연을 보며 쉼을 누리고, 작은 들풀일지라도 생명과 활력을 지닌 모습에 일종의 경외를 느끼기도 한다. 그런데 이 같은 자연의 모습 속 다른 한편에는 치열한 생존의 문제, 살아남느냐 죽느냐 하는 문제가 직결되어 있다. 특히 꽃이란 “식물에게 있어 아주 중요한 생존수단”이다. “꽃이 피어야 그 안에 들어 있는 암술과 수술의 수정이 가능하고, 씨라는 자손을 남길 수 있다.”(The Science Times, “꽃에 숨어 있는 생존의 법칙” 中) 나오미 군지가 그린 수많은 꽃은 존재론적 목적에서 생존을 위해 피어난 결과물이자 이후에는 지게 될 운명에 처해있다. 즉 드러나 보이는 화려한 모습 이면에 소멸, 사라짐의 숙명(죽음)을 안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 죽음이 작가에게 있어 삶을 무력화시키고, 회의적으로 만드는 죽음이 아니란 점이다. 앞서 나오미 군지는 죽음을 늘 끌어안고 지금의 시간을 절실하게 살아간다고 전했듯이, 죽음이란 ‘바로 지금, 여기’에 있는 순간을 생명력 있게 살아내도록 하는 힘의 원동력, 원천이 되는 가능성을 안고 있다.




꽃이 피고 지는 것에 치열한 생존 이유가 담겨 있듯이 죽고 사는 모든 존재에는 또다른 치열한 생존, 生/死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죽음을 멀리 있는 것으로 보지 않는 작가의 정신은 죽음을 늘 상기하라는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를, 꽃이라는 대상을 그린다는 점에서 네덜란드 꽃 정물화에 담긴 ‘바니타스(Vanitas)’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죽음을 잊지 말라는 ‘메멘토 모리’이든 세상의 모든 것이 헛되다는 ‘바니타스’이든, 나오미 군지의 작품은 죽음으로 인해 오히려 강렬해지는 현재의 순간을 마주하게 만든다. 이번 전시를 통해 생성과 소멸의 미적 가치를 마주하며 우리가 서있는 ‘지금, 여기’라는 찰나의 순간을 세밀한 시선으로 들여다보기 바란다.

@참여자

글쓴이
영은미술관
자기소개
재단법인 대유문화재단 영은미술관은 경기도 광주시의 수려한 자연림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크게 미술관과 창작스튜디오로 구분되어 이 두 기능이 상호분리되고 또 호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미술관은 한국예술문화의 창작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유문화재단의 설립(1992년)과 함께 2000년 11월에 개관하였다. 영은미술관은 동시대 현대미술 작품을 연구, 소장, 전시하는 현대미술관 (Museum of Contemporary Art)이며 또한 국내 초유의 창작스튜디오를 겸비한 복합문화시설로, 미술품의 보존과 전시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미술관 형태를 과감히 변화시켜 미술관 자체가 살아있는 창작의 현장이면서 작가와 작가, 작가와 평론가와 기획자, 대중이 살아있는 미술(Living Art)과 함께 만나는 장을 지향목표로 삼고 있다. 종합미술문화단지의 성격을 지향하는 영은미술관은 조형예술, 공연예술 등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예술을 수용하고 창작, 연구, 전시, 교육 서비스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여 참여계층을 개방하고 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문화촉매공간이 되기를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