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이수광선생 묘 李睟光先生 墓

경기도기념물 제49호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문물을 소개함으로써 실학 발전의 선구자가 되었던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묘이다. 이수광이 활동했던 시기는 임진왜란과 정묘호란을 치르고 광해군 때의 정치적 갈등과 인조 때의 이괄李括의 반란을 겪으면서 조선사회가 전기에서 후기로 변화하는 때였다. 그는 일찍이 관직에 나아가 중요한 관직을 두루 거치며 세 차례나 명나라 사신으로 다녀오면서 여러 서양서적 등을 통하여 새로운 사상적 전개방향을 탐색하고 개척하였다. 특히 『지봉유설芝峰類說』을 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문물을 소개하였고, 실학파 선두자로 실학정신을 지향하여 현재까지도 사상사 및 철학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수광선생 묘,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이수광선생 묘 동자석(우), 묘비, 동자석(좌),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묘역의 봉분은 원래 호석을 두른 듯하나 현재는 정면에 장대석 1기만 남아 있다. 봉분 앞에는 원수방부형 묘비, 상석, 향로석이 갖추어져 있으며, 묘의 전방 좌우에는 동자석과 망주석이 각 1쌍씩 갖추어져 있다. 묘비는 총탄자국이 있어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마모가 심하다. 이수광 묘역 아래에는 아버지 이희검李希儉(1516~1579), 아들 이성구李聖求(1584~1644)의 묘역이 차례로 조성되어 있다. 묘역 아래 신도비각 내에는 신도비가 세워져 있는데 모두 3기이다.

이수광선생 신도비,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이 중 이수광 신도비는 중앙에 있는 비로 원수방부 형태이며, 비문은 이정구李廷龜가 찬撰한 것으로 1632년(인종10)에 건립되었다. 이희검 신도비는 원수방부의 형태로 비문은 신흠申欽이 찬하여 1613년 (광해군5)에 건립되었다. 이성구 신도비는 팔작옥개석八作屋蓋石 형태로 이성구의 동생 이민구李敏求가 찬撰한 내용에 손자 이현치李玄緻와 이현석李玄錫이 추기追記를 보완하여 1720년(숙종46)에 건립되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1기

    / 단분, 상석 1기, 향로석 1기, 망주석 1쌍, 동자석 1쌍, 묘비 1기, 신도비 3기

    주소/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산90-1

    지정일/ 1978.10.10

    소유자/ 전주이씨 종중

    관리자/ 이씨 종중(이희태)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