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생거진천 사거용인

2017-07-25 ~ 2017-10-29 / 그 많던 옛이야기는 어디로 갔을까?


경기도박물관의 <그 많던 옛 이야기는 어디로 갔을까?> 특별전은 경기도 31개의 시·군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옛 이야기 약 1,500편 가운데, 우리 귀에 익숙하며 따뜻하고 교훈적인 이야기 20편을 선정하여 구성한 전시입니다. 신화·전설·민담 등 다양한 형태로 전승된 공동의 문화유산인] 옛 이야기를 신비한 이야기, 아름다운 이야기, 행복한 이야기, 자랑스런 이야기 등 4개의 주제로 구성하여 소개합니다.


생거진천 사거용인





경기도 용인과 충청북도 진천에는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死居龍仁)’이란 말이 전한다.


옛날 진천에 추천석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가 하루는 아내 옆에서 잠시 잠이 들었다가 애절한 통곡 소리에 잠이 깨었다. 눈을 비비고 상황을 살피니 아내와 자식들이 목 놓아 울고 있었다.


“아이고, 우리를 두고 먼저 저세상으로 가시다니요!”


추천석은 싸늘하게 식어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고 소스라치게 놀랐다. 자신이 혼백 상태라는 걸 알아차릴 때쯤 저승사자들이 와서 그를 염라대왕에게 데려갔다.


“어디서 왔느냐?”


“예, 소인은 진천에서 온 추천석이라 하옵니다.”


“뭐라고?”


염라대왕은 몹시 놀라 저승사자들을 꾸짖었다.


“용인 땅의 추천석을 불러들여야 하는데, 진천 땅의 추천석을 데려왔구나! 당장 데려온 추천석을 풀어 주고 용인의 추천석을 데려오너라!”


알고 보니 두 사람의 이름과 사주팔자가 같아서 벌어진 일이었다.


추천석은 가족을 만나기 위해 쏜살같이 진천의 집으로 향했다. 그러나 이미 자신의 몸은 땅에 묻히고 집에는 위패만 놓여 있었다. 추천석은 자신의 몸을 찾을 수 없어 계속해서 아내를 불렀지만 소용없었다. 실의에 빠진 그에게 절묘한 생각이 떠올랐다. 추천석은 저승사자와 함께 용인으로 가서 아직 온기가 남아 있는 용인 추천석의 몸을 빌렸다.


통곡을 하던 용인 추천석의 가족들은 죽은 사람이 꿈틀대며 일어나는 모습을 보고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다시 살아난 추천석은 용인 추천석의 부인과 가족들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했지만 아무도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


다음 날, 추천석은 진천 집으로 가서 상복을 입고 있는 아내에게 그동안의 일을 설명했다. 모르는 남자가 자신이 남편이라 우기자, 진천 추천석의 아내는 모멸감을 느끼고 동네 사람들을 불러 모았다. 뒤따라온 용인 추천석의 아내는 남편이 미친 것 같다며 계속 용서를 구하다가 결국 모두 관아로 끌려가게 되었다.


원님은 모든 사연을 듣고 이렇게 판결했다.


“이승에서는 혼이 아닌 육체가 인정되니 추천석은 용인으로 가서 살아라.”


추천석은 체념한 듯 용인으로 향했다. 용인 추천석의 가족들은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 돌아왔다며 이전보다 더욱 극진히 대했고, 시간이 흐르자 그도 서서히 새로운 생활에 적응되었다. 용인 추천석의 가족과 진천 추천석의 가족은 죽을 때 까지 행복하게 살았다. 그 후 ‘살아서는 진천에 살고 죽어서는 용인에 묻힌다’라는 뜻의 ‘생거진천 사거용인’이란 말이 생겼다고 한다.




살아서는 진천이 좋고, 죽어서는 용인이 좋다!


최유경 묘소|한국향토문화 전자대전 용인 공세동|경기도문화재자료 120호


 해동지도 용인현|서울대학교규장각 소장


용인시를 대표하는 문장이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명당 이야기와는 다르다. 여러 이야기가 있지만, 다음 두 이야기가 가장 유명하다. 하나는 민간에서 전해 오는 설화로 ‘추천석’이란 사람이 진천에 서 죽었는데, 용인에 살던 사람과 이름이 같아 저승에 갔다가 다시 이승으로 내려와 용인의 ‘추천석’으로 환생하였다는 이야기이다. 다른 하나는 조선 시대 관리였던 최유경(1343~1413)이 효심이 깊고 검소하고 바른 품성으로 이름이 높았는데, 그가 진천에서 태어나고 용인에서 죽은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최유경은 세종으로부터 효자정문을 하사받고, 청백리로도 칭송받았다. 기흥구 공세동에는 그의 무덤과 그를 기리는 사당 ‘효렴사’가 세워졌다.






[질문] 드넓은 평지에 뒤로는 높은 산이 있고 앞으로는 물이 흐르는 곳을 명당이라고 해요. 용인의 지도를 보고, 여러분이 살고 싶은 집과 마을을 그려 보세요.



* 첨부파일을 인쇄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세부정보

  • 경기 옛이야기 특별전 <그 많던 옛이야기는 어디로 갔을까?>

    발행처/ 경기문화재단/경기도박물관

    발행인/ 전보삼

    발행일/ 2017년 7월

    전시총괄/ 전보삼, 이소희

    기획 및 진행/ 한준영, 김영미, 이지희, 조현이, 문종상, 오가영

    일러스트/ 경혜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