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기관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은 지지씨 콘텐츠를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기관의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기관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 직 책 : 경영본부장
- 직 급 : 본부장
- 연 락 처 : 031-231-7203
-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 화 : 1833-6972
-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 화 : (국번 없이) 182
-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첨부하기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등록/수정에 맞게 업로드 해 주세요.
* 최대 업로드 가능 용량은 5MB입니다.
한글, 워드 파일 외 압축파일(zip) 가능합니다.
유의사항
경기문화재단
《언어의 모색》, 권민경 外 16인
경기문학25
2018년 경기문학 시리즈가 10월 발간되었습니다. 이번 시리즈는 문부일을 비롯한 소설가 6인의 소설집 6권과 천수호 등 시인 16인의 작품을 묶은 시집 1권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문학이라는 경이(驚異)를 기록(記錄)한다는 의미의 경기문학驚記文學 시리즈는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경기도에 거주하는 문인들에게 창작지원금을 지급하고 그들의 선정 작품을 시리즈물로 출간하였습니다. 지지씨에서는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경기문학 시리즈를 안내해드리고자 합니다. |
《언어의 모색》은 모두 자신만의 스타일과 목소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전체적으로 보면 ‘모색 중’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시인 16인의 시 모음집이다. 이 모색 행위의 면면을 살펴보면, 권민경은 희망 따위는 전혀 없는 현실을 잔혹동화의 한 장면처럼 그려내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찌그러질 장래’만 남은 시 〈별〉의 부제가 ‘시의 기원’이라는 점이다. 김개미의 시에 나오는 ‘이야기’들에는 말하는 자는 있으나 그것을 듣는 실제의 청자는 없다. 죽어서 말하건 살아서 말하건 그것을 듣는 자는 오직 ‘나’뿐인 독백이다. 김두안은 자신의 내부에 고이는 혼란스러운 목소리들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지 그것들이 외부와 어떻게 만날 수 있는 것인지 숙고 중인 듯하다.
김명철은 파괴되는 자연의 모습을 보여주는 데 집중한다. 자연 파괴나 생태계 훼손을 바라보는 시인의 자리 혹은 태도가 독특하다. 시의 기본이라 할만한 ‘대상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이나 사상’을 가장 객관적이고 무덤덤하게 진술하는 것이 김상혁의 전략이다. 박몽구의 시가 나직하면서도 잔잔하게 다가오는 것은 소박하고 진솔한 고백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설희의 시는 가진 것 없는 사람들을 소재로 하지만, 그들의 삶의 애환보다는 더불어 사는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주제로 한다. 서정화의 시는 일상의 이면에 숨어있는 비일상적인 측면을 읽어내고자 하는 노력이 엿보인다. 손현숙이 관심을 가지는 것은 세상에 돌아다니는 각종 말들이다. 이인은 주로 대상과 그것의 내력을 짚어가며 인간사를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재훈은 ‘사제의 말’과 같은 순결한 시를 쓰고 싶었으나 생활에 쫓기면서 조급하게 말을 뱉고 채 다듬어지지 않은 시를 써온 자신을 반성한다. 이진욱의 시에는 별다른 모색도 해결책도 내지 못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의 어쩔 수 없는 삶이 잘 나타나 있다. 이향란은 자문자답 속에 시적인 출발점을 되짚고 있다. 정연희의 시는 하나의 소재에 하나의 메시지를 연결해서 평범한 소재를 시로 만들어내는 성실함이 돋보인다. 정지윤의 〈줌인〉은 대상을 포착하는 시선이 흥미로운 시이다. 홀로 있는 것은 스스로를 정화하기 위한 자발적인 의식에 가까운 것으로서, 그를 통해 천수호는 ‘선과 면으로도 어떤 윤곽으로도 그릴 수 없는 네 얼굴’에 도달하고자 한다.
권민경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등단. 김개미 강원도 인제에서 태어나 자랐다. 2005년 〈시와 반시〉에 시를, 2010년 〈창비 어린이〉에 동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시집 《앵무새 재우기》, 《자면서도 다 듣는 애인아》, 동시집 《어이없는 놈》, 《커다란 빵 생각》, 《쉬는 시간에 똥 싸기 싫어》, 그림책 《사자책》, 《나의 숲》, 《나랑 똑같은 아이》, 시그림집 《나와 친구들과 우리들의 비밀 이야기》를 냈다. 제1회 문학동네 동시문학상을 수상했다. 김두안 200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달의 아가미》. 김명철 2006년 〈실천문학〉으로 등단. 시집으로 《짧게, 카운터펀치》와 《바람의 기원》이 있다. 두 차례 아르코창작기금 수혜. 김상혁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09년 〈세계의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하였다. 시집은 《이 집에서 슬픔은 안 된다》(민음사, 2013), 《다만 이야기가 남았네》(문학동네, 2016)가 있다. 박몽구 한양대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1977년 월간 〈대화〉로 등단하여 《수종사 무료찻집》, 《칼국수 이어폰》, 《황학동 키드의 환생》 등의 시집을 상재하였다. 한국크리스찬문학상 대상 수상. 계간 〈시와문화〉 주간. 박설희 2003년 계간 〈실천문학〉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으며 시집 《쪽문으로 드나드는 구름》, 《꽃은 바퀴다》를 펴냈다. 이 중 2017년에 발간된 시집 《꽃은 바퀴다》는 세종도서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 외 한국·미얀마 합동시집 《멀리 사라지는 등이 보인다》, 촛불 시집 《천만 촛불 바다》, 세월호 3주기 시집 《꽃으로 돌아오라》 등 다수의 공동시집과 공동산문집 《우리는 영원하고 사랑도 그렇다》를 펴냈다. 서정화 2007년 백수 정완영 전국시조백일장 장원, 나래시조 신인상으로 작품활동 시작함. 저서로는 현대시조 100인 선집 《숲 도서관》이 있고, 시집은 《나무 무덤》(천년의시작), 《유령 그물》(고요아침)이 있음. 2016년 시집 《나무 무덤》이 세종도서 문학나눔에 선정됨. 손현숙 서울에서 출생. 1999년 〈현대시학〉에 〈꽃터진다, 도망가자〉 외 9편으로 등단. 시집으로 《너를 훔친다》(문학사상사, 2002)와 《손》(문학세계사, 2011)과 《일부의 사생활》(시인동네, 2018)이 있다. 사진 산문집 《시인박물관》(현암사, 2005)과 《나는 사랑입니다》(넥서스, 2012)가 있다. ‘국풍’ 사진공모 수상, 토지문학제 평사리문학상 수상. 2002년과 2005년 문화예술위원회 진흥기금 수혜. 2010년 서울문화재단 기금 수혜. 2015년과 2018년 경기문화재단 기금 수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현재 한서대 출강. 이인 2018년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창작지원 문학 분야 선정. 2013년 〈시인동네〉 신인문학상. 2011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제29회 마로니에 전국여성백일장 우수상. 2010년 제10회 동서커피문학상 맥심상. 2007년 미당문학제 입선. 이재훈 1972년 강원 영월 출생. 1998년 〈현대시〉로 등단. 시집으로 《내 최초의 말이 사는 부족에 관한 보고서》, 《명왕성 되다》, 《벌레 신화》, 저서로 《현대시와 허무의식》, 《딜레마의 시학》, 《부재의 수사학》, 대담집 《나는 시인이다》가 있다. 한국시인협회 젊은시인상, 현대시작품상, 한국서정시문학상을 수상했다. 이진욱 전남 고흥 生. 2012년 〈시산맥〉 신인상으로 등단. 시집 《눈물을 두고 왔다》가 있다. 2018년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창작지원 문학 분야 선정. 이향란 2002년 첫 시집 《안개詩》로 작품 활동 시작. 《슬픔의 속도》, 《한 켤레의 즐거운 상상》, 《너라는 간극》 등의 시집이 있음. 정연희 2017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당선. 2017년 〈농민신문〉 신춘문예 당선. 제20회 김유정 기억하기 공모전 수상. 제4회 생명문학상 장원. 제38회 근로문학상 운문부문 수상. 신석초, 김삿갓 전국 시낭송대회 수상. 2018년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창작지원 문학 분야 선정. 정지윤 2015년 〈경상일보〉 신춘문예 당선. 천수호 경북 경산에서 태어났다.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옥편에서 ‘미꾸라지 추(鰍)’자 찾기〉라는 작품으로 등단을 했고, 민음사에서 《아주 붉은 현기증》을, 문학동네에서 《우울은 허밍》이라는 시집을 출간했다. 지금은 명지대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시를 읽고 있으며, 횡성 예버덩문학의집 운영위원과, ‘삶의향기 동서문학상’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도서출판 ‘걷는사람’의 기획위원이기도 하다. |
차례
권민경 •9
장래희망・별・단지・보름
김개미 •21 폭탄과 나무・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자신조차 알지 못하면서/상대방이 자신을 찾을 거라고 믿는 남자의 전화・한성이・장미꽃이 만발하고 향기가 어지러워 물을 한 모금 마시고 중얼거린다
김두안 •33 이 세상을 떠난 음악들・유리컵 속에 달・독백 영화관・내부로부터 동백
김명철 •45 폐쇄(閉鎖)・전조(前兆)・안개・갈 수 없는 나라
김상혁 •59 마지막 장・시끄러운 인간・기면・미래
박몽구 •67 산을 옮긴다는 것・늦둥이 모과・대방동의 지붕들・알
박설희 •81 부리・가슴을 재다・손들・선감도
서정화 •91 메콩강의 맨발들 2・곡면 거울의 방・봄날・주산지
손현숙 •99 오늘저녁, 말은・축축한 말・봄철에는 꽃들이 글썽거린다・알리오 올리오
이인 •107 말발굽 소리에 수평을 맞추고・물총새의 저녁・버드나무 미용실・천궁
이재훈 •117 소립자의 뼈・오로지 밤의 달만 반긴 장막의 시간・ 파종의 도(道)・폭발하는 숲
이진욱 •129 터전・순천(順天)・고흥(高興)・결박
이향란 •139 애인과 애국・아가書 2・데칼코마니・카스트라토
정연희 •151 종이 한 장의 겹・투구꽃・봄바람에 따끈한 국화꽃・두부의 예각
정지윤 •161 줌인・길들여지다・푸른 머리카락의 아침・블랙박스
천수호 •169 네 얼굴의 의미・건망증・다정모텔・여류, 아류라는 버들치
해설 _ 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모색이 돋보였던 작품들 _문혜원(문학평론가, 아주대 교수)•181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