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신익희 생가 申翼熙 生家

경기도기념물 제134호




<신익희 생가>는 해방 전후 시기 대표적인 정치 지도자로서 광복 후 제헌국회制憲國會 부의장, 국회의장을 역임한 해공 신익희海公申翼熙(1897~1956)의 생가이다. 원래는 지금 위치에서 동남쪽으로 약 200m 지점에 위치해 있었으나, 1865년 을축년乙丑年 대홍수로 집이 파손되어 1867년(고종4)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고 전해지며, 건축물대장에는 1925년 건축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신익희 생가 전경,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가옥은 안채와 바깥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목조 기와집으로 전통 한옥의 외관을 잘 간직하고 있다. 안채는 기본 ㄱ자형으로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우측에 안방, 좌측으로 건넌방이 있고 안방 앞으로 부엌을 두었다. 부엌날개의 반대편으로 안방 뒤에 2칸의 방을 내달아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ㄱ자형의 바깥채는 대문을 중심으로 좌측에 2칸의 사랑방을 배치하고 우측에 1칸의 작은방을 두었다. 사랑방 좌측에는 1칸의 마루와 꺾어진 부분에 2칸의 방이 배치되어 있다.


신익희 생가 바깥채,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신익희 생가 안채, 2015 ©경기문화재연구원


이 집은 전체적으로 전형적인 19세기 또는 20세기 초 경기지역 중소 지주 계층의 가옥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기둥의 일부 부재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부재가 가늘고 치목 수법도 오랜 것이 아니어서 적어도 20세기 초에 들어와 크게 개축된 것으로 짐작된다.


신익희 생가, 2001 ©광주시


현재는 민도리식, 홑처마 팔작지붕의 협문이 있으며 기와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협문으로 들어서면 바깥마당이 있고 바깥채의 대문을 통해 안마당으로 이어진다. 안채 우측 후정에는 우물의 흔적이 남아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1925년 추정

    규모/ 일곽

    / 안채 총 7칸, 바깥채 총 6칸

    재질/ 목재

    주소/ 광주시 초월읍 서하길 6-25

    지정일 / 1992.12.31

    소유자/ 신창현

    관리자/ 신창현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