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퇴계원산대놀이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2호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은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에서 2017년 발행한 경기도 지정 무형문화재 종합 안내서입니다. 이 책은 기능보유자와 예능보유자 66명의 삶을 조망하고 보유 종목에 대한 소개와 다양한 단체에서 제공한 진귀한 사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지씨에서는 이 책에 소개된 경기도의 무형문화재를 시리즈로 소개합니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전문 보기



산대놀이의 뜻


중국을 포함한 한자문화권에서는 왕성 주변의 5백리 땅을 기전(畿甸)이라 하였는데, 사실상 경기(京畿)라는 말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런데 ‘경기’라는 말에는 행정구역의 느낌이 강하고 현재 시점에의 경기도 지역만이 연상되기에, 전통시대 경기도의 땅이었던 인천과 강화도, 4대문 밖 서울지역, 충청도의 일부분, 북한의 개성 등을 통칭할 때에는 적절하지 못할 때가 있다. 이런 까닭에 전라도를 호남, 경상도를 영남으로 부르듯이 지역적 범위를 표현할 때에는 기전이라는 용어가 좀 더 적합한 경우가 많다.


제6과장 애사당 놀이 中 애사당


어쩄든 기전지역은 수도 한양이라는 치아(齒牙)를 떠받치고 있는 잇몸과 같은 땅이므로, 그야말로 근기(近畿)이자 근기(根基)이다. 또 서울로 향하는 사람과 물산이 모여드는 길목이자 집산지이다. 아울러 궁중의 문화가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기전의 문화에는 민중의 문화를 기저로 하면서 고급스럽고 세련된 궁중 문화가 녹아있다. 한마디로 기전문화는 점이적, 절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왕실과 지방을 연결·소통시키는 중간자적, 매개적 역할을 담당했다.


제7과장 팔먹중놀이 연희장면


이런 기전문화와 고유성을 잘 대변해 주고 있는 문화유산이 ‘산대놀이’다. 산처럼 높은 무대, 즉 산대(山臺)를 만들어 그곳에서 놀이판을 펼쳤다고 하여 ‘산대놀이’라 부른다. 이 산대놀이는 경남의 야류(野遊)와 오광대(吳廣大)와는 구별되는 기전지역의 가면극으로 지역성이 뚜렷하다.


또 농약기만으로 연주되는 통영오광대(統營吳廣大)나 동래야류(東萊野遊)와는 달리 전문 연주자가 연희자와 분리되어 앉아 연주하는 차별성도 지니고 있다. 아울러 춤사위는 섬세하고 부드러우면서도 우아한 중부지방 무용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 특히 노래 가락은 남도 민요에 비하면 가락의 굴곡이 유연하면서도 다채롭게 진행되는 경기민요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산대놀이는 기전지역의 문화적 속성을 잘 간직하고 있는 경기도의 문화자산이라 할 수 있다.



퇴계원산대놀이의 유래


퇴계원산대놀이는 1930년대까지 남양주시 퇴계원(당시 양주) 에서 전승되어 내려오던 전통 민속예술 이다. 조선시대 퇴계원은 교통의 중심지로 상업이 발달했던 곳이다. 옛날 한양으로 들어가는 길목인 입지 조건에 따라 도시로 공급되는 숯, 장작, 건축재, 고기, 곡식, 채소, 연초 등 소비재가 이곳에 집하되었다. 당시 100여 호 의 객주와 역원이 왕숙천을 끼고 곳곳에 자리를 잡고 상업이 발달하여 항상 많은 사람들이 붐벼 산대놀이 연희가 성행할 수 있는 여건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산대놀이를 놀게 되면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게 되므로 일제는 이를 꺼려 탈과 의상, 악기 등을 빼앗아 불태우는 등 민족탄압정책을 펼쳤다. 이로 인해 흔적이 사라 져 가던 중 6·25 한국전쟁으로 인해 거의 소멸되다시피 하였다.


1990년대 들어와서 그 뿌리를 찾는 작업이 일어나, 12개 과장의 복원, 탈, 의상 등의 복원을 완료 하여 활발한 전승, 공연활동 을 이어 왔으며 2010년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2호로 지정되었다.



퇴계원산대놀이의 특징


퇴계원산대놀이는 전형적인 도시탈춤 의 특징인 전문연희패의 성격을 가졌다. 대사와 춤을 위주로 내용을 전달하려고 하였으며, 특히 춤선 이 굵고 힘찬 특징을 가지고 있다. 춤사위의 분류는 거드름춤과 깨끼춤으로 크게 나뉘고, 기본춤은 15가지 사위로 구성 되어 있으며, 과장에 들어가면 다시 40여 종류로 세분되어 한국 민속무의 기본을 보여주고 있다.


12과장 전체를 연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연출시간에는 제한이 없으나 보통 5시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제11과장 포도부장놀이 포도부장, 소무


제5과장 침놀이 신주부



제6과장 애사당놀이 中 왜장녀, 말뚝이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2호 퇴계원산대놀이


지정일2010. 8. 2
보존회보존회장 민경조
전수관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게원다목적회관 내
정보

다음카페 퇴계원산대놀이(cafe.daum.net/tarysarang)

문헌『퇴계원산대놀이』(도서출판 월인, 1999)
특기사항서울대학교 박물관에 '퇴계원산대놀이' 나무 탈이 온전히 보전되어 있음


세부정보

  •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발행처/ 경기도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문의/ 031-231-8576(경기학연구센터 담당 김성태)

    발행일/ 2017.12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