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씨 기관 회원 가입 안내
경기도내에 위치한 국공사립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도내의
문화예술 소식과 정보를 발행해주실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은 지지씨 콘텐츠를 직접 올려 도민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사업별 보도자료, 발간도서 등 온라인 게재가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콘텐츠도 가능합니다.
지지씨를 통해 더 많은 도민에게 기관의 사업과 콘텐츠를 홍보하고,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지지씨 기관 회원으로 제휴를 희망하는 기관은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여 메일로 제출바랍니다.
지지씨 기관 회원 혜택
신청서 작성 및 제출안내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지지씨는
기관 회원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시행되며, 이를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서면‧전자우편‧전화‧SMS 등의 방법으로 전체 및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하겠습니다.
‘재단’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① 통합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 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 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 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 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③ 아래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1. ‘재단’이 제공하는 교육/행사에의 참여
2. ‘재단’이 운영하는 공간(공연장, 기타)의 대관 예약
3. ‘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단체관람 예약
4. ‘재단’이 운영하는 뮤지엄숍 상품 구매 시 쿠폰 서비스의 제공
5. ‘재단’에서 실시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제공
6. 뉴스레터, 알림톡 발송 등 회원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재단’의 정보 제공
① ‘재단’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 주체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기존‘재단’홈페이지(ggcf.kr)회원이 지지씨 멤버스로 재가입한 경우, 지지씨 멤버스에서는 본인 인증절차를 통해 기존 활동 이력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지지씨 멤버스는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레터 발송 등 회원의 허용범위 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③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서비스 이용 :‘재단’ 통합 홈페이지 가입 시부터 탈퇴 시까지 보관하되 휴면 고객으로 전환 후 5년 이내에 활동회원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삭제 처리합니다.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 시까지
1)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해당 수사·조사 종료 시까지
2)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 관계 잔존 시에는 해당 채권·채무 관계 정산 시까지
2. 민원사무 처리 : 민원처리 종료 후 3년
3. 온라인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처리일로부터 5년
4. 지지씨 멤버스 쿠폰 발급 및 사용에 관한 기록 : 5년
④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 처리
1. 탈퇴 회원의 개인정보는 즉시 삭제됩니다. 단 아래의 경우 30일간 보유 후 삭제합니다.
1) 가입 혜택 반복 수령 목적의 재가입을 방치해야할 경우
2) 단순 변심으로 정보 복구 희망할 경우
① ‘재단’은 1년 미 활동 회원의 개인정보를 분리 보관합니다. 미 활동 회원은 뮤지엄 방문, 홈페이지 로그인 등의 활동 이력이 전혀 없는 휴면 상태를 뜻하며 휴면 판단 기간은 기본 1년이며 가입 시 선택에 의해 3년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② 분리보관은 주 DataBase에서 분리하여 별도 저장장치에 보관됩니다.
③ 휴면상태의 회원이 홈페이지 로그인 시도 시 휴면회원임을 고지하고 휴대폰 점유인증을 통해 활동 상태로 복구 가능합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정보 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제3자에게 위탁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위탁계약 체결 시 바로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따른 동의 절차 및 제26조에 따른 처리제한 절차를 이행합니다.
① 정보 주체는 ‘재단’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구
2. 오류 등이 있으면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지지씨 멤버스’ 마이 멤버스 메뉴를 이용하시거나, 서면, 대표전화(031-231-7200),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으며 ‘재단’은 이에 대해 바로 조치하겠습니다.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재단’은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 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서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 주체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재단’은 정보 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신분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⑦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 법령을 위반하여 ‘재단’이 처리하고 있는 정보 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재단’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지지씨 멤버스’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항목 : 성명, 아이디(전자우편 주소), 비밀번호, 거주지, 관심 기관
· 선택항목 : SMS 수신, 뉴스레터 수신
2. 민원사무 처리(상담 게시판)
· 필수항목 : 성명, 휴대폰, 전자우편 주소
3. 교육/행사 참여
· 필수항목 : 참가자 이름
· 선택항목 : 성별, 출생 연도, 전화번호
4. 대관 신청
· 필수항목 : 전화번호, 이름
· 선택항목 : 단체명
5. 단체관람 신청
· 필수항목 : 인솔자 이름, 전화번호
· 선택항목 : 주소지, 출생 연도
6.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는 경우)
·IP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①‘재단’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바로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 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 기간이 지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 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 절차
· ‘재단’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 정보책임자의 책임하에 내부방침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안전하게 파기합니다.
· ‘재단’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재단’의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 ‘재단’은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 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 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②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의 PC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 목적: 이용자가 ‘지지씨 멤버스’ 내에서 열람한 콘텐츠 및 서비스 목록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인터넷 옵션> 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3.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재단’은 해킹 등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1. ‘재단’은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경우 백신이 나오는 즉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재단’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보안장치(SSL)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① ‘재단’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 주체의 불만 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성 명 : 이영진
- 직 책 : 경영본부장
- 직 급 : 본부장
- 연 락 처 : 031-231-7203
- 전자우편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 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② 정보주체께서는‘재단’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 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담당 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문의에 대해 바로 답변 및 처리해 드릴 것입니다.
① 정보 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재단’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열람 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 부 서 명 : 통합홍보팀
- 담 당 자 : 황록주
- 연 락 처 : 031-231-7261
- 전자우편 : webmaster@ggcf.or.kr
- 팩 스 : 031-236-0166
② 정보 주체께서는 제1항의 열람 청구 접수·처리부서 이외에, 행정안전부의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를 통하여서도 개인정보 열람 청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실명인증 필요)
① 정보 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기관은 ‘재단’과는 별개의 기관으로서, ‘재단’의 자체적인 개인정보 불만 처리, 피해구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시거나 보다 자세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행정안전부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자료제공
- 홈페이지 : www.privacy.go.kr
- 전 화 : 02-6952-8650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자우편 : privacyclean@kisa.or.kr
- 전 화 : (국번 없이) 118(ARS 내선 2번)
- 주 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 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 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 화 : 1833-6972
- 주 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 관련 형사사건 문의 및 신고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 화 : (국번 없이) 182
- 주 소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19.10.18.부터 적용됩니다.
② 이전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등록/수정 요청
01.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콘텐츠 직접 등록 및 수정이 어려우실 경우, 해당 요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여
지지씨 관리자에게 등록·수정을 요청해주세요.
02. 콘텐츠 등록 및 수정 요청서 양식 첨부하기
상단에서 다운로드하신 해당 요청서 양식 파일을 등록/수정에 맞게 업로드 해 주세요.
* 최대 업로드 가능 용량은 5MB입니다.
한글, 워드 파일 외 압축파일(zip) 가능합니다.
유의사항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순회 기획프로젝트 《2018 공공하는 예술: 환상벨트》 결과 발표전
경기문화재단
발표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경기문화재단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
경기도 순회 기획프로젝트 《2018 공공하는 예술: 환상벨트》
결과 발표전 개최
경기문화재단은 오는 12월 7일부터 12월 29일까지 돈의문 박물관마을에서 《2018 공공하는 예술: 환상벨트》 결과 발표 전시를 개최합니다. “공공하는 예술”은 2015년부터 경기문화재단이 매년 경기도 지역을 순회하며 개최해온 공공예술 프로젝트로, 올해는 성남, 여주, 부천, 파주 총 4개의 도시에서 세미나와 지역연구 및 현장답사의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는 동시대 수도권의 공간지형도를 조망하는 총 23팀의 국내외 예술가들의 도시문화에 대한 사회적 현상과 예술적 실천을 담은 작업으로 구현되었습니다.
한국의 도시형성 과정에서 수도권이라는 특수한 공간의 재편성은 도시생활과 산업, 인구 변화를 반영하며 서울로부터 경기로 확장되어 왔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러한 도시발전사에서 ‘수도 서울을 에워싸고 있는 거대 광역권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공간적 축’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서울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수도권 원형 교통망에 주목해보고 이를 은유적으로 ‘환상벨트(環狀Belt)’라 명명하였습니다. ‘2018 공공하는 예술’ 프로젝트의 제목이기도 한 이 ‘환상벨트’는 서울-경기로 이어지는 메트로폴리스의 중심을 둘러싸는 둥근 ‘환상(環狀)’이면서, 동시에 도시 문화라는 ‘환상(幻像)’을 중의적으로 표현합니다. 다양한 예술가들의 작업은 경기 광역권을 관통하는 순환형 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도로, 수도권 제2순환도로)를 지정학적 벨트로 상정하고 이곳의 안팎에서 작동해온 수도권 공간 재배치에 관한 상상적 묻고 답하기의 과정이 담겨 있습니다.
Drawing Architecture Studio, Old Town of Xinchang, 2016, 나무에 UV 프린트, 120×176cm
《2018 공공하는 예술: 환상벨트》는 서울 중심의 도시 담론에서 벗어나 대도시 형성에 결정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주변 도시들의 문화생태계에 대한 토론의 과정을 거쳐왔습니다. 이 작업의 결과물이 수도권이라는 광역도시의 최중심이 되는 서울에서 전시로 개최되는 것은 하나의 의미있는 종결이면서 동시에 프로젝트가 다루고자 했던 서울-경기 광역도시에 관한 담론을 확산시키는 또 하나의 과정으로 기능하게 될 것입니다.
여주두지, 두지에서 나온 여주사람들 이야기, 2018, 그림책 및 설치, 가변크기
이번 전시를 통해 거대 광역권의 공간지형도와 생활상의 관계를 도시연구·인문학·건축·디자인·예술 분야의 여러 전문가들의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이에 대한 여러 사회적, 예술적 쟁점들을 풀어보는 과정에 참여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 “공공하는 예술”이란? “공공하는 예술”은 2015년부터 경기문화재단이 개최해온 공공예술 프로젝트이다. 2015/2016년 팔당권 두물머리 일대 4개 지역(남양주,양평,광주, 하남)에 활기를 불어넣는 공동체예술 <실신프로젝트 남·양·광·하>, 야외현장설치 <경계와 차이>를 시작으로, 2017년에는 용인 일대를 중심으로 한 <2017 공공하는 예술 아카이브 전시>를 통해 공공예술의 대안적 실천과 확장된 공공의 영역을 모색해 왔다. |
■ 전시 구성
돈의문 박물관마을 12개 건물에서 국내외 23팀이 선보이는 전시는 세 개의 소주제 <수도권 도시지형도>, <벨트 안팎 공동체>, <아시아의 예술 콜렉티브>로 구성됩니다.
OCAC, CO - Temporary, 2018, 혼합매체, 가변크기(2)
제 1부< 수도권 도시지형도: 끝없는 도시, 서브토피아>에서는 경기도 개별 중소도시들의 이면을 예술가의 시선으로 새롭게 해석한다. 부천, 파주, 성남, 화성, 수원, 마석, 양평, 안산, 안성, 용인 등 개별화 된 도시들이 오늘날 거대 광역권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총 17팀의 작가들이 110여점의 드로잉, 회화, 사진, 영상미디어, 조각, 설치, 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광역도시권의 현주소와 사회적 역학관계를 보여줍니다.
무진형제, 태각(胎刻), 2017-2018, 노인분들의 참여를 통하여 제작된 도장, 가변크기
특히, 1985년부터 2017년까지 1년에 1장씩 33년간 서울과 경기도에서 작업실을 수십차례 옮겨가며 드로잉으로 기록한 정정엽 작가의 서사는 우리시대 여성예술가의 고군분투한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또한 접경지역인 파주 어르신들의 태몽이야기를 통해 가족과 고향의 기억을 회상하는 무진형제의 영상작품과 설치작업<태각,2018>은 총 33개의 태몽도장을 관람객이 직접 찍어보고 구술 채록한 도록을 읽으며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이 되도록 준비했습니다. 그밖에 도시 재개발과 자본주의 논리에서 소외된 지역에 관한 비평적 성찰이 담긴 권혜원의 <그림자도시, 2018>, 양평에 거주하며 장소의 지형적 자연환경과 건축의 사회학적 실험을 하고 있는 천대광의 <리얼유토피아_새로운 도시,2018>, 도로위의 교통정체, 길 위의 색, 불법과 합법의 경계에 대한 단상들을 비디오로 재구성한 파트타임스위트의 <차비디오,2012 >, 화성(華城)시를 태양계 네번째 행성인 화성(火星)으로 재해석하여 개발중인 신도시의 삶을 풍자해낸 김지은의 <화성시 이주 프로젝트, 2018> 등의 작품들은 도시풍경의 이면에 숨겨진 사회적 제도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오픈스페이스 블록스, 에코밸리커튼 아카이브 - 숯골 에코밸리커튼, 2018, 솔벤 현수막에 출력, 각 1,000×3,000cm(1)
제 2부 <벨트 안팎 커뮤니티>에서는 도시의 과속 성장과 발전에서 소외된 미시적 장소와 어느새 잊혀져 버릴지 모를 지역공동체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활동해 온 지역 예술 공간을 소개합니다. 총 4회의 지역순회세미나를 통해 새롭게 발견한 공간들로 성남 구도심 태평동에서 주민참여형 공공예술프로젝트와 골목전시공간을 운영하고 있는 <오픈스페이스 블록스>의 사례들, 지역내 무차별한 관광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안산 대부도에서 섬사람의 개발에 대한 환상과 육지인의 욕망을 우회적으로 재현한 <문화공간 섬자리>의 <육지환상>과 지역청년커뮤니티의 퍼포먼스도 발표됩니다. 마지막으로, 여주시 한글시장 길목에 위치한 생활문화전시관<여주두지>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여주의 12개 읍·면·동의 14개 마을 주민의 생애와 관련된 이야기와 물건을 채집하여 여주 고유의 생활풍속과 삶의 문화를 보여줄 예정입니다. 이들 세 공간은 세대간, 지역간 사회적 격차를 가로질러 지역민과 예술가들이 교류와 소통을 시도하는 사례를 약 100여점의 결과물로 개별공간에서 보여줄 예정입니다.
김지은, 화성시 이주 프로젝트 - 분양성, 2018, 디지털 C 프린트, 42×29.7cm
제3부 <아시아의 예술콜렉티브>는 우리나라 사례와 비교할만한 아시아 도시에서 자본의 지배적 논리에 대항하여 대안적 예술활동을 모색하고 있는 세 개의 예술콜렉티브를 소개합니다. 홍콩의 씨엔지아트팟먼트(C&G_Clara&Gum_Artpartment)는 클라라와 검, 두 작가가 2007년부터 운영하는 예술공간으로 홍콩의 지역문화정책이 예술계에 미치는 영향력에 저항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하고자 합니다. 베이징의 드로잉 아키텍쳐 스튜디오(Drawing Architecture Studio)는 건축가 리한과 디자이너 후얀이 설립하였으며, 2018 베니스 국제 건축비엔날레 테마전시관에 출품했던 <타오바오 마을, 작은도시>를 이번전시에 소개하여 중국의 광대한 도시유토피아계획과 시골마을의 건축디자인을 교묘하게 배합한 드로잉을 통해 현대도시문화의 한 단면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대만과 태국의 미술전문가들을 네트워킹해온 ThaiTai 프로젝트를 통해 학제간 큐레이팅의 방법론을 다양하게 모색하고 있는 대만 현대미술가들이 운영하는 OCAC(Open contemporay art center)는 동남아시아 작가들간 교류를 통해 축적한 다양한 경험들을 작품으로 소개한다.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교류해온 아시아 예술가들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글로벌×로컬의 화두를 유기적으로 매개하고, 향후에 도래할 동아시아 광역권의 예술 지형도를 가늠하고자 합니다.
<ggc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2018 공공하는 예술 : 환상벨트(Ring Ring Belt)》
전시 기간/ 2018.12. 7(금) ~ 12. 29(토)
전시장소/ 돈의문 박물관마을
예술감독/ 심소미
참여작가/
권혜원, 김남훈, 김승구, 김지은, 김태헌, 라이스부르잉시스터즈클럽, 무진형제, 믹스라이스, 안성석, 업셋프레스, 이해민선, 장석준, 정정엽, 줄리앙 코와네, 천대광, 파트타임스위트, 홍철기, 문화공간섬자리, 여주두지, 오픈스페이스 블록스, C&G Artpartment(홍콩), Drawing Architecture Studio(베이징), OCAC(타이베이) 이상 23팀
주최/ 경기문화재단, 서울시 도시공단개선단
주관/ 경기문화재단, 돈의문 박물관마을 기획운영위원회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경기도, 서울시
① 오프닝/ 2018년 12월 12일(수) 오후 4시
② 국제포럼/ 2018년 12월 7일(금) 오후 5시
/ -아시아의 도시변화와 예술실천사례(홍콩, 베이징, 대만)
③ 전시연계강연(2회)/
-2018년 12월 21일(금) 오후 5시(물류자본주의 이후의 도시 : 서동진_문화비평가)
-2018년 12월 29일(토) 오후 5시(경기도모습 : 정지돈_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