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국립현대미술관, <재난과 치유> 개최

2021-05-22 ~ 2021-08-01 /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재난과 치유> 개최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코로나19로 인한 전 지구적인 재난 상황을 동시대 예술가들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전시 <재난과 치유>를 8월 1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연다.

<재난과 치유>는 전 지구적인 팬데믹(pandemic, 감염병 세계적 유행)이 개인과 사회에 미친 영향을 동시대 예술가들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재난의 그늘 가운데서도 예술을 통해 삶의 의미를 성찰하며 서로를 위로하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치유와 회복의 계기를 삼고자 마련되었다.

전시에 참여하는 국내‧외 작가 35명은 이번 전시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멈춰버린 일상에서 감염병 발생과 확산을 둘러싼 징후와 현상을 각기 다른 관점에서 고찰하며 팬데믹 속 사회적·개인적 현상을 기록하고 재해석한다. <재난과 치유>는 ‘감염의 징후와 증상’, ‘집콕, 홀로 같이 살기’, ‘숫자와 거리’, ‘여기의 밖, 그 곳의 안’, ‘유보된 일상, 막간에서 사유하기’ 등 다섯 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프란시스 알리스, 리암 길릭, 서도호, 이배, 오원배, 써니킴, 최태윤 등은 코로나19를 주제로 한 신작을 선보이며 에이샤-리사 아틸라, 노은님, 아니카 이, 질리언 웨어링, 미야지마 타츠오, 이영주, 칸디다 회퍼 등이 참여한다. 한편 전시장 안팎에서는 재난의 상황에서 미술관의 역할 변화와 대안적인 전시 방향을 모색하는‘위성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위성프로젝트에서는 장소 기반 오디오 가이드와 집으로 가지고 갈 수 있는 향, 관객 참여형 촉각적 관람도구, 온라인 스트리밍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험적인 작업이 펼쳐질 예정이다.

전 지구적 재난을 다양한 관점에서 다룬 동시대 작가 35명 작품 60여 점 1부 ‘감염의 징후와 증상’에서는 신디케이트(사진가 그룹), 요제프 보이스, 아니카 이, 전인경, 이진주, 오원배, 박영균, 성능경, 김지아나가 근대 이후 신종 감염병 출현하게 된 징후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발생하는 사회적·개인적 현상을 기록하고 재해석한 작업을 선보인다. 역사적으로 감염병 대유행은 정치, 경제, 산업을 포함하여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감염병은 산업화와 근대화를 거치면서 점차 짧은 주기로 발현되었으며 오늘날 인류는 문명의 질주라는 결과가 팬데믹이라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음을 깨닫는다.

2부 ‘집콕, 홀로 같이 살기’에서는 안드레아 지텔, 써니 킴, 리우 와, 홍진훤, 무진형제, 차재민, 프란시스 알리스가 참여한다. ‘집콕’은 팬데믹 시대를 대변하는 용어가 되었다. 전염병을 피하기 위해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자발적 격리는 사람들 간의 물리적 거리를 만들어냈다. 다른 한편으로는 온라인을 통해 모두가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간의 직간접적 연결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된다.

3부 ‘숫자와 거리’에서는 리암 길릭, 미야지마 타츠오, 이지원(아키타입), 최태윤, 김범이 참여하여 팬데믹 시대에 숫자가 함의하는 중요한 정보와 징후를 다룬다. ‘일일확진자, 격리해제, 사망자, 국내현황, 세계현황, 거리두기단계’와 같이 감염병의 진행상황을 지시하는 숫자와 정보들은 그날의 상태를 보여주는 바로미터가 되었다.

4부 ‘여기의 밖, 그 곳의 안’에서는 질리언 웨어링, 서도호, 이혜인, 칸디다 회퍼, 토마스 스트루스, 서승모가 참여하여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경계와 의미, 역할 변화를 보여준다. 코로나19는 세계를 멈추게 했다. 1년이 훌쩍 넘었으나 도시, 공항, 공원, 광장, 미술관도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비대면의 삶은 물리적‧시간적 공간의 경계와 간극을 흐리게 하고 일상의 공간을 다르게 사유하게 한다.

5부 ‘유보된 일상, 막간에서 사유하기’에서는 노은님, 허윤희, 조나단 호로비츠, 봉준호, 이영주, 염지혜, 에이샤-리사 아틸라, 이배가 참여하며 삶에 대한 성찰과 인류와 지구를 위해 필요한 시대정신이 무엇인지 고민한다. 코로나19는 우리를 일상이 멈춰버린 오랜 막간에 머물게 한다. 이 유보된 일상에서 우리는 인간 이외의 삶이 공존하는 이 지구에 긴 시간동안 가해온 행위를 되돌아보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미술관의 대안적 역할을 모색하는 위성프로젝트 순차적 진행 마지막으로 재난의 상황에서 미술관의 역할 변화와 대안적인 전시 방식을 모색하는 위성프로젝트에서는 재난 시기 현대미술의 가치와 생산 조건이 무엇인지 젊은 기획자 3인의 프로젝트를 통해 살펴본다. 2020년 미술관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유례없는 휴관을 거듭했다. 위성프로젝트는 미술관의 일반적 기능과 작동이 멈춘 상황에서, 전시를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설계하고 관람 방식의 관습과 고정관념, 물리적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한다. 남선우가 기획한 <고쳐 쓰는 관습들>은 전시장 읽기(혹은 듣기) 오디오가이드와 전시공간으로부터 집으로 가지고 갈 수 있는 향, 촉각적 전시 관람 도구를 이용하여 당연하게 여겨지던 미술관 관람의 관습들에 도전한다. 권태현은 온라인 스트리밍 영상 프로젝트 <영구소장>을 통해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인류 문명의 상징적 기관인 미술관의 기능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김신재 기획의 <반향하는 동사들>은 재난이 만들어낸 불편함이 무너뜨린 장애와 비장애, 정상과 비정상성의 경계를 예리하게 파고드는 영상과 사운드 작업들을 선보인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난국 속에 예술로 사회적 소통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우리 삶의 변화와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지금의 시대를 담아낸 다양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위로와 희망을 찾아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재난과 치유> Catastrophe and Recovery
전시기간 : 2021. 5. 22(토) - 8. 1(일)
전시장소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5, 6 전시실, 공용공간 (1층 로비, 미술관마당 등)
참여작가 : 김범, 김지아나, 노은님, 리암 길릭, 리우 와, 무진형제, 미야지마 타츠오, 박영균, 봉준호, 서도호, 서승모, 성능경, 신디케이트, 아니카 이, 안드레아 지텔, 염지혜, 오원배, 요제프 보이스, 이배, 이영주, 이지원(아키타입), 이진주, 이혜인, 에이샤- 리사 아틸라, 전인경, 조나단 호로비츠, 질리언 웨어링, 차재민, 최태윤, 칸디다 회 퍼, 토마스 스투르스, 프란시스 알리스, 허윤희, 홍진원, 써니 킴 총 35명
작 품 : 회화, 조각, 드로잉, 설치, 사진, 영상 등 60여 점
주 최 : 국립현대미술관
후 원 : 한솔제지

2. 주요 출품작 소개

작가명 : 요제프 보이스(Joseph Beuys)

작품명 : <곤경의 일부 (Plight Element)>, 1985, 펠트 및 혼합재료, 147 x 330 x 41cm. 삼성미술관 Leeum 소장. ⓒ Joseph Beuys / BILD-KUNST, Bonn - SACK, Seoul, 2021.

작품소개 :
재난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현대미술가 요제프 보이스(Joseph Beuys)의 <곤경의 일부>(1985)는 죽음의 위기에 처했던 자신을 구했던 타타르 유목민이 사용했던 펠트를 이용한 작업으로 인간 생명에 대한 보호와 조난으로부터의 회복을 상징한다.




작가명 : 이진주

작품명 : <금지된 걸음(Prohibited Steps)>, 라마섬, 홍콩, 2020,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분 22초. 작가 소장

작가소개 :

이진주는 작품 <사각 死角>을 통해 작가의 기억과 주변 이미지의 편린들을 낯설게 조합하여 팬데믹의 시대에 우리를 둘러싼 사회와 더 나아가 삶과 죽음을 초현실적 풍경을 통해 대면하게 한다. 섬세하고 집요한 동양화기법 붓질로 채운 대형 회화 <사각 死角>은 팬데믹 시대를 은유한다. 핏물이 채워진 수영장에 수액을 짜는 나무들이 서 있고, 그 위 빨랫줄에 흰 광목천들이 널려 있다. 마스크를 끼고 앉은 소년, 흰 천을 뒤집어쓴 사람들이 고통스러워 보인다.” 작가는 "한 치 앞을 제대로 내다볼 수 없는 코로나 시대가 지속되고 있다. 주제 사라마구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를 읽은 후 최악에 처한 인간 상황을 이불을 뒤집어 쓴 답답한 상황으로 표현했다"고 말한다.



작가명 : 미야지마 타츠오((Miyajima Tatuso)

작품명 : <카운터 갭(Counter Gap)>, 1989/2019, 발광다이오드, 집적회로, 전선, 철 프레임, 597.6 x 11 x 7.3 cm. ⓒ 작가 및 갤러리 바톤 제공

작품소개 : 

미야지마 타츠오(Miyajima Tatuso)의 숫자는 보다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개념 아래 존재한다. <카운터 갭 (Counter Gap)>은 팬데믹이 만들어낸 격리와 거리두기가 오히려 우리 모두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고를 일깨우듯이 숫자가 점차 나타나고 사라지는 모습은 삶과 죽음이 순환하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모든 생명은 연결되었다’는 작가의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다.


작가명 : 서도호

작품명 : , 2021, 폴리에스터 실, 수지,

작품소개 : 

서도호는 작업을 지속하는데 있어 우리를 둘러싼 물리적, 건축적 공간과 그곳을 관통하는 신체적 움직임의 감각을 사유한다고 말한다. 팬데믹의 상황에서 우리에게 물리적 ‘접촉’은 굉장한 복잡성을 띠게 되었다. 특히 집이라는 사적인 공간뿐 아니라 공적인 공간에서 건축물 내부구조의 연결과 단절, 그리고 공간적 변환을 위한 기능을 지닌 손잡이, 스위치, 소켓 등의 일상의 오브제들을 만지는 것은 지극히 일상적인 행위임에도 거기서 오는 강박과 두려움은 극대화 되었다. 건축적 모델링 프로그램의 스크립팅 언어를 이용해 제작된 작가의 신작인 은 이러한 복합적인 상황이 반영되었다. 작품의 제작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개미의 움직임이나 건축물 내부에 지어진 거미집의 형상을 참조하며 디지털 모형의 윤곽선을 만들어 내도록 지시되었다. 이렇게 완성된 작업은 시각적으로 마치 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의 흐름 혹은, 바이러스가 발현하는 형태를 연상시키면서 팬데믹 시대의 심리상태와 결합된다.


작가명 : 에이샤-리사 아틸라(Eija-Liisa Ahtila)

작품명 : <사랑의 잠재력(POTENTIALITY FOR LOVE)>, 2018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무빙이미지 조각: #1 - 22개 DIP LED 모듈로 이루어진 각진 형태의 비디오 조각 (4K/HD; 7분 54초 반복; 조각 크기 614 x 384 x 15 cm) #2 - '모니터 거울'이 부착된 두 개의 연구 테이블 (4K/HD; 2분 8초, 3분 6초 반복, 크기 100 x 72 x 54 cm) #3 - 세로 형태의 단채널 프로젝션 (4K/HD; 2분 35초 반복; 프로젝션 크기 약 400 x 225cm) ⓒ 사랑의 잠재력, 에이샤-리사 아틸라. 사진 ©2018 크리스탈 아이, 헬싱키. 매리언 굿맨 갤러리 뉴욕/파리/런던 제공. 사진: 말라 후카넨.

작품소개:

에이샤-리사 아틸라(Eija-Liisa Ahtila)는 무빙 이미지와 다채널 설치를 기반으로 젠더, 성, 식민주의와 폭력 그리고 최근에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주제로 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사랑의 잠재력>은 거대한 크기의 LED구조물을 포함한 무빙 이미지와 조각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작품이다. 세 개의 섹션이 각기 다른 관점과 접근방식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인간 이외의 생물들에 대한 애정과 공감의 잠재력을 다룬다. 이것은 다양한 감정들이 살아있는 인간 이외의 생물과 인간 간의 위계구조를 해체함으로써 생명 종(生命種)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이끌어 낼 수 있게 한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