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초기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쓴 거장들을 한 자리에 국립현대미술관,《움직임을 만드는 움직임》전 개최

2021-04-23 ~ 2021-09-26 / 1930-40년대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을 선도한 거장 5인

◇ 1930-40년대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을 선도한 거장 5인

◇ 실루엣 애니메이션, 스톱 모션 등 환상의 세계 창조 과정 조명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움직임을 만드는 움직임》전을 4월 23일(금)부터 9월 26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움직임을 만드는 움직임》은 20세기 초반 애니메이션 고전 작품과 제작기법을 함께 살펴보며 오늘날 중요한 영상예술로 자리잡은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맥락을 조명하는 전시다. 애니메이션(animation)은 여러 장의 화면을 연속으로 촬영, 조작하여 화면 속 대상이 움직이는 것처럼 생동감 있게 촬영한 영화와 그 기술을 지칭한다. 영화만큼이나 오래된 영상 장르인 애니메이션은 100년이 넘는 역사 동안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시도되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1920-40년대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을 선도한 작가 5인의 대표 영화작품과 그들의 제작기법을 소개한다.




노먼 매클래런, <블링키티 블랭크>, 1955, 컬러, 유성, 5분. 캐나다국립영화위원회 제공 Norman McLaren, Blinkity Blank, 1955 color, sound, 5 min.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렌 라이, <컬러 박스>, 1935, 35mm, 컬러, 유성, 4분 Len Lye, A Colour Box, 1935, 35mm, colour (Dufayolor), sound, 4 min. Courtesy of the Len Lye Foundation and the British Postal Museum and Archive. Digital version from 35mm Eastmancolor restoration by the BFI National Archive and made available by Ngā Taonga Sound & Vision.



로테 라이니거, <신데렐라>, 1933, 컬러, 무성, 4분 19초. ©absolut Medien GmbH. Lotte Reiniger Cinderella, 1933, b/w, silent, 4min. 19sec. ©absolut Medien GmbH.



오스카 피싱거, <연구 5번>, 1930, 컬러, 유성. 시각적 음악센터 제공 Oskar Fischinger, Studie nr 5, 1930, b/w, sound (restored by CVM) ©Center for Visual Music




독일 출신의 로테 라이니거(Lotte Reiniger, 1899-1981) 오스카 피싱거(Oskar Fischinger, 1900-1967), 뉴질랜드 출신의 렌 라이(Len Lye, 1901-1980), 체코 출신의 카렐 제만(Karel Zeman, 1910-1989), 스코틀랜드 출신의 노먼 매클래런(Norman McLaren, 1914-1987)은 세계대전의 격동기 속에서도 보다 실감나는 움직임을 만들어내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작품제작을 지속했다. 컴퓨터 그래픽이 없던 시절 제한적인 도구와 재료, 수작업만으로 환상의 세계를 표현한 그들의 작품은 애니메이션 역사의 전환을 이룬 고전으로 남아 후대의 창작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수천 장의 종이 인형을 만들고 그 그림자를 촬영하는 ‘실루엣(silhouette) 애니메이션’의 대가 로테 라이니거의 〈신데렐라〉(1922)와 <카르멘>(Carmen, 1933), 점‧ 선‧면 같은 최소한의 조형 요소로 음악을 시각화하여 초기 미디어아트의 형식을 보여준 오스카 피싱거의 <밀납 실험>(Wax Experiments, 1921-26)과 <푸른 색의 작곡>(Composition in Blue, 1935), 필름 표면에 직접 선을 긋고 색을 칠하는 ‘다이렉트 온 필름(direct on film) 애니메이션’기법을 개척한 렌 라이의 <투살라바>(Tusalava, 1929), <컬러 박스>(A Colour Box, 1935)와 노먼 매클래런의 <블링키티 블랭크>(Blinkity Blank, 1955), 매 컷마다 인형을 조금씩 움직여 촬영하는 ‘스톱모션(stop motion)’ 애니메이션의 대가 카렐 제만의 <크리스마스의 꿈>(1945)과 유리인형 애니메이션 <영감>(1949) 등의 고전 애니메이션 작품 24편을 선보인다.



<피들 디 디(Fiddle De Dee)>를 제작 중인 노먼 매클래런. 캐나다국립영상위원회 제공.


로테 라이니거와 트릭 카메라(trick camera)


렌 라이. ©Govett-Brewster Art Gallery and Len Lye Centre




1942년 경 헐리우드 선셋대로 스튜디오에서 작업 중인 오스카 피싱거. 시각적 음악센터 제공



<선사시대 탐험>의 홍학을 제작 중인 카렐 제만과(좌) 영화 속 장면



이번 전시에서는 영화와 함께 작가들이 고안해낸 혁신적인 기법을 살펴볼 수 있도록 기술 노트, 제작도구, 드로잉, 작가 다큐멘터리 영상 및 사진 등의 자료도 함께 선보인다. 이를 위해 체코 국립영상자료원(NFA), 프라하의 카렐 제만 미술관(Karel Zeman Museum), 주한독일문화원, 캐나다국립영화위원회(NFB), 뉴질랜드의 고벳-브루스터 아트 갤러리 렌 라이 센터(Govett-Brewster Art Gallery and Len Lye Centre),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시각적 음악센터(Center for Visual Music) 등 작가들의 자료를 연구‧소장 중인 세계적인 기관들과 협력을 진행했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움직임을 만드는 움직임》전은 발명가처럼 표현기법을 찾아나간 애니메이션 선구자들과 그들이 일군 눈부신 기술적 예술적 성과를 엿볼 수 있는 드문 기회”라며, “온 가족이 함께 즐기며 자연스럽게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교육적 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