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홍학사 비각 洪學士 碑閣

경기도문화재자료 제5호




<홍학사 비각>은 조선중기 학자인 화포 홍익한花浦洪翼漢(1586~ 1637)의 비를 보호하는 비각이다. 홍익한은 병자호란(1636~1637) 때 최명길崔鳴吉(1586~1647)이 청과 화의를 맺고 항복하자는 것을 거부하다 중국 선양瀋陽으로 끌려가 함께 처형당한 윤집尹集(1606~ 1637), 오달제吳達濟(1609~1637)와 같은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이다. 비각은 1964년 평택시 팽성읍 본정리 삼거리 부근에 건립되었으나, 1982년 현재 홍익한 묘소 앞으로 이전하였다. 홍학사 비각은 ‘의를 기리고 칭찬 한다’는 뜻의 ‘포의각褒義閣’으로도 불린다.


홍학사 비각 정면,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비각은 현재 정면 2칸, 측면 1칸의 규모를 가진 이익공二翼工 형식의 건물로 겹처마의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비각 사방은 벽체가 없는 홍살로만 되어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포의각’이라는 현판이 비각 전면 좌측에 걸려있다. 비각은 장대석 기단 위에 사각 주춧돌을 놓고 원기둥을 세웠으며, 지붕 가구는 삼량三樑 구조이다.


홍학사 비각 측면, 후면,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비각 내부에는 석비石碑 4기가 있는데 홍익한의 신도비神道碑와 묘비墓碑, 아들 수원晬元의 효자비孝子碑와 어머니 한산이씨韓山李氏의 열녀비烈女碑이다. 또한 비각 내부의 상부에는 1964년의 비각을 세울 당시의 일들을 기록한 현판이 걸려 있다. 비각 뒤에는 홍익한 묘소 1기와 문인석 2기, 묘비 2기, 석상石床 1개소가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1964년 건립, 1982년 이전

    규모/ 1동 2×1칸

    재질/ 목재

    주소/ 평택시 팽성읍 본정리 322-1 외

    지정일/ 1983.09.19

    소유자/ 향교재단

    관리자/ 향교재단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