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남한산성 옛길 3차 시민 참여 도보행사

성남.하남 위례동 주민센터~위례 성복교회~남한산성 남문

<남한산성 옛길-남문노선>



남한산성 옛길 3차 시민 참여 도보행사


남한산성

남한산성은 사적 제 57호로 수도를 수호했던 산성이었습니다. 현재 남한산성 내부에는 다양한 방어시설과 군사 훈련 시설이 남아있습니다. 남한산성 인근에는 백제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들이 분포하여, 백제 온조왕 시절에 처음 축조된 산성으로 추정됩니다. 이후 1621년(광해군 13년)부터 1624년(인조 2년)까지의 개축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남한산성은 병자혼란 당시 청나라에 항쟁한 곳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외에도 한말 의병들이 일제에 대항했던 항일유적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야기를 간직한 남한산성은 지난 2014년,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 남문노선(난이도:중상)




남한산성 남문 길은 위례신도시 위례성복교회에서 출발하여 남한산성 남문(지화문)까지 이르는 길입니다. 남문 길 초입에서 바위에 글귀를 새겨놓은 금석문을 만날 수 있습니다.




남한산성의 서문과 남문 쪽에 위치한 창말(창곡동:현 위례신도시)과 하남시의 상사창동 터는 매우 재미있는 곳입니다. 창말은 창고가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로 지역주민들이 대대로 불러오던 이름입니다. 긴 시간 방어전을 해야하는 산성에서는 항상 보급이 필요했기 떄문에 주변에 배후지를 지니고 있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창말은 바로 남한산성의 배후지였고, 산성과 관련된 군사적 특징을 오랜 시간 가지게 된 요인이 됩니다. 남한산성 옛길이 지나갔던 곳의 재미있는 지명들을 살펴보면, 창말 안에는 구체적으로 창고가 있던 터라는 의미의  '창터'라는 지명이 남아있었습니다. 진터벌은 병자호란 당시에 청나라 군대가 해당 지역에 진을 쳤던 장소라고 합니다. 창말에는 마을의 중심에서 송파와 학암리 지역으로 연결되는 길이 있는데 이 길을 지역 주민들은 술래길이라고 부릅니다. 술래는 한자어 순라를 고유어로 착각하여 오랜 기간 발음하다가 변화하여 굳어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남한산성 행궁에서 듣는 가야금 선율에 취할 수 있는 시간은 쉽게 가질 수 없는 기회죠~!!^^



남한산성 옛길 문의전화/031-231-8548

사진 출처/경기학연구센터

글 출처/남한산성 옛길 이야기책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역사문화유산원
자기소개
경기도 문화유산의 가치 발견,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누리집
https://gjicp.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