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문화재단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경기도」 그 경계와 확장

2019-04-12 ~ 2019-04-12 / 토론문

이 글은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된

「코리안 디아스포라 국제 학술 컨퍼런스」 자료집에서 발췌되었습니다.

김성하(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경기도 – 나라 밖 문화협력과 귀환 동포 활용”를 통하여 주목할 점은 3가지인 것 같다.

첫째, 중국 심양 조선족사회와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사회의 민간단체, 즉 중국 심양 한중교류문화원과 러시아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와 경기문화재단의 문화협력 사업 추진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경기도 내 귀환동포사회가 지역사회와 교류 협력을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민간단체를 소개하고 있다. 안산은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수가 가장 많은 곳으로 중국 심양 출신의 회장을 중심으로 안산 귀환동포연합회가 안산 원곡동을 글로벌 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시흥 정왕동에는 한중동포연합회 중심으로 중국동포타운을 형성하여 한국사회와 중국동포사회의 교류에 힘쓰고 있다. 수원의 경우 수원중국동포협회를 중심으로 중국동포사회와 한국 지역사회의 우호적 교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다문화도시로 알려져 있는 안산의 경우, 고려인 지원단체인 (사)너머를 중심으로 안산시의 지원과 함께 고려인문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그 외 고려인지원센터, 노아네러시아학원 등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셋째, 해외한민족사회와 다양한 문화교류사업을 시행해 온 경기문화재단이 중국 심양, 러시아 우수리시크, 안산, 시흥, 수원 등을 기반으로 그 동안 축적된 방대한 문화교류협력의 노력과 성과를 디지털콘텐츠화 하기 위한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경기도 위키백과」 구축을 제안하면서 경기도 문화영토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당신의 지나 간 역사가 아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우리 자신 개개인, 즉 ‘우리’의 역사이며 ‘우리’의 현재이며 ‘우리’의 미래이다.

역사는 잊어버릴 수는 있지만 잃어버릴 수는 없다. 만주로의 이주, 중앙아시아로의 강제이주 등에 자리 잡고 있는 그동안 잊어버린, 그러나 잃어버릴 수 없는 역사는 바로 일본에 의한 식민 지배였다. 1945년 해방을 맞고 독립된 국가로 국제사회에 당당히 뿌리를 내리고 있는 한국은 아직 미완의 해방과 독립국가일 것이다. 남과 북의 분단 현실은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함께 우리에게 본연의 해방과 독립 국가를 만들라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21세기 우리는 세계화 globalization도 지역화 localization도 아닌 “지역-세계화 혹은 세계-지역화 glocalization”의 시대를 맞고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해외동포사회와 문화교류 혹은 경제활성화를 위한 기업인들의 네트워크에 그쳐서는 안된다.

잊어버린 역사를 다시 기억하고 잃어버릴 수 없는 역사를 복원하여 미래발전의 주춧돌로 삼아야 한다. 그래서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이산’에서 ‘네트워크’로의 경계를 넘어 ‘플랫폼’으로 확장되어야 하는 것이다.


플랫폼의 주인공은 바로 ‘사람’이다. 사람을 위한 사람에 의한 그리고 사람의 투자가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단기적 성과 혹은 일시적 주목을 받는 행사 즉 이벤트성 정책은 신중하게 검토 수행해야 한다. 장기적 관점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경기도 플랫폼”의 철학이 필요하다. 그리고 해외동포 사회와 한국사회의 경계는 긍정적으로 재설정 되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한민족공동체의 철학도 필요하다. ‘나’는 누구인가, ‘당신’은 누구인가, 그리고 ‘우리’는 누구인가에 대한 역사적 반문과 현실의 만남을 통하여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경기도 플랫폼”은 단시간에 쌓아올릴 수 있는 탑이 아니다.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욕심내서는 안 된다. 지속적인 발전을 담보해주는 토대마련을 위해 시간과 노력과 예산을 체계적이며 효율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검토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언급하고자 한다.

먼저, 경기도가 “코리안 디아스포라 플랫폼”을 마련할 만한 준비가 되어있는가이다. 아직 충분하지 않다면 무엇이 부족한지를 면밀히 검토하고 플랫폼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과 오프라인 플랫폼을 어떻게 구성할 것이며 운영할 것인지, 즉 구성 및 운영의 주체, 방식 등을 준비과정에서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물론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경기도 위키백과」는 이 모든 과정의 하나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코리안 디아스포라 경기도 플랫폼”은 중국 동북부, 러시아 연해주로부터 시작하여 중앙아시아, 유럽,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전 세계 각지에 있는 코리안의 플랫폼으로 확장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류 혹은 기업인들만을 위한 플랫폼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역사, 철학, 예술, 경제, 4차 산업혁명 등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사람들이 각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열려있어야 한다. 유아, 청년, 여성, 장애인, 중장년, 실버세대 등 세대별 계층별 다양한 요구를 어떻게 플랫폼에 녹여 낼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코리안 디아스포라 경기도 플랫폼”은 ‘백년지대계’이다. 5년, 10년을 바라보고 마련되어서는 안 된다. 최소한 백년을 바라보면서 무엇을, 왜, 어떻게, 누가 준비하고 참여하고 만들어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당신의 지나 간 역사가 아닌 우리의 잊어버린 역사를 다시 기억하고 우리의 미래를 설계하고 만들어가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경기도 플랫폼을 기대한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