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그 많던 경기도의 고문서는 다 어디로 갔을까?

경기학광장Vol.1 _ Column & study

< 그 많던 경기도의 고문서는 다 어디로 갔을까? >


- 경기학광장Vol.1 _ Column & study -



경기학광장은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가 발간하는 계간지입니다. 경기도와 31개 시군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있는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고자 합니다. 전문학자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가진 누구라도 즐길 수 있도록 문을 활짝 열어두겠습니다. 경기학광장의 더 많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경기도사이버도서관에서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문서는 지금으로부터 먼 과거에 작성된 문서가 현재까지 전해져 오늘날 우리가 과거 어느 시점의 역사적 맥락을 추정할 수 있게 해주는 퍼즐조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 시대와 대한제국기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지도 백 년 이상 흘렀고, 그러는 사이 경기도 내의 각 관청과 민가에 보관되어 왔던 문서들도 대부분 자취를 감추었다. 이번 호부터 시작하는 <경기도 고문서 산책>에서는 다행히 지금까지 그 모습을 잘 보존한 경기도의 고문서에 관한 이야기를 한 꾸러미씩 풀어보고자 한다.


경기(京畿)라는 말은 원래 서울을 뜻하는 경(京)과 그 주위를 둘러싼 일정 지역인 기(畿)가 합쳐진 것이다. 우리 역사에서 서울로 지칭됐던 곳은 어느 특정한 한 곳만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바뀌어 왔다. 신라의 서울 하면 경주를 떠올리고, 고려의 서울은 개성을 떠올린다. 오늘날 우리가 인식하는 수도 서울과 경기도의 지리적 이미지는 조선시대 이래에 형성된 것이다. 조선 개국 후 새 왕조의 수도로 한양(漢陽)이 정해졌고, 한양에 한성부(漢城府)가 설치되면서 그 주위를 둘러싼 고을들이 경기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물론 조선시대 경기도에는 지금 북한 지역의 일부와 강원도, 충청도, 인천 광역시의 일부가 포함되었지만, 대체로 오늘날 우리가 인식하는 경기도의 범주와 비슷하다.


조선은 전국을 크게 여덟 개 도(道)로 나누고 그 아래에 목(牧), 부(府), 군(郡), 현(縣) 등의 지방 체제를 확립했다. 그리고 해당 지방에 왕명을 받들어 제반 업무를 관장할 수령들을 빠짐없이 부임시켰다. 우리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다. 각 도에서 일어나는 업무는 관찰사(觀察使)가 관할했고, 그 아래에 규모에 따라 목사(牧使), 부사(府使), 군수(郡守), 현감(縣監), 현령(縣令) 등이 고을 사또(使道)로서 임무를 수행했다. 그렇지만 조선시대에도 도나 각 고을의 실무는 감영과 관아에서 근무한 수많은 실무자들의 문서 행정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조선은 엄격한 문서 행정의 나라였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니었다. 백성들이 고을 사또께 민원을 제기할 때도 문서를 작성해서 제출했고, 관아끼리의 업무 협조도 지금과 다를 바 없이 공문을 주고받으면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쉽게도 조선시대 관아에서 작성되고, 또 각 관아의 문서고에 차곡차곡 보관되어왔던 고문서의 실체는 머릿속으로 상상만 할 뿐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는 없다. 조선시대에도 이미 몇 차례 큰 전란을 겪었고, 대한제국·일제강점기·해방 등의 격변기를 거치면서 조선시대 관아의 기록물 대부분이 폐기되거나 유실되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지금까지 원형 그대로 전래된 고문서가 경기도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재 시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경기도 고문서의 모습을 하나씩 살펴보자.



『동여도』의 한성부 돈의문 밖 경기감영(기영圻營) 표기 부분


경기감영의 고문서


감영(監營)은 관찰사가 집무한 공간을 비롯하여 조선시대 도정이 집행된 관청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경기감영은 시기에 따라 수원·광주·한성부 등에 건물을 두었다. 이 가운데 구체적인 모습을 미루어 볼 수 있는 것은 한성부 서부(西部) 반송방(盤松坊) 곧 돈의문(서대문) 밖에 접해 있었던 경기감영이다. 현재 지하철 서대문역 인근 서울적십자병원 일대에 경기감영이 자리하고 있었다.


『경기감영각방중기』(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1843년 경기감영의 각 부서에서 관리하고 있었던 주요 문서와 재물 등의 현황을 정리해 놓은 대장


경기감영 내에는 관찰사를 비롯한 감영 소속 관원들이 업무를 보던 선화당(宣化堂), 관풍각(觀風閣), 도사청(都事廳), 영리청(營吏廳) 등이 있었고, 감영에서 관리하던 각종 문서나 대장 등을 보관한 창고도 별도로 있었다. 여기서 관심이 가는 부분은 바로 감영의 실무를 담당한 영리(營吏, 감영 소속 서리)들의 공간인 영리청과 문서를 보관하던 문서고이다. 1843년(헌종 9)에 작성된 『경기감영각방중기(京畿監營各房重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K2-3629)를 보면, 당시 경기감영에는 육방(六房) 별로 업무를 분장하여 각 고을의 호적(戶籍)을 비롯하여 역대 관찰사 재임시기별로 구분된 각종 대장 등이 관리되고 있었던 정황을 엿볼 수 있다. 이 외에도 경기감영에는 당시 중앙의 각 관청 및 경기도 예하의 각 고을과 일상적으로 주고받던 각종 공문서들도 보관되어 있었을 것이다.


지금 경기감영의 문서고에 있었던 문서들의 실체를 명확히 헤아려 볼 수는 없지만,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에 경기감영 관련 대장들이 일부 남아 있고, 경기감영에서 특정 관원이나 개인에게 발급 한 원본 문서의 일부도 민간에 전래된 경우가 있어 조선시대 경기 감영에서 생산한 문서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문서의 생산·관리 방식이나 보존 방식은 지금과 달랐지만, 오늘날 관공서에서 이루 어지는 문서 행정이 조선시대 감영에서도 다를 바 없이 이루어졌던 것을 생각하면 수많은 세월을 통해 켜켜이 쌓인 당시 경기도정의 실제 흔적들이 어떠했을지 상상해 볼 수 있다.


2018년 경기도박물관 경기천년 기념 특별전 <푸른 산속 의리주인, 심환지> 전시 사진


민가에 전래된 경기도 고문서


최근 전국적으로 각 지역 내에 소장된 고문서를 찾아내 지금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보존하고 나아가 지역의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서 타 지역에 비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지역들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를 이어 오랫동안 종가나 집안을 유지해 온 경우가 많고 전래된 고문서의 양이 많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경기도에도 타 지역들 못지않게 많은 고문서가 지금까지 전래되고 있다. 이미 문화재 지정 등을 통해 알려진 사례를 비롯하여 각 시군별로 수백 년 이상 살아 온 종가나 민가에는 수많은 고문서들이 전래되었다.

예를 들어, 남양주 사릉에 세거한 해주정씨 종가에는 조선 전기인 15세기에 작성된 고문서를 비롯하여 약 1천 8백여 점의 고문서가 전래되었고, 의정부 장암에 세거한 서계 박세당 종가에도 조선 후기 고문서 약 4백여 점이 전래되고 있다. 이 외에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한 『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에는 이미 용인 해주오씨, 광주 광주안씨, 이천 풍천임씨, 양주 광주정씨, 군포 동래 정씨, 안산 진주류씨 가문 등에 전래된 다량의 고문서가 수록되어 학계에 유용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열거한 사례는 상대적으로 일찍 연구기관 등을 통해 그 존재가 알려진 경우이고, 이 외에도 경기도 전역에는 여전히 많은 민가에 조상 대대로 전해져 온 고문서들이 저마다 특색을 간직한 채 존재하고 있다.

경기도는 조선 중·후기에 몇 차례 큰 전란을 겪으면서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대대로 살아온 주거지를 비우고 피난을 떠나야 하기도 했고, 인적으로나 물적으로나 크고 작은 손실을 입은 경우 가 많았다. 또한 정치적으로도 조정에서 일어난 정국 변동에 따른 영향도 다른 지역에 비해 빠르게 미쳤기 때문에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집안에 전래된 옛 문헌이나 고문서를 온전히 보전하기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꾸준히 새로운 고문서 꾸러미들이 그 존재를 속속 드러내고 있다. 기회가 된다면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경기도 전역에 대대로 살아온 가문이나 개인들이 소장해 온 고문서의 현황을 지도 위에 구현해 보아도 흥미로울 것이다. 이른바 ‘경기도 고문서 지도’를 상상해 본다.


지역 박물관에 자리한 경기도 고문서


현재 경기도에는 도에서 설립한 경기도박물관과 실학박물관을 비롯하여 각 지자체에서 설립한 여러 박물관들이 있다. 이 가운데는 전통시대 고문서를 일찍부터 구입하고, 지역 소장자들로부터 기증 또는 기탁을 받은 박물관들이 여럿 포함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경기도박물관, 실학박물관, 수원박물관, 수원화성박물관, 화성시향토박물관, 여주박물관, 판교박물관, 성호기념관 등이 대표 적인 예이다. 이외에도 광명시에 있는 충현박물관과 같이 종가나 문중에서 유지하고 있는 크고 작은 시설들도 있다.

경기도박물관은 일찍이 경기도 일대에 세거(世居)한 여러 가문들로부터 고문서를 수집했고, 이를 통해서 조선시대 경기지역 가문의 역사적 맥락과 그들이 보전해 온 고문서를 경기도민을 비롯한 일반에 공개하였다. 전주이씨 백헌상공파 종중 고문서, 청해 이씨 종중 고문서, 여산송씨 정가공파 종중 고문서, 청송심씨 응교공파 종중 고문서 등은 별도의 고문서 자료집으로 발간되기도 했다.


수원시에서 운영하는 수원박물관과 수원화성박물관은 수원을 중심으로 세거한 가문과 정조대 화성 축조 등과 관계된 중요 고문서들을 집중적으로 수집했다. 그 성과를 토대로 여러 특별전을 기 획하여 개최했고, 도록과 자료집을 출간하여 전통시대 수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를 마련했다.

화성시 향토박물관에서는 지역 내에 오랫동안 살아온 여러 가문의 고문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가문과 지역사 조명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화성의 토박이 집안인 해풍김씨, 연안차씨, 함평이씨, 풍양조씨, 남양홍씨, 단양우씨 등의 여러 집안에 소장된 고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화성시의 고문헌』이라는 특화된 책자를 시리즈로 계속 발간해 왔고, 박물관 전시에서도 고문서를 통해 화성시의 역사를 조명하는데 잘 활용하고 있다.

여주박물관에서도 ‘여주의 옛 문서 특별전’ 등을 통해 지역 내의 여흥민씨, 원주원씨 집안 등에 전래된 고문서를 공개하였고, 판교박물관에서는 유물 구입 또는 기증을 통해 성남 일대에 세거한 문중들의 고문서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예컨대, 성남시 분당구는 대표적인 신도시로 거론되는 곳이지만, 조선시대로부터 여러 성씨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곳이었기 때문에 박물관의 수집 활동을 통해 속속 집안에 전해진 고문서들이 다시 모이고 있다.


경기도 고문서를 찾아서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경기도 내에도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의 기억보다 더 오래전에 지나간 시간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고문 서들이 곳곳에 전래되고 있다. 비록 아직까지 경기도 전역에 전래 되고 있는 고문서가 전체적으로 얼마만큼 남아있고 또 어떠한 것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자세히 조명할 기회는 없었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것들만 하더라도 박물관이나 개별 소장자 등을 통해 그 존재를 알린 고문서들이 적지 않다.

다음호부터는 지금까지 알려진 경기도 고문서 가운데 흥미로운 소재들을 찾아내서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보고자 한다. 고문서에는 비록 먼 과거의 일들이 기록되어 있지만, 문서가 작성될 당시에 실제로 있었던 다양한 일화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깔끔하게 정리된 역사 이야기와는 또 다른 역사의 생생한 장면 하나하나들을 보여줄 것이다.


글 박성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고문서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대학원 고문헌관리학 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문서의 양식, 제도 등을 중점적으로 공부해 왔고, 최근에는 문서에 담긴 여러 정보를 토대로 사람들의 인식과 관습 변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더 많은 경기학광장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경기도사이버도서관 바로가기]




세부정보

  • 경기학광장 Vol.1 _ 2019 여름창간호

    발행처/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

    발행인/ 강헌

    기획/ 이지훈, 김성태

    발행일/ 2019.08.16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