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걷고쓰는사람

연꽃향 그윽한 절집에서의 하룻밤

남양주시 운악산 봉선사


봉선사 연꽃 ©남양주시 


연꽃 만발한 계절의 도래

연꽃이 제철이다. 늪과 못 곳곳이 연잎으로 덮여 여백 없이 푸르고 청량하다. 울창한 잎들 사이로 빠끔히 얼굴을 내민 연꽃이 곱고도 고아하다. 무구하게 흰 연꽃, 발그레한 분홍빛 연꽃 모두가 영롱하다. 속수무책으로 뜨겁고 잔인한 이 계절, 연꽃으로부터 위안받는다. 매년 여름이면 전국 곳곳에서 연꽃축제가 열리는데 올해는 수해로 축제를 취소하거나 축소한 지자체도 여럿이다. 그러나 비가 쏟아지고 볕이 따가워도, 연꽃은 의연하게 꽃봉오리를 올린다. 연은 진흙에 뿌리 내리지만 깨끗한 꽃을 피운다. 연의 꽃은 아침에는 오므리고 저녁에는 활짝 피어난다.

하여 욕망으로 탁한 세상(五濁惡世), 즉 사바세계에서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불교에서 연꽃은 불교 그 자체를 대변하는 상징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태어나 일곱 걸음을 걸을 때, 발을 디딘 자리마다 연꽃이 피어났다 한다. 우주 중심에 있다는 비로자나불의 정토는 연화장세계로 불린다. 비로자나불은 천 개의 잎으로 이루어진 연화좌에 앉아 있는데 낱낱의 잎은 세계를 상징한다. 아미타불의 극락세계에서는 새롭게 깨어나는 사람들이 연꽃에서 태어난다. 절에 가면 불상의 연화대좌를 비롯해 석등, 부도, 문짝의 장식, 기와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연꽃 묘사를 볼 수 있다. 계절을 불문하고 절집의 연꽃은 항시 피어있는 셈이다. 그래도 절집 제일의 연꽃은 때를 알고 핀 생화일 테다.


©남양주시


연꽃 맛집’ 봉선사로 떠나는 여름 나들이

남양주 봉선사는 두루 유명한 것이 많아 한적할 새가 없는 절이지만, 여름 손님은 아무래도 연꽃이 불러 모은다. 『유마경』에서 연꽃은 ‘높은 언덕이나 육지에는 나지 않고(高原陸地 不生蓮花) 낮고 습한 진흙에서 난다(卑濕淤泥 乃生此華)’ 하였는데 봉선사는 그 말대로 평지에 있어 출입이 수월하다. 광릉수목원로(98번 국도)변의 절 입구를 들어서면 주차장을 지나 바로 일주문과 연못이 나오고 연못가를 100m 정도만 걸으면 사찰 경내다. 그러나 여름철에는 연꽃에 한눈을 파느라 법당까지 이르는 걸음이 한정 없이 느려질 수도 있다.

현재 연못은 흙도 물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연잎이 무성하다. 두 손바닥을 합친 것보다 큰 연잎들이 저마다 맑고 동그란 물방울들을 보석처럼 품고 있다. 톡 치면 구슬처럼 일렁인다. 연잎 사이 사이에는 부푼 꽃봉오리와 만개한 꽃송이가 곧고 통통한 줄기에 의지해 하늘을 바라본다. 이곳에 아름답지 않은 것이 있을까. 아미타불의 극락세계가 이런 모습이겠거니 한다. 수변에는 청사초롱이 걷는 길을 따라 늘어섰다. 절에서 흔히 보는 초파일 연등이 아니라 사각의 청사초롱인 점이 새삼스럽다. 사실 연등의 연은 연꽃 연(蓮)이 아니라 태울 연(燃)을 쓰므로 청사초롱도 연등과 다를 바가 없다. 더구나 눈앞에 생화가 만발인데 굳이 연꽃 그림이 그려지거나 그 자체로 연꽃 모양인 불가의 연등을 달아놓지 않아도 될 터. 한편, 청사초롱은 궁중에서도 사용했으니 세조가 묻힌 광릉의 능침사찰로서 봉선사를 되새기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겠다.



봉선사 전경


비밀의 숲 포행하는 템플스테이

올해는 8월 5일부터 12일까지 8일간 봉선사 연꽃축제가 열린다. 어느덧 21회째다. 행사 기간에는 염주 만들기, 페이스페인팅, 가훈 쓰기, 컵등체험 등이 상설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연잎차 만들기, 전통차 시음, 어린이 그림 그리기 및 글짓기 대회도 열린다. 축제의 흥성거리는 분위기도 좋지만 고즈넉한 분위기에서 연꽃 명상을 하고 싶다면 축제 전후로 봉선사에서 템플스테이를 해봐도 좋겠다. 템플스테이 운영 사찰은 전국 곳곳에 많지만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을 걸을 수 있는 체험은 봉선사에서만 할 수 있다.

969년, 고려 광종 때 ‘운악사’로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 봉선사는 광릉의 역사보다 500년이 앞서지만, 세조가 세상을 떠나고 정희왕후가 능침사찰로 중창하면서 비로소 규모가 커졌고 조선의 주요 사찰로 자리 잡았다. 안타깝게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6·25전쟁의 병화를 피하지 못했고 현재의 모습은 1960년대부터 재건된 결과지만 그래도 광릉 덕분에 절도 숲도 오랜 세월 섬겨져 왔다고 할 수 있겠다. 세조가 살아서도, 또 죽어서도 찾은 운악산 자락 광릉숲은 오랜 시간 불가침의 영역으로 보존됐다. 나무를 벨 수도, 돌을 캘 수도, 또 다른 누군가가 묻힐 수도 없던 왕실림은 500년의 긴 세월 동안 자연의 질서로만 일구어진 원시림이다. 해서 절을 감싼 숲은 지금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없다. 다만 봉선사 스님들이 수행을 위해 오가는 숲속 오솔길만은 스님의 안내에 따라 산책할 수 있는데, 이 ‘비밀의 숲 포행’은 절에서 묵는 이들의 특권이다. 이른 아침 연꽃과 눈을 맞추고 스님을 따라 왕의 숲을 걷는 시간은 봉선사가 자랑하는 치유와 사유의 시간이다.


봉선사 카페 봉향당 테라스석 전경


대중에 ‘열린 사찰’로서의 노력

연못에서는 경내가 잘 보이지 않는다. 나무가 울창한 여름은 사방이 초록이어서 절집 단청은 큰 연꽃단지를 완전히 벗어나 두 번째 못에 다다라서야 보일 듯 말 듯 하다. 두 번째 작은 못에는 연이 없고 느릿느릿 움직이는 붉은귀거북이 여럿이다. 이 작은 못을 내려다볼 수 있는 넓은 테라스의 건물은 기념품숍과 카페를 겸하는 봉향당이다. 이곳 그늘에 앉았다간 절 구경은 고사하고 연꿀빵에 커피만 먹고 귀가하기 십상이다. 스님 따라 비밀의 숲 포행까진 못하더라도 대웅전, 아니 큰법당은 한 번 돌아보고 가야 한다. 큰법당이라는 한글 편액을 내건 대웅전은 이곳 봉선사와 서울 칠보사 외에 다른 절에서는 볼 수 없으니 말이다.


수령 550년의 봉선사 느티나무


봉향당 맞은편에는 수령 550년의 늠름한 느티나무가 서 있는데 정희왕후가 봉선사를 중창할 때 심었다고 전해진다. 느티나무 우측 계단을 오르면 만나는 범종루의 범종은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 그의 아들 예종이 지시해 주조했다. 왕실에서 공들여 만든, 조선 초기의 동종양식을 보여주는 귀한 문화재로 국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범종루와 청풍루를 지나면 작은 연지와 성모마리아를 닮은 길고 가는 선의 관세음보살상과 마주할 수 있다. 속칭 ‘마리아 관음상’이라 불리는 서울 길상사 관세음보살상을 만든 조각가 최종태 교수의 작품이다. 이 특별한 관세음보살상을 바라보며 폐쇄성과 엄숙함이 있는 광릉숲에서 봉선사는 얼마나 대중에 열려 있는 장소인지를 생각한다.



봉선사 큰법당 ©남양주시


큰법당, 이름도 서체도 다정하다

열린 사찰 봉선사의 ‘대중성’은 큰법당에서 방점을 찍는다. 팔작지붕, 정면 3칸의 주불전이 갖춘 편액과 주련은 모두 한글로 쓰여 있다. 큰법당은 1970년에 당시 주지였던 운허스님이 중건했다. 그는 국내 사찰 최초로 한글 편액을 내걸었다. 독립운동가 출신인 운허스님은 일찍이 경전과 불교 사전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도록 한글로 번역하며 불교대중화에 힘쓴 인물이다. 큰법당이란 이름도, 편액의 동글동글한 서체도 친근하고 다정하다.

편액의 글씨는 서예가 금인석 선생이 썼다. 광릉의 주인 세조가 조선 최초의 한글대장경 『월인석보』를 간행한 사실을 떠올리면 흥미로운 인연이다. 지은 지 이제 막 50년을 넘긴 큰법당의 역사는 짧지만 그림을 곁들여 건물 구조와 한글 편액을 자세히 설명한 안내판은 이 건물의 가치를 제대로 설파한다. 사실 사찰을 포함해 국내의 숱한 문화재와 유적들 앞에서 한자가 잔뜩 섞인 안내판을 접할 때가 부지기수다. 학술논문의 한 문단을 떼어온 듯한 불친절한 문장들은 어린 학생뿐만 아니라 성인도 이해하기 어렵다. 봉선사 안내판만 같으면 우리 문화재에 대해 없던 관심도 생기지 않을까.



국립수목원 전나무길 풍경 


광릉, 국립수목원도 함께 둘러보기 좋아

절 구경을 마치고 여유가 있다면 왕릉과 수목원도 둘러보자. 봉선사에서 광릉 입구까지는 1.7km, 국립수목원까지는 2.6km다. 광릉은 인력과 비용이 많이 들지 않도록 능을 간소하게 꾸미라는 세조의 유언을 따라 병풍석도, 참도(홍살문에서 정자각에 이르는 길)도 없다. 세조는 전례 없이 잔인한 쿠데타로 냉혈한 소리를 들었던 임금이지만 부인 정희왕후에게는 따뜻했던 남편이었다고 한다. 그에 대한 후대의 평은 명암이 뚜렷하지만, 자신이 자주 찾았던 숲에 애틋했던 부인과 나란하게 묻혔으니 누운 자리는 편안하겠구나 싶다. 여전히 광릉수목원이라는 이름이 더 익숙하게 불리는 국립수목원은 산림 보전을 위해 하루 입장 인원을 제한하고 있다. 대중교통 이용자는 사전 예약 없이 입장할 수 있지만 차량으로 입장하면 인터넷 예약시스템을 통해 예약해야 입장할 수 있다. 규모가 커서 한 바퀴를 돌아보는 데 한 시간 이상 걸린다.


글 여행작가 유승혜, 사진 유승혜, 남양주시 제공


중부일보 원문 바로보기
봉선사와 경기도 여름 사찰 ASMR 영상 보기 

세부정보

  • 교종본찰 봉선사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 봉선사길 32

    누리집 / www.bongsunsa.net

    대표번호/ 031-527-1951~2

@참여자

글쓴이
걷고쓰는사람
자기소개
경기도 구석구석을 걷고 기록하는 일을 합니다.
누리집
https://www.youtube.com/@yooseungh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