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박물관 개관30년 ‘선진 경기 문화복지’ ‘신문화국가’로의 대전환

경기도박물관은 개관 30년이 되는 2026년을 기점으로 ‘선진 경기 문화복지’ ‘신문화국가’로의 대전환 전진기지로 바꾸는 구상을 밝혔다. 이를 위해 30년 박물관 성과를 토대로 ‘관객’입장에서 ‘프로그램’,‘공간’을 기계시대에 걸맞게 재개관 수준으로 ‘유물 × 영상’ 컨셉으로 전면 개편한다.


먼저 관람객은 2030년도 100만 명 달성을 목표로, 2026년 개관 30년을 기해 50만 명(경기도민의 3.6%)을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그중에서도 문화전도사 역할을 수행하는 도내 공무원과 교사, 서울 경기 권역의 그룹관객 개발에 방점이 찍힌다. 이를 위해 전시, 학술, 교육, 아카이브, 유물, 커뮤니티 관련 프로그램도 전면 개편되고, 공간도 적재적소로 재배치된다.


상설전시는 ‘선사→역사→근현대’의 시대 흐름을 기저로 주제별 보물급 유물을 하나의 공간에서 구현한다. 기획전시는 지난 30년간 120여회 특별전을 ‘경기=세계’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경기천년만년’ ’DMZ‘ ‘국제교류’ 세 갈래로 계통화하여 지속 가능한 시리즈물로 전환된다. 박물관대학과 문화동호회도 업그레이드하여 로 재편하였다. 유물은 ‘콜렉션위원회’를 신설하여 국보·보물급으로 경기도박물관 필수유물을 확보한다.


경기도박물관 전시실 전경


공간 또한 프로그램 이전의 문제로 개관 30년의 활용 경험을 토대로 재편된다. 뮤지엄이 당면한 필수불가결한 공간이지만 박물관에는 현재 없거나 기능을 멈춘 곳을 적재적소로 재배치한다. 현행 도서자료실을 아카이브실로 이전 복원 하고, 카페와 같은 휴게공간도 뮤지엄숍과 안내소 공간을 구조 조정하여 확보한다. 수장고 전실(前室)은 어린이박물관 수장고로 유물이전으로, 전시준비실과 전시비품창고는 실감영상실을 이전하여 신규 확보한다. 현재 150평 정도로 협소한 기획전시실도 선사고대실 이전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박물관 지하 1층 모두를 커뮤니티홀로 전면 개축하고, 전시실 간 장애인 이동 엘리베이터를 신규로 설치한다. 이를 통해 도민의 예술학교이자 평생 놀이터로서 뮤지엄 본연의 일을 수행하는데 만전을 기하고, 이 모든 박물관 활동은 ‘도박생중계’ 유튜브로 온라인에서도 관객과 실시간 만난다.


경기도박물관 정체성과 건립미션 ㅡ ‘신박물관운동’ 발상지로서 경기도박물관과 ‘경기=세계’를 증거 하는 최고격의 소장유물

한반도 중심의 문명발상지인 ‘기전문명권’이자 개성·서울을 포용하고 있는 ‘경기(京畿)’에 위치한 뮤지엄이 경기도박물관이다. 이런 이유로 1996년 개관 당시부터 ‘신박물관운동’의 발상지이자 ‘미래문화의 제너레이터’로서 경기도와 대한민국을 세계에 대표하는 박물관으로서 자리매김 되어왔다.

2026년 개관 30년을 앞둔 2024년 지금, 국민소득 35,000달러의 세계 10대 경제대국에 걸맞는 ‘선진복지사회’와 ‘신문화국가’ 창도의 중심이자 진원지로서 경기도와 경기도박물관의 대변화와 대전환을 사회적으로 요청받고 있다. 경기도는 물론 대한민국에서 유일무이한 도립박물관으로서 대표/맞형/중심 박물관이 그것이다.(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국립박물관이 없는 곳이 경기도로서, 경기도박물관이 국립박물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런 면에서 예산 인력 등 박물관에 대한 중앙정부 혜택도 없고, 역차별만 있는 셈이다.)

박물관의 정체성과 존재 이유를 결정하는 경기도박물관의 소장유물은 선사와 역사, 현대를 관통하는 ‘주먹돌도끼’부터 고려·조선의 사경·도자·복식·초상·서화는 물론‘DMZ’까지 다층적으로 쌓여 있다. 또 소장유물의 퀄리티도 국보 보물 50여 점을 포함하여 총 6만여 점을 보유하고 있다.


관객 10만 명대의 낮은 인지도 문제와 위상 추락 원인과 해결방안

이런 맥락에서 보면 개관 30년을 맞는 경기도박물관 관객은 실제 100만 명이 되어야 정상이라고 할 수 있다. 관객 140만 명은 경기도민 1,400만 명의 10%다. 여기에다 서울인구까지 포함하면 2,000만 명이 넘는다. 경기(京畿 *畿:서울 기점으로 500리 이내 땅) 안에 너무나 당연히 서울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경기도박물관이 서울과 경기의 중심 박물관으로서 좌표설정이 당연하다. 그 결과 전국과 세계로 경기가 직통한다. 실제 2023년도 국립박물관은 전국 13개관 총 관객 1,000만 명 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경기도박물관의 2023년 관객은 119,923명이다. 이것은 경기도민 1,400만 명의 0.85% 정도고, 1996년 6월 21일 개관부터 6개월간 총 관객 158,824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경기도박물관의 인지도도 아주 낮아 서울 사람들은 십중팔구는 위치를 모르고 있을 정도다.

경기도박물관 로비

지난 30여 년간 도박의 위상 추락 원인은 예산축소와 인력감축, 잦은 인사이동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와 프로그램 문제 등 두 가지 측면으로 귀결된다. 돈, 인력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해결은 다른 차원에서 해결하더라도 기계시대 변화에 걸맞는 학예 차원의 최고격으로 변화된 프로그램 기획은 지금부터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통해 2026년 개관 30년을 기점으로 유물·전시·학술·교육·아카이브 등 모든 프로그램을 대전환시켜 경기도박물관의 본래 모습과 위상을 회복해 낼 당위와 필요가 개관 30년을 맞아 절실히 요구된다.


유물에 대한 사유방식 전환과 ‘GGPM’브랜드화

경기도박물관 30년 역사를 되새김질하여 유물 = 전시 = 교육 = 커뮤니티에 관통하는 모든 프로그램의 격(格)을 최고도로 구현해내는 것이 답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프로그램 기획방식을 퀀텀시대/기계시대에 걸맞도록 변화시켜 ‘역사 × 현대’ ‘실제유물기반 × 영상과 디지털’ ‘전시 × 공연’ ‘학술 × 전시’ ‘경기 = 세계’ ‘글로컬’ ‘실내 × 실외’ ‘뮤지엄 × 경기뮤지엄파크’ 등으로 다각화, 다변화 시켜내는 것이다. 다음은 30년 박물관 성과를 토대로 이동국 관장이 ‘관객’입장에서 ‘프로그램’,‘공간’을 기계시대에 걸맞게 재개관 수준으로 전면 개편해내는 구상이다. 이것은 바로‘GGPM’을 브랜드화 시켜내는 것과 다름 아니다.


‘진주목걸이’ 컨셉의 상설전시와 ‘경기=세계’의 기획전시로 킬러콘텐츠 발명

선사 → 역사 → 근현대에 이르는 1,700여 점의 상설전시 유물을 대폭 구조조정하고, 시대별 보물을 원픽하여 ‘진주목걸이’컨셉으로 하나의 흐름으로 일관된 공간에서 360도 다면적으로 보여준다. 기획전도 ‘경기=세계’를 화두로 30여 년간 120여 건의 기획전을 ▲‘경기천년만년’ ▲‘DMZ’ ▲‘국제교류’로 계통지어 시리즈로 만들어내 경기도내 × 국내외에 코큐레이팅 방식으로 보여준다.

▲‘경기천년만년’ : <손 수手>, <경기, 더 그레이트>, <충忠 : 사충서원 초상화>, <사경寫經>, <주먹돌도끼를 든 백남준>, <원형과 복원사이 : 성산이씨 묘 출토 자수스란 치마>, <조선서화500년>, <미수 허목>, < 석봉 한호> 등을 테마로 기획전시 고도화 및 네트웍 구축(경기31개 시 군 × 서울 × 전국)

▲‘DMZ 평화프로젝트’: 일제강점와 6·25전쟁을 관통하는 프로그램(베트남 하노이국립박물관 공동주최 , 양평 여운형기념관 공동주최<여운형의 독립의 길, 통일의 길> 등 교섭 중)

▲‘경기=세계’ 국제교류전 : 중국 일본은 물론 인도와 아랍, 동남아시아, 유럽/미국 등 서구권, 제3세계(2024년 중국요녕성박물관 <명대서화전>, 미국클리브랜드뮤지엄 <청송심씨 사평공파 심연묘 출토복식> 등 진행 중)


‘GGPM 문명강화’ ‘GGPM예술학교’와 콜렉션위원회 설치

학술은 지식 전달에 치중한 기존 ‘박물관대학’을 도약시켜 상설전시 유물과 관객이 직접 대화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그리고 여기에는 학예사와 다양한 분야의 관계전문가의 강화(講話)가 직접 개입한다. 그래서 진정한 물아일체형(物我一體形)의‘GGPM문명강화’가 된다. 이와 함께 <경기도박물관 30년, 온 길과 갈길-‘예술과 정치가 하나 되는 ’신문화국가 창조> 국제학술포럼도 개최준비 중이다.

그리고 규방공예, 민화, 찾아가는 박물관, 교원직무연수, 어린이, 청소년체험교실 등과 같은 개별적인 커뮤니티 활동과 경기뮤지엄파크홀과 야외에서 벌어지는 플리마켓, 버스킹공연, 영화 등은 ‘GGPM예술학교’로 확대 개편된다. ‘유물’ 또한 ‘콜렉션위원회’를 구성하여 국보·보물급 경기도박물관 필수 유물 확보해낸다.


적재적소의 뮤지엄 공간 구조조정


경기도박물관 뮤지엄숍


하지만 경기도박물관이 개관 30년을 맞아“유물과 놀며 배우며”문화복지와 ‘신문화국가’로의 대전환 전진기지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필수적인 선결과제도 있다. 그렇지 못하면‘관객’입장에서‘프로그램’을 제대로 구현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개관 30년의 활용 경험을 토대로 뮤지엄이 당면한 필수불가결한 공간이지만 박물관에는 현재 없거나 기능을 멈춘 곳을 적재적소로 재배치한다.

현행 도서자료실을 아카이브실로 이전복원 하고, 카페와 같은 휴게공간도 뮤지엄숍과 안내소 공간을 구조 조정하여 확보한다. 수장고 전실(前室)은 어린이박물관 수장고로 유물이전으로, 전시준비실과 전시비품창고에는 실감영상실을 이전하여 신규 공간을 확보한다. 현재 150평 정도로 협소한 기획전시실도 선사고대실 이전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박물관 지하1층 모두를 커뮤니티홀로 전면 개축하고, 전시실간 장애인 이동 엘리베이터를 신규로 설치한다. 이를 통해 도민의 예술학교이자 평생 놀이터로서 뮤지엄 본연의 일을 수행하는데 만전을 기하고, 이 모든 박물관 활동은 ‘도박생중계’ 유튜브로 온라인에서도 관객과 실시간 만난다.


‘2630 프로젝트’ 기대효과와 의의

요컨대 2026년 개관 30년은 일차적으로 경기도박물관의 역사 정리를 토대로 향후 30년 ‘선진복지사회’, ‘신문화국가’로의 대전환의 중심이자 진원지로서 경기도와 경기도박물관의 재탄생 의미를 지닌다. 박물관이 박물관 안에서 머물러서는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이런 맥락에서 2630 경기도박물관은 경기도와 세계의 정치 사회 변화를 문화예술로 뒤집기 해내는 진원지가 될 것이다.




바로가기 경기도박물관 누리집

글쓴이
경기도박물관
자기소개
경기도박물관은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의 전통을 밝히고 계승하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박물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