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

《명경단청明境丹靑:그림 같은 그림》

2024-12-05 ~ 2025-03-02 / 중국 국가 1급 유물 6점 한국 최초공개, 경기도·랴오닝성 자매결연 30주년 기념 공동선언 결실


경기도와 랴오닝성 자매결연 30주년 기념 공동선언 결실

2024년 12월 5일부터 2025년 3월 2일까지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명경단청明境丹靑:그림 같은 그림> 특별전을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경기도와 중국 랴오닝성 ‘자매결연 30주년 공동선언’의 결실이다. 김동연 도지사는 지난해 10월 경기도와 랴오닝성의 자매결연 30주년을 맞이하여 랴오닝성을 방문하고 교류 강화 등을 위한 공동선언에 서명했다.

올해 1월 다보스포럼에 참석한 김지사가 리러청 랴오닝성장과 만난 것에 이어, 4월에는 하오펑 랴오닝성 당서기가 도담소에 방문해 양 지역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경기도-랴오닝성 교류협력 심화 합의서에 서명하는 등 경기도와 랴오닝성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구영의 <적벽부(赤壁賦圖卷)>, 중국 명, 비단에 채색, 25.7×90.8cm, 1급 유물


그 결실로 한국에서 전시된 사례가 없는 랴오닝성박물관 소장 국가1급 6점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된다. 중국 선양은 청나라 초기 수도로 이곳에 위치한 랴오닝성박물관은 황실의 유물을 다수 보유한 국가 1급 박물관이다.  이번 전시는 경기도와 랴오닝성 대표박물관간 교류를 통해 우수 문화유산을 서로 알리기 위하여 추진된 것으로 랴오닝성박물관이 소장한 당대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 볼 수 있는 다채로운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랴오닝성박물관이 소장한 명대 서화 53점이 경기도박물관 특별전시를 통해 도민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심주의 <국화 감상(盆菊幽賞圖卷)>, 중국 명, 종이에 채색, 23.4×86.0, 1급 유물


사상 전례 없는 중국 국가 1급 유물 6점 한국 최초 전시

만주족의 발상지이자 청나라 초기 수도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인 중국 선양에 위치한 랴오닝성박물관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직전에 설립된 최초의 박물관으로 2008년 국가 1급 박물관으로 선정되었다. 이번 전시에는 랴오닝성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에서 전시된 전례가 없는 중국 국가 1급 유물 6점〈사자머리 거위〉,〈초가집 부들방석〉,〈여섯 명의 선종 조사〉,〈만년송〉,〈국화 감상〉,〈적벽부〉가 포함되어 있다. 국가 1급 6점을 포함하여 명대 서화 53점이 전시되는 명대 서화 특별전은 당대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보기에 부족함이 없을 만큼 풍성한 볼 거리를 제공할 것이다.



여기의 <사자머리 거위(狮頭鹅圖軸)>, 중국 명, 비단에 채색, 191.0×106.0, 1급 유물


전시 구성과 주요 작품, 전기 → 중기 → 후기의 시대별 구성


[1부: 명대 전기 - 절파(浙派)의 탄생]

명대 전기 회화에서는 궁정화가였던 대진, 여기(吕紀) 등의 작품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의 <사자머리 거위(狮頭鹅圖軸)>를 비롯하여 절파를 이끌었던 대진의 <여섯 명의 선종 조사(禪宗六祖圖卷)>, 명나라 5대 황제 주첨기(朱瞻基)의 <소나무(萬年松圖卷)>라는 1급 유물을 만나볼 수 있다.


[2부: 명대 중기 - 오파(吳派)의 전개]

명대 중기 회화에서는 이 시기 화단을 주도했던 ‘오파(吳派)’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명나라 최고의 예술가 4인으로 꼽히는 심주, 문징명, 당인(唐寅), 구영 등의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명대 전기 절파 그림과는 달리 화사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그림들은 글씨와 어울려 한층 멋을 더한다. 심주의 <국화 감상(盆菊幽賞圖卷)>, 당인의 <초가집 부들방석(茅屋蒲團圖軸)>, 구영의 <적벽부(赤壁賦圖卷)>는 모두 1급 유물이자 매우 아름다운 작품이다.


[3부: 명대 후기 - 남종문인화로의 집대성(集大成)]

명대 후기 회화에서는 이 시기 회화의 중심인물인 동기창과 ‘송강파(松江派)’ 화가들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동기창은 뛰어난 서화가이자 학자, 관리, 회화 이론가, 수장가다. 동기창의 글씨와 그림을 볼 수 있는 <연이어진 묵직한 봉우리(峰峦渾厚圖卷)>를 비롯하여, 인물화에 뛰어났던 진홍수의 <풀싸움(鬪草圖軸)>, 명말 청초에 활동했던 왕휘의 <‘사계절 산수’를 본뜬 그림(仿古四季山水圖屏)>등 모두 18점이 선보인다.


세부정보

  • <명경단청明境丹靑:그림 같은 그림>

    전시기간 / 2024년 12월 5일(목) ~ 2025년 3월 2일(일)

    전시장소/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실

    전시시간/ 10:00~18:00, 월 휴관

    관람료/ 무료

글쓴이
경기도박물관
자기소개
경기도박물관은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의 전통을 밝히고 계승하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박물관입니다.
누리집
https://musenet.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