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박물관 소장〈조영복 초상〉, ‘2025 뮤지엄·만나다’ 사업 최종 선정

경기도박물관 초상화 컬렉션의 시작을 상징하는 보물〈조영복 초상〉


▶ 경기도박물관 초상화 컬렉션의 시작을 상징하는 보물 〈조영복 초상〉, 전국 50선 중 하나로 주목

▶ 기증의 의미와 사대부 정신을 조명하는 무장애 전시와 연계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관장 이동국)의 소장품인 보물〈조영복 초상〉이 문화체육관광부와 (사)한국박물관협회가 주관하는 『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 뮤지엄·만나다』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뮤지엄·만나다』는 전국 박물관·미술관이 보유한 대표 소장품을 발굴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통해 박물관의 대중적 인지도를 제고하고자 기획된 사업이다. 올해 첫 시행된 본 사업에는 총 89건의 신청이 접수되었으며, 이 중 50건이 최종 선정되었다. 경기도박물관은〈조영복 초상〉으로 이름을 올렸다.


〈조영복 초상〉은 조선 후기 문인화가 조영석(1686-1761)이 유배 중인 형 조영복(1672-1728)을 그린 초상화로, 사실성과 인간미, 유학자의 기품을 함께 담은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1725년에 완성된 이 작품은 현재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기도박물관이 1994년 함안 조씨 문중으로부터 기증받은 대표 소장품이다.


경기도박물관은 해당 작품이 박물관 초상화 소장품 구축의 출발점이자 기증 문화의 시작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최초, 그리고 시작’이라는 공모 주제와 높은 연계성을 지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경기도박물관은 개관 이전부터 초상화 컬렉션을 체계적으로 확장해왔으며, 현재 국내 최대 규모의 초상화 소장기관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선정 소장품은 무장애 기증특별전《巖巖汪汪: 만 길 벽, 천 이랑 바다(Lofty Walls, Boundless Seas)》에서 관람객과 만나는 중이다. 2024년 11월부터 2025년 11월까지 진행되는 해당 전시는 배리어 프리 형식으로 조선 지식인의 정신과 기증의 의미를 조명하고, 장애와 비장애를 넘는 전시 접근성의 모범 사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경기도박물관은 “〈조영복 초상〉은 예술성과 역사성, 그리고 박물관의 정체성을 모두 담고 있는 소장품으로, 이번 선정을 계기로 더욱 많은 이들이 이 작품의 가치와 이야기를 접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기도박물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온·오프라인 홍보 및 숏폼 영상 콘텐츠, SNS 카드뉴스, 전시 굿즈 개발 등 다방면의 콘텐츠 확산을 계획하고 있다. 향후 같은 인물을 그린 다른 초상인 보물〈조영복 초상〉관복본 등, 여러 유물과의 연계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의 지속적 만남도 이어갈 예정이다.


문의 경기도박물관 누리집 바로가기 

글쓴이
경기도박물관
자기소개
경기도박물관은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의 전통을 밝히고 계승하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박물관입니다.
누리집
https://musenet.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