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 도민과 함께하는 문화놀이터로 활짝

2025-04-24 ~ 2025-04-24 / 연간 30만명이 찾는 숲과 문화예술이 있는 문화놀이터, 상시 개방


▶ 연간 30만명이 찾는 숲과 문화예술이 있는 문화놀이터, 상시 개방

▶ 무용연습실, 체험존, 공유오피스 등 도민 활동 및 편의 공간 확대 개방

▶ 누구에게나 열린 플랫폼이자 모두의 공유지대로 나아가


경기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대표 유정주)가 지난해 경기문화재단 본사 이전에 따른 일부 사무공간을 도민 공간으로 전환, 재정비를 마치고 ‘도민과 함께 하는 더 열린 문화공간’으로 활짝 개방한다.




재단 사무공간 축소, 도민 활동 및 편의공간 확대

경기상상캠퍼스는 도민의 공간으로 확대 개방하고자 본사 이전(24.9.16) 이후 지난 6개월 동안 8개 건물 별로 분산된 사무공간과 입주공간을 일원화하고 17개의 공간을 시범 운영 했다. 이후 도민 편의 공간 확충과 공간 개보수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대민 공유서비스를 확대 추진한다.

이를 위해 단계별로 입주단체 전용 공간과 재단 사무공간을 무용연습실, 체험존, 공유오피스, 러닝존, 교육실 등 도민 공용 공간으로 전환해 기존 34개에서 56개로 확대했다. 또한 방문객의 휴식과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재단 기록물 창고로 사용했던 문서고(공작1976)를 전시와 체험, 휴식이 가능한 다용도 공간으로,  또한 입주단체 퇴실공간(청년1981)을 책놀이터, 도자체험, 포토존 등 어린이 체험존으로 운영하고 있다. 오는 5월에는 입찰을 통해 편의점과 휴게음식점이 입점할 예정이다.




대관률 2,686회 등 연간 30만명 방문객 이어져

공간 개방화에 따른 경기상상캠퍼스 대관률은 지난해 2,686회로, 23년 2,442회 보다 365회 증가하여 높은 가동률을 기록했다. 또한 지난해부터 상설 체험 전시와 우수 공연물 유치 등 상시 프로그램을 운영해 301,717명이 방문했고 이는 전년 대비 1만 여명이 증가한 수치다. 경기상상캠퍼스는 울창한 숲과 문화예술을 즐기려는 가족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져 연간 30만 명 이상, 누적 182만 명이 방문하는 등 경기도 대표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누구에게나 열린 플랫폼이자 모두의 공유지대로 나아가

특히 2025년에는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동기획 공간지원사업’과 ‘단기 입주단체 공모’를 새롭게 주력하고 있다. 공동기획 공간지원사업은 융복합 공간 ‘공간1986 멀티벙커’와 ‘무용연습실’을 창작자와 기획자에게 공간과 홍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공간 활용과 함께 창작자와 기획자를 발굴, 연계 협력하는 기반을 다진다. 이번 사업은 시범 운영을 거쳐 하반기에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단기 입주단체 공모’는 정기적으로 3년 간 입주할 단체를 운영하던 방식에서 탈피, 4개월 동안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체류하며 얻은 영감을 토대로 협력 기회를 확보하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공모를 통해 10여 팀을 선발해 운영 중이다. 단기입주 트랙을 통해 더 많은 예술인과 문화기획자를 발굴하고 협력 고도화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문화본부 김유임 본부장은 “경기상상캠퍼스는 도민에게 휴식과 배움을 제공하는 문화예술 놀이터가 될 것”이라며 “경기상상캠퍼스는 누구에게나 열린 플랫폼이자, 모두의 공유지대로 나아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문의 경기상상캠퍼스 누리집 바로가기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