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풍경에 그린 그림, 민정기

삶의 터전이 담고 있는 이야기

경기도미술관에서 2011년 개최된《창창인생》전에 출품된 작품을 중심으로 민정기 작가의 작품세계를 소개합니다. 




민정기, <수암동 풍경>, 캔버스에 유채, 152x326cm, 2011



“지도는 옛 사람들이 땅을 보던 방식이랄 수 있을 텐데, 그게 마치 지형에 따라 그려진 그림 같습니다. 삶의 터가 어떻게 자연 환경 속에 놓였는가를 보는 게 바로 고지도의 핵심이겠지요. 삶의 중심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관헌, 향교, 절을 중심으로 산줄기를 따라 이어지는 균형 잡힌 공간은 데생이 드러나는 터전 잡기의 방식이었던 거지요.” - 민정기 -





    민정기 작가는 삶의 터전이 담고 있는 역사와 이야기의 풍경을 화폭에 그린다. 개개인이 처해 있는 환경과 사회, 또한 그 주변을 따뜻하게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은 80년대의 ‘현실과 발언’ 동인 활동을 시작으로 소위 ‘이발소 그림’이 산재했던 삼각지에 작업실을 두었던 시절 진행된 일상의 풍경을 담은 그림으로 이어지고, 경기도 양평으로 이전한 이후 전개된 산수풍경, 역사풍경 작업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작품을 관통하고 있다. 



민정기, <벽계 구곡>, 캔버스에 유채, 81x312.5cm, 2007





민정기, <벽계 구곡>, 캔버스에 유채, 157.5x326cm, 2011



     특히 1990년대 양평 시절부터 시작된 풍경화들은 한 화면 안에서 다층적인 깊이를 담아내는 동시에 그 안에서 형성된 특수한 시공간과 사건, 역사적 기록과 이야기를 형상화한다. 그 중에서도 작가의 작업실 인근에 소재한 벽계구곡은 작가가 양평시절 초기부터 여러 점에 걸쳐 꾸준히 그려온 대상으로 이를 그린 작품이 민정기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창창인생》전시에 출품된 2007년 <벽계구곡>이 옛 문인들의 이상향을 담은 산세가 화폭 가득 강건하게 잘 드러나는 작품이라면, 2011년 작품은 지형의 속속 숨어있던 역사와 더불어 지난 해 새로 개통된 경춘고속도로가 자리한 모습을 보여주어,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고지도의 화법을 따라 눈여겨 귀히 살피던 풍경이 내포하고 있는 세밀한 이야기를 더욱 많이 담아내고 있다.




 

민정기, <여주 이포 나루터>, 캔버스에 유채, 158x363.5cm, 2011




 

민정기, <선감동에서 일몰>, 캔버스에 유채, 79x482cm, 2011



   또한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가 안산시 소재 선감도에 위치하고 있는 경기도미술관 부설 경기창작센터에 입주 작가로 머무는 기간 동안의 화업의 결실들이 함께 선보인다. 창작센터의 작업실에서 바라본 선감동 마을의 모습을 그려 삶이 몸담고 있던 공간의 작고 섬세한 면면을 담아낸 <선감동에서 일몰>이나, 1년 반 동안 생활했던 안산에 대해 연구하고, 그에 대한 다정하고도 속 깊은 시선이 담긴 <수암동 풍경>이나 <고지도에 얹힌 안산>과 같은 작품은 작가의 현실인식을 잘 드러내주는 작품들이다.





민정기, <고지도에 얹힌 안산>,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213.5x192cm, 2011 


     특히 <고지도에 얹힌 안산>은 안산 지역의 고지도 위에 현재의 모습을 담아 그린 작품으로, 고지도를 그린 옛 사람들이 세상을 보고 풍경을 활용하던 방식과 현재의 모습을 동시에 조망할 수 있게 하여, 시간차를 두고 공간이 어떤 변화를 겪으며 그에 따른 이야기를 담아가고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


(글. 황록주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민정기(閔晶基)_1949 서울출생

197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서양화 전공) 졸업


|개인전|

1983 제1회 개인전, 서울미술관, 서울

1986 제2회 개인전, 서울미술관, 서울

1992 제3회 개인전, 가람화랑, 서울

1996 제4회 개인전, 가람화랑⦁인사갤러리, 서울

1999 제5회 개인전, 아트스페이스 서울⦁학고재, 서울

2004 “민정기-본 것을 걸어가듯이”, 마로니에 미술관, 문화예술진흥원, 서울

2007 이중섭미술상 수상 기념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수상| 제18회 이중섭 미술상, 조선일보, 서울


|레지던시| 2009~2010 경기도창작센터, 경기도


|작품소장|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역사박물관, 주 캐나다 한국대사관, 서울대학교박물관  




세부정보

  • 경기도미술관 기획전《창창인생》

    기간/ 2011.10.20-12.18

    장소/ 경기도미술관 기획전시실

    참여작가/ 권영우, 민정기, 윤석남, 조성묵

    전시기획/ 황록주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s://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