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상생공생_우음도 에코뮤지엄

경기만은 인간 삶의 터전이자 문물이 교차하며 풍요로운 미래의 희망이 는 곳입니다. 경기만 에코뮤지엄 컬렉션 100선 <<상생공생>>에서는 이러한 경기만의 정체성을 오롯이 담았습니다. 경기만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소중한 역사·문화·생활 자원들을 스토리텔링 함으로써 생생한 체험의 현장, 건강한 생태놀이터로서의 경기만 에코뮤지엄을 소개합니다.

우음도 에코뮤지엄공룡알 화석 산출지 / 우음도 / 비봉습지


#053

경기만의 자연 / 지층

공룡알 화석 산출지


주소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 산5





화성 고정리 공룡알 화석 산출지는 작은 섬과 바위들로 구성된 도서군의 한 섬으로, 1999년 시화호 간척사업 중에 오랜 기간 바다에 잠겨 있던 부분이 육지화 되면서 공룡알 화석 및 알둥지가 발견된 곳이다. 여러 퇴적층에서 공룡알 화석이 발견된 걸로 보아 이 일대가 약 1억 년 전 공룡의 주요 서식지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가로 세로 80cm~1m 크기의 둥지 30여 개에서 둥지마다 5~6개, 많게는 12개씩 지금까지 모두 200여 개의 공룡알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처럼 많은 공룡알 화석이 한꺼번에 발견된 것은 드문 경우다. 현재 갯벌로 덮인 부분까지 제거하면 더 많은 화석이 발견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천연기념물 제414호로 지정 돼 아이들에게 공룡시대에 대한 과학과 환경 등의 교육 현 장으로 꾸준히 관심을 받고 있다.




#054

경기만의 자연 / 섬

우음도


주소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




우음도는 원래 섬이었으나 시화방조제가 완공되면서 주변의 바다와 함께 육지가 되었다. 생김새가 소를 닮았고, 육지에서 소 울음소리가 들린다 하여 우음도라 불렸다. 섬의 남서쪽에는 각섬석, 편마암, 화성암 등 온도와 압력 등의 작용으로 변질되어 이루어진 변성암 지대가 다양한 두께와 형태로 발달되어 있다. 이 변성암 복합체의 다채로운 모습과 주변에서 자라는 높이 2m 이상의 갈대숲은 시화호와 뛰어난 경관을 이루어 사진작가들의 촬영 장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생태공원으로 지정되어 지질, 환경과 생태 갯벌 체험학습장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개발로 인해 고향을 떠난 주민들이 모여 우음도 당제를 복원하고 해마다 당굿을 재현하고 있다.


사진출처 화성시청



#055

경기만의 자연 / 습지

비봉습지


주소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유포리




비봉습지는 시화호로 흐르는 하천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해 만든 국내 최초의 대규모 인공습지이다. 시화호 상류 하천인 동화천, 반월천, 삼화천의 물을 임시로 가두어 갈대와 수서식물을 통해 정화시킨 후 시화호로 흘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인근에 공룡알 화석산지와 우음도, 형도로 이어지는 수변 생태계가 있어 국제적으로도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할 습지로 알려져 있다. 2015년에는 전체 면적의 절반을 생태공원화하여 시민들의 휴식공간과 학습장으로 새롭게 개장했다. 수많은 철새들이 서식지와 번식지로 이곳을 찾아 다양한 생태환경을 보유하고 있는 비봉습지는 지역의 자연, 환경, 역사, 문화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미래형 인공 조성 공원으로 거듭나고 있다.



세부정보

  • 상생공생 - 경기만 에코뮤지엄 스토리텔링북

    총괄/ 이정문, 마케팅인프라

    기획글/ 경기창작센터, 경기학연구센터 이지훈,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사진협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故)최춘일, 민들레연극마을, 복음자리, 산안마을, 생금집 코디네이터, 시화호생명지킴이 박선미, 인천일보,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안산시청, 화성시청, 시흥시청

  • 컬렉션 100선 선정위원/ 경기학연구센터 이지훈, 시흥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강석환, 시흥바라지에코뮤지엄연구회, 시흥시향토사료실 김치성, 안산에코뮤지엄연구회 선유락, 연안문화보존네트워크 김갑곤,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화성연안환경문화연대 윤영배, 경기도청, 안산시청, 화성시청, 시흥시청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