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지명이 품은 경기도 파주

경기도의 이야기

천천천 경기천년 기자단은 2018년은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천년을 이어온 경기도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미래의 꿈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 경기도 내 거주자와 학생, 직장인들로 꾸려진 기자단입니다. 



경기천년 기지단에서는 2018년 경기천년의 해를 맞아 경기도에 속해 있는 지역의 지명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경기천년과 더불어 2018년은 남과 북의 정상이 만나 평화를 약속한 뜻깊은 해이기도 합니다. 분단의 상징에서 평화를 위한 대화의 장으로 탈바꿈한 판문점을 시작으로 경기도민, 나아가 민족의 염원인 통일이 성큼 다가오기를 희망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판문점이 위치한 경기도 파주시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경기도 북서부에 있는 파주


파주는 아픈 과거역사와 아름다운 문화예술이 공존하는 도시입니다. 평화와 자유를 되새길 수 있는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그림 같은 마을 헤이리 예술마을, 파스텔톤이 가득한 프로방스 마을 지식의 숲 파주출판도시 등 주말 나들이 장소로도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2018년 경기천년의 해를 맞이해서, 또 대한민국의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으로 문화유산이 가득한 파주여행을 계획하는 분들도 많으실 것 같은데요, 출발 전 파주의 지명유래와 기원을 알고 떠나신다면 어떨까요?


경기도 행정구역(출처 : 경기관광포털)


파주(坡州)


파주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증보문헌비고]라는 책에 나옵니다. 파주는 고조선의 땅이었다가 삼한시대에 마한에 속했습니다. 삼국시대에 최초로 파주에 자리 잡은 나라는 백제였으나, 고구려와의 계속된 영토싸움으로 475년에는 파주 땅 전체가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습니다. 그 뒤 신라 진흥왕이 파주를 차지했습니다. 세월이 흘러 고려시대의 파주 지역은 무신정변과 깊은 관련을 맺습니다. 1170년(의종24년) 정중부를 비롯한 무신들이 반란을 일으킨 보현원이 바로 옛 장단군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파주는 조선시대에 지금의 명칭을 얻었습니다. 세조(1459년)는 이곳이 왕비의 친정이 있는 마을이었기 때문에 그 전까지 원평도호부로 불리던 이 지역을 ‘목’으로 승격시키고 명칭도 파주로 고쳤다고 합니다.


임진강 황포돛배(출처 : 파주시청 공식블로그)


파주지역에는 한강과 과거 칠중하(七重河)라고 불렀던 임진강을 비롯하여 공릉천, 문산천, 갈곡천, 비암천등 크고 작은 강이 많이 있습니다. 파주는 북쪽에 산하를 위에 두고 흐르는 임진강과 한강이 함께 만나 서해로 흘러드는 하구(河口)에 위치해있어 예로부터 둑과 제방이 많았습니다. 파주(坡州)는 ‘둑 위의 마을, 둑과 제방이 많은 마을 또는 뚝, 제방 역할을 하는 마을’이란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출처 : 파주시청 공식블로그)


파주의 지리적 위치와 지형적 특징은 선사시대 이래로 더없이 살기 좋은 자연환경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한강과 임진강을 축으로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선사유적들이 존재하고, 삼국시대에는 한반도의 요충지로서 치열한 세력충돌을 일으켰던 곳입니다. 고려의 불교문화와 조선시대의 유교문화가 찬란히 꽃 피운 곳이기도 하지요. 파주는 이렇듯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역사와 문화유산을 간직한 자랑스러운 경기도의 고장입니다.


특히, 파주에는 역사적 인물에 관련된 유적지도 여러 곳입니다.


율곡이이선생과 관련된 문화유적 - 화석정, 이이 선생묘, 자운서원

신사임당선생과 관련된 문화유적 – 신사임당 선생묘

구암허준선생과 관련된 문화유적 – 허준 선생묘 (DMZ내 통일대교 민통선 출입허가)

방촌황희선생과 관련된 문화유적 – 황희선생 영당지, 황희 선생묘, 반구정

파주시가 낳은 대학자이자 경세가인 율곡이이 선생은 파주의 대표적인 역사인물입니다. 파주에서 매년 열리고 있는 “파주율곡문화제”는 벌써 30주년이 되었다고 합니다.



율곡이이와 어머니 신사임당(출처 : 파주시청 공식블로그)


율곡이이와 신사임당을 떠올리면 강릉 오죽헌을 연상하지만, 그곳은 율곡이이 어머니 신사임당의 친정으로 율곡선생이 태어나고 어릴 적 잠시 성장한 곳일 뿐, 율곡선생의 본향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입니다. 율곡(栗谷)리는 ‘밤이 많이 나는 마을’ 이라는 뜻이며, 이이의 호 ‘율곡’도 마을이름에서 따왔습니다.



파주이이유적지 (출처 : 대한민국구석구석)


율곡이이와 신사임당의 묘소를 포함한 가족묘역이 한 공간에 모여 있는 ‘파주이이유적’은 율곡이이 관련 유적을 대표하는 곳으로 한 인물에서 근원한 문화유산이 모여 있는 장소로 가치가 큰 곳입니다. 2013년 2월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되면서 그 가치를 재조명 받았습니다.



자운서원(출처 : 파주시청 공식블로그)


경기도 기념물 제45호 자운서원은 광해군 7년(1615년)에 창건되어 효종원년(1650년)에 완공되었습니다. 율곡이이는 이곳에서 학문을 닦았고 벼슬길을 마친 말년에도 여기서 죽을 때까지 머물렀습니다.



화석정(출처 : 파주시청 공식블로그)


자운서원 북서쪽 임진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위에는 율곡이이가 어린 시절 시를 짓고 학문에 매진했던 화석정이 있습니다. 화석정은 원래 세종25년(1443년)네 이이의 5대 조부인 이명신이 세운 정자입니다. 이이는 유년시절 이곳을 찾아 독서를 즐기고 시를 지었습니다. 그가 8살 때 이곳에서 만들었다는 ‘팔세부시’가 걸려있습니다.


우리가 무심코 쓰고 있는 지폐에는 우리역사를 빛낸 인물들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중 경기천년의 역사 인물이 5만 원권과 5천 원권에 등장한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2018년은 경기도가 ‘경기’라고 불린지 천년이 되는 해입니다. 우리 경기도의 찬란한 문화유산이 정말 자랑스럽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런 찬란한 문화유산이 앞으로도 잘 보존이 되어 후대에도 찬란할 수 있도록 기원합니다. 이상 경기천년 기자단이었습니다.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
누리집
http://www.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