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경기역사문화유산원

고려시대 경기지역 사원의 성격 ⑦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이 글은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천백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에 수록된 발표주제문입니다.


고려시대 경기지역 사원의 성격


이승연 | 경기문화재연구원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시대 開京과 京畿지역의 변화

 Ⅲ. 고려시대 開京과 京畿지역 사원의 종파와 기능

 Ⅳ. 맺음말


Ⅲ. 고려시대 開京과 京畿지역 사원의 종파와 기능


5. 군대 주둔지ㆍ훈련장소, 정치회합의 장소로 이용된 사원


개경의 방어를 담당한 군사시설은 궁성 안의 회경전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中房, 동쪽으로 中樞院, 궁성 밖에서 십자가와 맞닿은 官道 남쪽으로 兵部, 選軍 및 북쪽의 金吾衛ㆍ千牛衛ㆍ監門衛 등이 위치하고 있다. 개경의 방위구역은 대체로 四郊의 범위 내지만, 특히 자남산의 안쪽으로 빈번히 이루어지면서 수도방위시설이 집중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별도의 방위시설을 찾을 수 없는 것은 사원 자체가 수도방위 거점시설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였기 때문이다. 즉 왕의 행차가 잦았던 사원은 교통의 요지나 전략적 요충지에 조성되었다는 지리적 요인과 더불어 왕의 안전을 위한 규모와 시설이 확충되면서 개경방어의 거점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점이 개경의 방위제도의 특징이다(전경수 2010: 433).


군대 주둔지나 훈련장소로 활용된 사원은 開國寺ㆍ國淸寺ㆍ興王寺 등으로 대부분 開京 나성 밖에 위치하여 넓은 공간을 가지고 있었고, 이 공간이 군대의 수용에 용이하게 이용되었다. 개경성 밖의 사원들은 城이나 망루ㆍ식수원을 가지고 있으면서 개경의 보호시설로서 기능하였다. 또 지방과 연결되는 관문적 시설로서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이들 사원이 개경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었던 것과 연관된다. 이렇게 사원이 군사적으로 이용된 것은 수도 근처에 존재했기 때문이지만 국가의 공공기관과 같이 인식되었기 때문이다(박윤진 1998: 118).


정치회합의 장소로 이용된 사원은 개경 성내에 위치했다. 興國寺는 왕궁이나 兵部와 가까웠기 때문에 선택되었을 것이다. 충렬왕 때는 원에 대한 모반사건을 사원에서 국문하고 해결하였다. 원의 간섭에서 벗어난 후 우왕 때 국왕 출생의 비밀이라는 불미스러운 사건이 있을 때나 국왕에 대항하는 모임을 가질 경우 사원이 이용되었다. 李成桂가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국왕에 반대하는 모임을 가질 때에도 사원을 이용하였다(박윤진 1998: 118~119).


Ⅳ. 맺음말


본고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開京과 京畿지역의 변화를 살펴본 후, 해당 지역 사원의 종파와 기능을 정리해 봄으로써 고려시대 개경과 경기지역 사원의 성격을 고찰해 보려 하였다.


‘京畿’라는 지명은 1018년(현종 9)에는 개성부를 폐지하고 開城縣令과 長湍縣令을 두어 尙書都省에 예속시켜 ‘京畿’라 하면서 비롯되었으며, 이후 문종대와 공양왕대에 관료(공양왕대는 신진관료)의 녹봉제도가 개편되면서 경기의 면적이 확대되었다. 곧, 고려시대 경기는 관료에게 지급하는 토지의 공급처로, 관료체계가 개편됨에 따라 경기의 공간적 범위가 변한 것이다. 이에 고려시대 경기지역 사원은 개경을 중심으로 확장되었으며, 오늘날 한양을 중심으로 한 조선시대 경기지역과 차이를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사료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개경과 경기지역 사원의 종파와 기능을 살펴보니, 종파는 교종사원이 선종사원보다 더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상으로는 願刹과 裨補寺社ㆍ資福寺, 院館寺院 등 국가와 왕실의 안녕과 대민통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치적 목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려시대라는 시대적 상황과 개경과 경기라는 지정학적 위치가 결합된 배경 하에 드러난 사원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발표문은 필자의 연구가 첫걸음인 상태에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한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향후 사료와 발굴자료간 검토와 남북한의 학술교류를 통해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高麗史』.

『宣和奉使高麗圖經』.

『新增東國輿地勝覽』.

李智冠 譯註,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李智冠 譯註,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李智冠 譯註,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李智冠 譯註,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7.

末松保和, 1996, 『高麗朝史と朝鮮朝史』, 末松保和朝鮮史著作集5, 吉川弘文館. 李炳燾, 1980(1947), 『高麗時代의 硏究』, 亞細亞文化社.

韓基汶, 1998, 『高麗寺院의 構造와 機能』, 민족사.

변태섭, 1971, 『고려정치제도사 연구』, 일조각.

박용운, 1996, 『고려시대 개경 연구』, 일지사.

김창현, 2012, 『고려 개경의 구조와 이념』, 신서원.

한강문화재연구원, 2010, 『서울 진관동 유적Ⅲ』.

서울역사박물관, 2011, 『북한산 삼천사지 발굴조사보고서』.

한울문화재연구원ㆍ안양시, 2013, 『安養寺址』.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ㆍ파주시, 2006, 『파주 혜음원지 발굴조사 보고서 』.

경기도박물관ㆍ기전문화재연구원, 2003, 『檜巖寺Ⅱ』.

기전문화재연구원ㆍ양주시, 2003, 『楊州 官衙址Ⅱ』.

경기문화재연구원ㆍ양주시, 2009, 『楊州 官衙址Ⅲ』.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1, 『北韓文化遺跡發掘槪報』.

鄭枖根, 2008, 「高麗ㆍ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李承蓮, 2011, 「신라말~고려전기 선종사원의 상원영역 형성에 관한 연구 -法堂의 출현과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병인, 2010, 「고려시대 行旅와 遊覽의 소통공간으로서 사원」, 『역사와 경계』 74, 부산경남사학회.

남동신, 2011, 「고려중기 왕실과 화엄종」, 『역사와 현실』 79, 한국역사연구회.

박윤진, 1998, 「高麗時代 開京 一帶 寺院의 軍事的ㆍ政治的 性格」, 『한국사학보』 3·4, 고려사학회.

신안식, 2004, 「고려시대 개경의 ‘四郊’와 그 기능」, 『明知史論』 14ㆍ15합집, 한국역사민속학회.

신안식, 2013, 「高麗 開京의 ‘都內와 郊’」, 『역사민속학』 18, 한국역사민속학회.

심승구, 2015, 「경기(京畿)를 통해 본 서울의 정체성 –고려와 조선의 경기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56, 2015.

안병우, 1997, 「경기제도(京畿制度)의 성립과 경기의 위상」, 『경기도 역사와 문화』, 경기도사편찬위원회.

우성훈, 2016, 「개경의 도시 변화와 지배구조 개편의 관계에 관한 검토」,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1(3), 대한건축학회.

이승연, 2017, 「청담사지 유구의 성격과 의의」, 『청담사지 보존ㆍ활용 기본계획 수립 학술연구보고서』,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경숙, 2010, 「고려시기 개경의 군사시설과 방위구역」, 『한국중세사연구』 28, 한국중세사학회.

鄭枖根, 2006, 「高麗中後期 ‘臨津渡路’의 浮上과 그 영향」, 『역사와 현실』 59.

조신성, 1988, 「高麗 兩界의 國防體制」, 『高麗軍制史』, 육군본부.

崔柄憲, 1981, 「高麗中期 玄化寺의 創建과 法相宗의 隆盛」, 『韓㳓劤博士停年記念史學論叢』 , 知識産業社.

최연식, 2013, 「高麗時代 高僧의 僧碑와 門徒」, 『한국중세사연구』 35, 한국중세사학회.

최연식, 2016, 「고려시대 院館 사찰의 출현과 변천과정」, 『이화사학연구』 제52집,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韓基汶, 2006, 「高麗時代 裨補寺社의 成立과 運用」, 『한국중세사연구』 21, 한국중세사학회.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다른 글 보기



세부정보

  • 경기 천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주제/ 중세고고학과 고려시대 경기의 위상 변화

    일시/ 2018.06.15.(금) 13:00 ~ 18:30

    장소/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홀

글쓴이
경기역사문화유산원
자기소개
경기도 문화유산의 가치 발견,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누리집
https://gjicp.ggc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