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전적수사본 典籍手寫本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4호



『전적수사본』은 1795년(정조19)에 정조가 친히 지어 화산의 용주사에 내려준 기복게祈福偈, 곧 복을 기원하며 지은 게송偈頌과 해설이다. 정조는 1789년에 아버지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능을 양주 배봉산에서 화산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이라고 이름 지었다. 이듬해에는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용주사를 창건하면서 이것을 지어 용주사에 내려주었던 것이다.


전적수사본 표지, 2006 ©문화재청                 전적수사본 1책 서문, 2006 ©문화재청


구름무늬의 표지에 변철邊鐵을 대어 놓았는데, 변철에는 다섯 개의 연꽃무늬판이 고정되어 있고 변철의 가운데에는 둥근 고리를 달아 놓았다. 책머리에 있는 명칭은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御製花山龍珠寺奉佛祈福偈』이다. 한 면을 5행으로 인찰한 뒤 해서체의 글씨로 쓴 대형본이다. 전체 내용은 정조의 서문·서분序分·정종분正宗分·결게분結偈分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절은 현륭원의 제사를 위해 지었고, 삼가 게어偈語를 지어 삼업공양(몸·입·뜻의 세 가지 업으로 드리는 공양)을 드린다’는 내용이다. 이어 서분은 「보고인천普告人天」 1조목, 정종분은 「대지숙인大地宿因」, 「공양칠보供養七寶」, 「장엄만게壯嚴萬偈」, 「응운발상應運發祥」, 「복덕무량福德無量」, 「제불호우諸佛護佑」, 「보살원력菩薩願力」 등 7조목, 결게분은 「정토극락淨土極樂」, 「항사보록恒沙寶籙」 등 2조목이 있다. 수록된 내용은 정조의 저작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권55, 잡저)에도 수록되어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795년)

    규모/ 2책 / 68×45cm

    재질/ 종이(닥종이)

    주소/ 화성시 용주로 136

    지정일/ 1972.05.04

    소유자/ 용주사

    관리자/ 용주사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