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청량당 淸凉堂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호




<청량당>은 남한산성의 축성과 관련된 민간 신앙처로, 마을의 신을 모시는 신당의 성격을 담고 있는 사당이다. 현재 사당에는 1624년(인조2) 수어사 이서李曙(1580~1637)와 함께 남한산성을 쌓은 이회李晦(1567~1625), 송씨부인·나씨부인·벽암대사·홍수장군·백마장군·오방신장·매바위·남한산성군웅·별상장군 등 10명의 무속신을 모시고 있다.



청량당 대문,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청량당에는 이회와 그의 처첩에 관한 설화가 다음과 같이 전해지고 있다. ‘이회는 조선 1624년 남한산성 축성 시 경비를 탕진하고 공사에 힘쓰지 않아 기일 내에 공사를 마치지 못했다는 모함을 받고 사형을 당하게 된다. 그의 처첩도 남편을 도와 성을 쌓기 위해 축성자금을 마련해 돌아오는 길에 남편의 소식을 듣고 강물에 투신하여 자살하였다. 그 후 그의 무고함이 밝혀져 수어장대 옆에 사당을 짓고 그와 처첩의 넋을 위로하게 되었다’고 한다.



청량당 사당,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청량당은 현재 사당과 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당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홑처마의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중앙에는 사분합 띠살문을 달았고 좌우 칸에는 화방벽 위에 창문을 각각 내었다. 대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규모로 홑처마의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대문 중앙에는 2쪽 여닫이문을 달았고 문 위에 홍살을 장식하였으며, 문 좌측 칸에는 격자문이 달린 방이 있다. 현재 청량당은 201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남한산성의 민속경관의 주요 요소로 포함되어 있다.


청량당 내부, 2016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사당 내부에는 위패가 아닌 이회장군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그 좌우에 그의 처첩妻妾과 벽암대사의 초상화가 걸려있다. 매년 청량당에서 열리는 도당굿은 청량당에 대한 원혼을 기리고 살아 있는 백성들의 소원 성취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정월 2일, 5월 2일에 거행되고 있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624년)

    규모/ 1동 / 사당 3×2칸, 대문 3×1칸

    재질/ 목조

    주소/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780번길 107-63

    지정일/ 1972.05.04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