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화석정 花石亭

경기도유형문화재 제61호




임진강을 굽어보는 벼랑 위에 세워진 <화석정>은 조선중기의 학자·정치가인 율곡 이이栗谷李珥(1536~1584)가 제자들과 함께 시를 짓고 학문을 논하던 곳이다. 원래는 고려 말의 문신인 야은 길재冶隱吉再의 유지였던 자리에 율곡의 5대 조부였던 강평공 이명신康平公李明晨이 1443년(세종25)에 정자를 건립하였다. 이후 1478년(성종9) 율곡의 증조부 이의석李宜碩이 중수하고 몽암 이숙함夢菴李淑緘이 ‘화석정’이라 이름지었다.


 

화석정, 1937 ©『京畿地方の名勝史蹟』                                      화석정 복원이전, 촬영일 미상 ©문화재청


‘화석’은 중국 당나라 때 재상 이덕유李德裕의 별장인 평천장平泉莊의 기록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진다.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73년(현종14)에 율곡의 종증손들이 복원하였으며, 한국전쟁 때 다시 소실되었던 것을 1966년 파주의 유림들이 성금을 모아 복원하였다. 1973년 정부에 의해 주도된 율곡선생 및 신사임당 유적 정화사업의 일환으로 단청이 이루어지고 주변 정화가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건물은 1966년에 건립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장방형 평면을 하고 있다.



화석정 정면,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지붕은 겹처마를 두른 팔작지붕 양식으로 천장은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천장이다. 공포拱包는 초익공初翼工이며 단청은 모로단청毛老丹靑으로 마감되었다. 화강석 방형 초석 위에 방형 기둥이 놓였으며 기둥은 주두柱頭없이 대들보를 받친다. 창방 위에 화려하게 조각된 화반을 3개씩 배열하여 장식을 하였다.


화석정 내부,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내부 현판(율곡 8세 때 지은 시),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중건 상량문,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내부 화반 위에는 ‘화석정중건상량문化石亭重建上樑文’을 비롯하여 여러 개의 편액이 걸려있으며, 정자 내부 뒤편에는 율곡의 8세 때 시를 새긴 현판이 걸려있다. 정면 중앙의 현판글씨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휘호이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

    규모/ 1동 / 3×2칸

    재질/ 목재

    주소/ 파주시 파평면 화석정로 152-72

    지정일/ 1974.09.26

    소유자/ 국유

    관리자/ 파주시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