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

- 용인 장욱진 고택

등록문화재 제404호

[동네유산: 함께 쓰는 이야기]

“나는 심플하다” 용인 화가 장욱진 고택(등록문화재 제404호)이야기



평생 단순하게 살고 싶어 했던 화가 장욱진.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을 거쳐 20세기 한국의 복잡다단한 현대사를 지났지만 그의 그림은 언제 보아도 밝고 안온하다. 그는 단순한 것들을 사랑했다. 자신이 이해하고 사랑하는 소박한 것들만 작은 캔버스에 담았다. 그래서 그의 화폭에 담기는 건 새, 가족, 나무, 그리고 집. 그것이면 족했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았던 덕소의 작업실, 작은 연못 정자가 있었던 명륜동 한옥, 젊은 시절 요양했던 수안보 농가를 떠나 1986년, 70세가 되던 해 그는 경기도 용인군 구성면 마북리의 100년 된 고택에 마지막 거처를 마련한다.

이 집에서 1990년 12월 27일 세상을 떠날 때까지 보낸 5년은 장욱진의 표현이 최고조에 달한 시기다. 5 그가 평생 그린 720여 점의 작품 중 220여 점이 이곳에서 탄생했다.



처음에 들어와 살던 곳은 한옥이었는데 자신의 그림 속 ‘집’을 짓고자 그가 노년에 직접 인부들과 함께 2층 양옥을 올렸다.




새로 지은 집에서 1년 반 동안 살다가 화가는 방을 깨끗이 정리한 다음 날, 천식으로 세상을 떠났다. 화가의 아틀리에이자 오브제이자 그가 직접 삶을 영위했던 공간은 현재 문화재로 등록되어 그 모습을 오롯이 유지하고 있다.




장욱진의 순수한 작품과 담백한 삶터을 만나보고 싶다면

방문해 보길 권한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119-8 장욱진 고택(등록문화재 제404호)  




https://www.instagram.com/ggheritage31/

https://www.facebook.com/GGHeritage31

@참여자

첨부파일
    ,
글쓴이
경기상상캠퍼스
자기소개
옛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지에 위치한 경기상상캠퍼스는 2016년 6월 생활문화와 청년문화가 함께 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울창한 숲과 산책로, 다양한 문화예술과 자연이 어우러진 경기상상캠퍼스는 미래를 실험하고 상상하는 모두의 캠퍼스라는 미션과 함께 새로운 문화휴식 공간으로 거듭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