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순
참여기관/DMZ다큐멘터리영화제DMZ사무국갤러리위갤러리퍼플경기관광공사경기국악원경기도 문화유산과경기도문화원연합회경기도미술관경기도박물관경기도어린이박물관경기도자원봉사센터경기문화나눔센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경기상상캠퍼스경기상상캠퍼스그루버경기아트센터경기안성뮤직플랫폼경기창작캠퍼스경기천년경기콘텐츠진흥원경기현대음악협회경희대학교고양문화재단고양시해움새들광명문화재단광명시청년동광주시문화재단국립농업박물관군포문화예술회관군포문화재단군포시평생학습원극단날으는자동차나폴레옹갤러리단원미술관두루뫼사료관디마갤러리만해기념관맥아트미술관미리내마술극단미메시스아트뮤지엄백남준아트센터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센터서해랑서호미술관설미재미술관성남문화재단세계민속악기박물관소다미술관수원광교박물관수원문화재단수원시립미술관수원시립합창단시서화시흥시청시흥에코센터실학박물관아트경기아트센터화이트블럭아트스페이스어비움안산문화예술의전당안양문화예술재단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평문화재단엄미술관여주박물관영은미술관영집궁시박물관옆집예술용인시청유리섬미술관의정부문화재단이풀실내정원전곡선사박물관파주문화재단평택시문화재단포천문화재단포천아트밸리풀짚공예하남문화재단한국도자재단한국등잔박물관한국카메라박물관해움미술관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혜정박물관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고양시 길상사 묘법연화경 高陽市 吉祥寺 妙法蓮華經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60호





『묘법연화경』은 1책 7권의 완본으로 1561년(명종16)에 간행한 목판본이다. 서지사항은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에 계선은 없고, 반엽半葉 8행 17자이다.


고양시 길상사 묘법연화경 전7권 7책,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묘법연화경』은 흔히 『법화경』이라고 부르며, 대승경전의 가장 중요한 경전의 하나이다. 경전을 독송 서사 간행하는 것을 공덕으로 묘사한 내용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간행된 경전이다. 이 책은 후진後秦 구마라집鳩摩羅什이 한역漢譯하고 송나라의 계환戒環이 풀이한 계환해본戒環解本이다. 이 책의 권1과 권4 첫머리에는 경전의 내용을 요약하여 그림으로 나타낸 변상도變相圖 판화가 삽입되어 있다. 권3의 말미에는 수십 명에 이르는 간행할 때의 시주자 명단이 있다.


고양시 길상사 묘법연화경 권1 서문,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고양시 길상사 묘법연화경 권3 말미 시주질명단, 권1 변상도, 2016 ©경기문화재연구원


이 길상사 『묘법연화경』은 성삼문의 조부인 성달생成達生(1376~1444)과 성개成槪(?~1440) 형제가 독서편리를 위해 중자로 판서본板書本을 써서 1443년(세종25)에 화암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저본으로 1561년(명종16)에 전라도 장흥長興 천관사天冠寺에서 복각 간행한 판본이다. 천관사본으로는 국내에 유일한 완질본으로서 불서 판본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경기문화재총람 속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고 싶다면

경기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http://gjicp.ggcf.kr 에 방문해 보세요!



세부정보

  • 시대/ 조선시대(1561년)

    규모/ 1책(7권) / 30×18cm

    재질/ 종이

    주소/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로 36-17

    지정일/ 2011.10.04

    소유자/ 길상사

    관리자/ 길상사

@참여자

글쓴이
경기문화재단
자기소개
경기 문화예술의 모든 것, 경기문화재단